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174] 성북구 학교들의 마스코트 캐릭터
작성자 김정현
개학과 수강신청을 앞둔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성북구엔 유달리 대학교가 많이 존재하여 이맘때 쯤 수강신청으로 인해 거리의 학생들이 분주해지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금도끼에서는 이러한 학교들을 대표하는 마스코트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마스코트 (Mascot)란 행운을 가져온다고 믿는 사람, 물건, 동식물 등을 말합니다.
그러나 현재에는 어떤 행사 및 단체를 상징하는 이미지 캐릭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스코트라는 단어는 1880년 프랑스인 작곡가 Edmond Audran이 쓴 오페레타《La Mascotte》로 인해 널리 퍼지게 됐습니다. 원래 프랑스 대중에게 이 용어는 도박꾼을 가리키는 속어였습니다. 마법사 또는 마녀를 의미하는 "masco"라는 단어의 파생어로, 19세기 이전에는 머리카락 등의 무생물과 관련 있는 단어였으며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동물과 사물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현재에 이르러서는 단체를 대표하는 이미지의 단어가 되었습니다. 성북구 학교들에는 어떤 의미를 가진 마스코트 캐릭터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성북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성북초등학교 홈페이지)

성북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성북초등학교 홈페이지)


성북초등학교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빛나리와 향나리 입니다.
성북초등학교의 교화인 개나리와 교목인 향나무를 캐릭터화 했습니다.
동신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동신초등학교 홈페이지)

동신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동신초등학교 홈페이지)

 길원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길원초등학교 홈페이지)

길원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길원초등학교 홈페이지)

동신초등학교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꿈동이와 꿈신이, 길원초등학교의 으뜸이 입니다.
으뜸이는 길원의 으뜸 원(元)을 상징하는 캐릭터로 교목인 느티나무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우촌초등학교의 우치와 레미 입니다.
기독교의 어린양을 상징하는 캐릭터로
튼튼하고 지혜롭게 자라가는 어린이의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우촌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우촌초등학교 홈페이지)

우촌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우촌초등학교 홈페이지)

숭례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숭례초등학교 홈페이지)

숭례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숭례초등학교 홈페이지)

월곡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월곡초등학교 홈페이지)

월곡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월곡초등학교 홈페이지)

석계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석계초등학교 홈페이지)

석계초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석계초등학교 홈페이지)


숭례초등학교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빛나는 횃불을 밝혀 세상의 빛이 되는 어린이를 형상화한 캐릭터이며 월곡초등학교의 다리와 바니는 반달을 상징하는 모습과 낱말에서 뜻을 가져온 캐릭터입니다. 석계초등학교의 캐릭터는 교화, 교목, 교표의 의미가 어우러진 마스코트 캐릭터입니다.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마스코트 (출처: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홈페이지)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마스코트 (출처: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홈페이지)

고명외식고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고명외식고등학교 홈페이지)

고명외식고등학교 마스코트 (출처: 고명외식고등학교 홈페이지)

초등학교 뿐 아니라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대표하는 캐릭터도 존재합니다.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의 부중이와 고명외식고등학교의 캐릭터인 고명이 입니다.




이 외에도 고려대의 환호, 성신여자대학교의 수룡이, 한성대학교의 상상부기, 동덕여자대학교의 솜솜이 등 대학교에서도 제각각 개성 있는 캐릭터들이 학생들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학교의 마스코트들은 대부분 꿈과 희망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꿈과 희망은 학생에게서 떼어놓을 수 없는 요소가 아닐까 싶습니다. 학생의 가능성과 올바른 성장을 바라는 어른들의 마음이 점, 선, 면으로 표현되었다고 생각하니 마스코트 캐릭터들에게 좀 더 오랜 시선이 머물게 됩니다.
다가오는 주말에는 여름방학을 지내듯이 휴식하면서 어렸을 때의 꿈을 다시 회상해 보는 건 어떨까요?
모두의 꿈이 이뤄지길 바라며 174번째 금도끼를 마치겠습니다.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