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26] 상실의 시대를 노래했네
- 1990년대를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라고 하는 평자들이 많습니다. 그전까지 트로트가 주류였던 대중음악계에는 언더그라운드의 포크, 발라드, 댄스, 블루스, 민중가요, 록, 힙합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여러 매체를 통해 전파되며 대중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형식뿐 아니라 노랫말로 표현하는 음악의 내용도 풍성해졌습니다.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노래한 것이 대다수이긴 했지만 색다른 주제의 노래들이 등장해서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이를테면 ‘그리움’ 같은 것입니다. 물론 떠나간 연인이나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가장 많지만 개중에는 이제는 갈 수 없는 유년 시절의 장소와 시간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담은 노래들도 있었습니다. 왜 1990년대에 그런 노래들이 등장했던 것일까요? 그 시절 우리 도시의 모습이 급격하게 변하다 보니 상실감이 컸던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전의 집과 골목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과거의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물질적 조건들이 사라지고 만 것이죠. 이주와 이사가 예사였던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줄곧 한 집에서 자란 이들도 거의 없었을 테니까요. 1990년대 베스트셀러 소설 중 하나가 『상실의 시대』였던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즈음 발표된 노래 중에는 1970년대 성북구의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노래들이 더러 있습니다. 주로 1960년대에 태어나 유년기를 성북 지역에서 보낸 뮤지션들의 노래입니다. 세 곡을 골라봤습니다. 먼저 소개할 노래는 그룹 어떤 날의 멤버로 유명한 조동익(1960~ )의 곡 〈노란대문 (정릉배밭골’70)〉입니다. 1994년 발표한 그의 정규 솔로 음반 《동경(憧憬)》에 실은 노래입니다. 정릉3동 배밭골에서 보냈던 어린 시절 집 안팎의 풍경과 가족들의 모습을 시적인 가사에 담았습니다. 노란대문 (정릉배밭골’70) 작사·작곡·노래 : 조동익 맑은 개울을 거슬러 오르다 조그만 다리를 건너 동산을 오를 때면 저만치 소를 앞세우고 땀흘려 밭을 일구시는 칠성이네 엄마 집에 도착하면 숨이 턱까지 차올라 노란 대문 생각만 해도 내 입가에 웃음 짓게 하는 그 문을 두드리면 제일 먼저 날 반기던 강아지 마당엔 커다란 버찌나무 그 아래 하얀 안개꽃 해질 무렵 분꽃이 활짝 피면 저녁 준비에 바쁘신 우리 할머니 저만치 담 밑엔 누군가 살고 있을 것 같은 깊고 차가운 우물 두레박 하나가득 물을 담아 올리면 그 속엔 파란 하늘 난 행복했었지 하얗게 춤추던 안개꽃 난 사랑했었지 그곳을 떠다니던 먼지까지도 노란 대문 생각만 해도 내 입가에 웃음 짓게 하는 그 문을 두드리면...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장위119 안전센터
- 성북구 한천로 640(장위동 34)에 위치한 성북소방서 산하의 소방 행정기관이다. 서울특별시규칙 제 2042호에 의해 1983년 12월 2일 장위파출소로 개소되어, 2007년 1월 2일 장위119 안전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관할 구역은 장위동과 석관동으로 화재예방활동, 화재진압, 구조 및 구급활동 등의 소방 업무를 처리한다. [성북소방서 홈페이지 참고]
- 이야기 더보기
- 동네마당 뜰안
- 동소문로23길 16-27(동선동4가 190)에 위치한 주민들의 생활 문화 배움터이자 지역 공동체 공간이다. 성북구가 부지를 확보하고 2017년 12월에 문을 연 동네마당 뜰안은 지상 2층, 지하 1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신거울과 방음부스가 설치된 지하 1층에서는 춤과 음악을 배우고 연습할 수 있으며, 1층에는 주민들이 소통할 수 있는 초록마당, 은빛마당, 어울마당, 공유부엌이 있다. 2층은 다양한 생활문화강좌를 진행하는 배움 공간으로 활용 중이며, 옥상에는 정원이 조성되어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주민 누구나 생활문화를 즐기고 소통할 수 있는 동네 사랑방으로 거듭나고 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