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27] 선잠단지 지킴이 30년 이만규 님의 이야기
- 성북문화원은 지역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는 다양한 책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 중 <성북 사람들의 구술생애사> 시리즈는 성북문화원의 대표적인 간행물입니다. 2020년부터 매년 선보이고 있는 이 시리즈는 성북구 주민기록단과 함께 제작하는 책으로 성북구에 오랫동안 거주하신 어르신의 삶과 지역의 역사를 그분의 입을 통해 듣고 채록함으로써 사소하지만 중요한 지역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특히 그 과정을 주민기록단과 함께한다는 점에서 <성북 사람들의 구술생애사>는 공동체아카이브를 지향하는 성북마을아카이브의 보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보물을 좀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자 앞으로 10회에 걸쳐 <성북 사람들의 구술생애사> 시리즈를 한 권 한 권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처음으로 소개해 드릴 분은 성북동의 이만규 님입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방유룡
- 천주교 사제, 신부이다. 세례명은 레오, 수도명은 안드레아이다. 예수성심 신학교와 대신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에서 교육을 받고, 1930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는 한국적인 수도원을 설립하고자 노력하였는데 1946년 한국순교복자수녀회를 창립하였고, 1953년에는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를 창설하여 제기동 본당 내 부속건물에 임시수도원을 설치하였다. 1955년 성북동에 본원을 신축하여 입주하였다. 1957년 5월 수도회에서 종신 서원을 하고 난 이후 수도자들의 영적 지도 신부로 활동하다가 1986년 1월 24일 성북동 순교 복자 수도원에서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김광균
- 시인이자 실업가이다. 1926년 『중외일보』에 「가신누님」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30년대 『시인부락』과 『자오선』의 동인으로 활동을 하였으며 193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설야」가 당선되면서 문단에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모더니즘 시인으로 활발히 활동하다가 6.25전쟁 이후 집안 사정으로 건설 사업을 운영하였다. 그는 1980년대 초부터 다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는데 시집 『추풍귀우』(1986), 『임진화』(1989)는 성북동에 거주했던 시기에 간행한 것으로 여기에 수록된 작품 중 일부에는 성북동과 그의 집이 묘사되어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여성회관
- 성북구 성북로 4길 177(돈암동 606-258)에 위치한 공공시설이다. 성북여성회관은 성북구민회관과 같은 공간에 터를 잡고 2013년에 문을 열었다.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회원 모집과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했는데, 성북구의 대표적인 평생학습시설로 한 단계 높은 수준의 복지서비스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문화프로그램과 문화공간을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이 가깝고 쉽게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주로 여성과 아이들을 위한 요리, 스포츠, 취미,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