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80] 발 연기? 발로 하는 예술! 발탈
- 우리는 흔히 형편없는 연기를 낮잡아 부를 때 ‘발 연기’라고 합니다. 실력이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손이 아닌 발로 한 것 같다는 의미로 접두사 ‘발’을 붙인 것이죠. 오늘 소개할 ‘발탈’은 이런 은유적 표현이 아니라 진짜 발을 사용하여 연기를 합니다. 발로 연기를 한다고 하니 우스꽝스러울 것 같나요? 발탈은 재미있습니다. 하지만 수준이 떨어지는 것도, 낮잡아 볼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발탈은 우리의 전통 예술로, 발에 탈을 씌워 사람처럼 꾸민 탈 인형과 어릿광대, 아낙네 등이 서로 소리와 재담을 주고받는 민속극입니다. 탈 역할의 연희자는 검은 포장막 뒤에서 의자에 앉아 발에 탈을 씌우고 상반신만 있는 인형에 발을 얹고 연기를 합니다. 또 손으로는 막대기를 이용해 인형의 팔을 조종하여 인형의 다양한 몸짓을 표현합니다. 발탈은 어릿광대가 이 상반신만 있는 탈 인형의 외양에 놀라 시비조로 정체를 물으면서 극이 시작됩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안석응
- 돈암동에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인 유여대 등과 함께 의주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했다. 3월 1일 오후 2시 읍내 교회에 8백여 명의 교인을 중심으로 한 시위군중이 모이자, 대형 태극기 2개를 교회에 세워놓고 종이로 만든 백여 개의 작은 태극기를 군중에게 나누어주었다. 유여대의 독립선언서 낭독이 끝나자, 시위군중과 함께 만세삼창을 외치고 행진을 했다. 그는 일제의 검속 때 체포되어 보안법 위반 혐의로 옥고를 치렀다. 그는 출옥 후 의주에서 상해임시정부의 군자금모집을 위해 활동하였고,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신간회 진천(鎭川)지부장으로 활약하며 독립사상 고취에 노력하였다. 정부에서는 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최용덕
- 성북동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1910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에 입대하였다. 1922년에는 의열단에 참여하여 폭탄운반 및 투척계획을 협의하는 등 의열활동을 지원하였다. 1922년 이후 1940년까지 중국 공군에서 교관, 수상비행대장 참모장, 공군기지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 1940년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총사령부 총무처장, 참모처장, 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 해방 후에는 대한민국 초대 국방부차관을 역임하였으며, 공군사관학교 교장을 거쳐 공군후방사령관·항공기지사령관·공군본부작전참모부장·공군참모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최용덕의 자필 이력서에 의하면 본적은 성북동 265번지(성북로 148-5)로 기록되어 있다. 정부에서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정태식
-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이다. 경성제국대학을 졸업 후 법문학부 조수로 경제연구실에서 근무하였다. 성북동에 거주하면서 독서회, 적색노동조합, 공산주의자그룹 결성에 매진하다가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경성콤그룹에 참여하였고 해방후에는 남로당 중앙위원, 조사부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1950년 4월 체포되어 5월 육군본부에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나 한국전쟁 당시 풀려났고, 북한에서 농림성 기획처 부처장을 지냈다. 남로당 숙청 당시 숙청되었다. 경기도 경성부 성북정 184-32(현 성북구 성북로6길8-2)에 거주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음벽정
- 고양군 숭인면 성북리 113번지(현 성북구 선잠로71로 추정)에 있던 별장이다. 명성황후의 조카이며 을사늑약에 반대하여 자결한 민영환의 별장이었다. 19세기 말부터 관료로서 활약했던 민영환은 성북동에 아름다운 별장을 지어놓고 많은 명사들과 교류하였다. 당시 청에서 파견되어왔던 위안스카이(袁世凱)도 민영환과 교류하며 음벽정을 방문하였었는데, 민영환이 순국한 후 그는 혼자 찾아와 추도하는 시를 읊기도 하였다. 민영환이 죽은 후 동생이 소유했던 음벽정은 1931년 가옥 임대업을 하던 일본인에게 소유권이 넘어갔다가 1934년 한택수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그때부터 요정으로 운영되어 주변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한국전쟁 이후엔 불에 타서 없어졌고, 현재 그 자리에는 연화사라는 사찰이 자리잡고 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