주민기록단 활동기록

성북구에서 사는 혹은 살았던 우리가 우리의 이야기를 기록하여 성북의 역사를 만들어갑니다.

2024. 11. 24. 만해공원과 기념공간 네트워크 (활동자: 윤소영) 2024.12.02
만해공원과 기념공간 네트워크

활동자 : 윤소영

일 시 : 2024년 11월 24일 일요일 10:00-12:00

장 소 : 만해공원(도로명 주소: 대사관로13길 66)




1. 조사지 선정 이유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222-1번지에 위치한 심우장은 일제강점기 1933년에 만해 한용운이 지은 집이다. 흔히 이 집은 그가 조선총독부와 집을 마주 보지 않기 위해 북향으로 지었다고 잘 알려져 있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한용운의 유택인 성북동 심우장을 알고 있으나, 심우장으로 올라가는 초입에 만해 공원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왕왕 있다. 그런데 이번에 만해공원에 방문한 이후에 만해 한용운 선생을 기념하기 위한 전국적 네트워크 공간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하나의 중요한 공간으로서 ‘만해공원’을 소개하는 것과 더불어 한용운과 관련한 다양한 지역과 중요한 장소를 함께 소개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이 조사지를 선정하게 되었다.

2. 인터뷰 및 현장 조사 내용
만해 한용운(1879~1944)은 20세기 한국의 불교 개혁가이자 시인으로 법명은 만해이다. 그는 1919년에 한국독립을 선언한 33인의 대표 중 한 명이었으며, 만해 시는 주로 이간의 본성과 경험의 신비에 대한 철학적 명상을 담고 있다. 성북동 만해공원은 ‘남한산성 만해기념관 만해 한용운연보’를 참조하여 그를 기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념 공간 네트워크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먼저 1879년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 위치한 만해의 생가, 만해사당, 만해 기념관이 있다. 또한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690번지에 위치한 백담사는 그가 1905년에 계를 받은 공간으로 조선불교유신론을 탈고하였다. 다음으로 서울시 종로구 계동 43번지에 위치한 만해당은 1918년에 불교잡지 󰡔유심󰡕을 발행한 공간으로 2003년에 근대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았다. 그 밖에도 1944년 6월 29일 만해 한용운선생의 묘소 및 만해의 기념관 역시 함께 소개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심우장으로 가기 위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다 보면 버스를 타기 마련인데, 심우장과 가장 가까운 정류장에 그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류장의 포스터에 따르면, 한용운 선생의 삶과 애국심을 기억하기 위해 3·1운동 100주년에 서울시가 버스 정류장을 “서울다원학교·한용운 활동터”로 바꾸었다고 한다. 또한 서울시 대중교통 따릉이의 정류장 이름 역시 “1304. 만해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지점은 심우장이라는 하나의 점으로서의 장소뿐만 아니라 그 주변 지역까지 만해와 심우장을 둘러싼 기억이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깨닫게 해 주었다.

3. 조사지 특징 등
이번에 만해공원을 조사하며 심우장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이 ‘만해 한용운’을 기억하기 위한 공간으로 재구성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국적으로 만해 한용운의 생애를 기리기 위한 다양한 공간이 기념 공간으로 재탄생했을 뿐만 아니라 성북이라는 지역적인 측면에서도 역사적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심우장이라는 핵심적인 공간뿐만 아니라 버스 정류장과 따릉이 정류장의 이름, 만해공원 등이 그 구체적인 사례이다. 특히 만해 공원의 경우 한국의 도시공원이 여러 가지 역할 중 역사공원’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잘 드러내 주는 사례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역사공원’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색한 결과, 역사공원의 유형은 이미 국제적으로 일반화된 성격으로 주제공원의 일부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만해공원은 유산, 인물, 사건 등을 포함한 역사자원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한 ‘역사기념공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지역과 마을의 측면에서 역사적 인물을 조명함으로써 다양한 차원에서 한용운과 성북구 심우장의 관계를 포착할 수 있어 유의미한 지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만해공원에는 한용운 조각상과 님의침묵의 비석이 함께 제시되어 있으니, 공원에 조성된 벤치에 앉아 휴식을 취하며 그의 정신을 되새겨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다. 또한 기회가 된다면 도보 10분 이내에 심우장이 있으니, 가는 길에 난간에 설치된 한용운의 글을 읽으며 오가기에 좋다. (길지혜, 박희성, 박재민,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4(2), 2016.)



<사진 설명>
1. 3.1운동 100주년으로 변경된 서울시 버스 정류장 “서울다원학교, 한용운 활동터”
2. 만해공원 앞에 있는 따릉이 정류장
3. 님의 침묵 비석과 한용운 동상의 모습
4. 만해공원에 있는 한용운에 대한 설명과 심우장에 대한 소개
5. 만해공원에서 100m 거리에 심우장이 있다.
서울다원학교, 한용운 활동터 정류소

서울다원학교, 한용운 활동터 정류소

만해공원 따릉이

만해공원 따릉이

님의 침묵 비석과 한용운 동상

님의 침묵 비석과 한용운 동상

만해공원에 있는 비석

만해공원에 있는 비석

만해 한용운 심우장 가는길

만해 한용운 심우장 가는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