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88] 길음동의 옛 동네를 기억하며, 김소진의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 11월 17일에 올겨울 첫눈이 내렸다는데, 다들 흩날리는 작은 눈송이들을 보셨을까요? 눈이 될 준비를 하고 있던 눈송이들이 겨울이 오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러 잠시 찾아온 것 같습니다. 한겨울에 다다르고 있는 11월 말입니다. 오늘 금도끼에서는 하이얀 눈 속을 파헤치듯 길음동에서의 어린 시절을 더듬어 보는 소설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김소진의 단편 소설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을 살펴보면서 이 소설에 담긴 미아리 재개발에 관해서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작가 김소진을 소개하며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김소진은 1963년 철원에서 태어나 다섯 살이 되던 해인 1967년, 미아리고개 넘어 정릉 천변의 산동네였던 길음동으로 이사합니다. 김소진은 미아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중학교를 거쳐 서라벌고등학교를 다니는데요. 미아초등학교는 길음동에, 서라벌고등학교는 돈암동에 있었던 학교로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김소진은 삶의 대부분의 시간을 성북구에서 보냈던 것 같습니다. 1982년 서울대에 입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하였고 이후 기자 생활을 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하는데, 1991년 단편 『쥐잡기』가 경향신문 신촌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합니다. 이후 김소진은 『열린사회와 그 적들』(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자전거 도둑』(1996) 등의 작품을 잇달아 발표하며 1990년대 대표적인 사실주의 작가로 자리매김합니다. 김소진은 본인이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소설을 상당수 집필했는데요, 어린 시절을 보낸 미아리 동네와 동네의 사람들이 창작의 원천이자 주요한 제재였습니다. 『고아떤 뺑덕어멈』(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길』(1996), 『신풍근배커리 약사』(1996), 『70년대 민중의 마지막 꿈』(1997) 등 많은 작품에서 미아리와 미아리를 살아간 사람들을 담아냈습니다. 김소진이 어린 시절을 보낸 길음동 일대는 통상 미아리로 불렸던 것을 잠시 짚고 가려고 하는데요. 1950년 성북구 미아리가 미아동으로 개칭되었고 1959년에 미아제1동이 길음동이 되지만 1950년 이전 미아리에 속해있었던 여러 동이 계속해서 같은 생활권으로 인식되었고, 사람들은 이들을 묶어 통상 미아리로 불렀던 것 같습니다. 한편 1973년에 도봉구가 분리·신설되면서 길음동은 도봉구 미아동이 되는데요, 1975년 다시 성북구로 편입되면서 길음동이라는 이름을 되찾습니다. 김소진은 당시로서나 현재로서나 행정구역상으로 길음동에 거주했지만, 앞선 설명과 같은 관습으로 그 또한 자신이 살았던 곳을 미아리로 불렀던 것 같습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장건상
- 정릉동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미국 유학 후 상하이로 망명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되고 외무차장으로 활약하였다. 또한 상해에서 의열단으로 활동하며 국내로 폭탄을 반입시키다가 붙잡혀 국내로 압송되었으나 증거가 없어 기소유예로 풀려났다. 해방 후에는 조선인민당과 근로인민당의 부위원장을 지냈고,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승만과 박정희 정권 아래 감옥을 여러 차례 드나들었던 장건상은 정릉동 338-1번지(현 솔샘로6마길 17-4)에 거주하다가 세상을 떠났다. 정부는 1986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정재용
- 장위동에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1886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들이 독립선언 장소를 인사동 태화관으로 변경하며 예정된 시간에 등장하지 않아 파고다공원에서의 독립선언식이 혼란에 빠졌는데, 이때 경신중학교 졸업생인 그가 팔각정 단상으로 올라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같은 해 8월에 체포된 정재용은 평양 감옥에서 2년 6개월 간 옥고를 치뤘다. 출옥 후에는 구국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의용단 활동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77년 12월 31일 성북구 장위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자택의 주소는 동아일보에서는 장위동 219-100번지, 경향신문에서는 장위동 219-195번지로 보도했다. 정부에서는 1977년에 건국포장,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김소진
- 소설가이다. 철원에서 태어나 1967년 서울 길음동으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1991년 단편 「쥐잡기」로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했다. 『열린사회와 그 적들』(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자전거 도둑』(1996) 등의 작품을 통해 자신의 가족사와 길음동 산동네 사람들의 이야기 등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기자를 그만두고 전업작가로 왕성한 활동을 하던 중 위암판정을 받고 사망했다. 1963년 출생 작가들을 일컫는 이른바 '63세대' 작가군의 한 사람으로 1990년대의 탁월한 사실주의 작가로 꼽힌다.
- 이야기 더보기
- 선잠단지 한옥밀집지역
- 성북구 성북동 62번지 일대의 한옥밀집지역으로 지정된 거주지역이다. 2014년 12월 26일 지정되었는데 이는 사대문 밖으로 확대 지정한 최초의 사례이다. 면적은 5,868㎡이고, 한옥은 20동, 비한옥은 24동으로 한옥이 45.4%를 차지하고 있다. 선잠단지의 한옥 20동은 가 등급 2동, 나 등급 2동, 다 등급 16동으로 구분된다. 등급은 한옥의 외부에서 판단할 수 있는 보존상태의 정도를 보고 구분한 것으로 한옥의 상부(옥개부)와 하부(벽부)구조로 구분하여 판단한 것이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