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55] 안감리 전차 투석 만세운동
- 1919년 3월, 서울과 평양을 중심으로 시작된 만세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많은 이들이 모여 대규모 만세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일본 군경은 만세운동에 ‘엄중한 경계’로 대응하여 해산 및 진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실상은 폭력 진압이었습니다. 한국에 머무르던 미국인 선교사 매티 윌콕스 노블(Mattie Wilcox Noble)은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경찰과 헌병들이 총검으로 [시위대를] 베고, 체포했다. 우리 집 요리사가 돌아와서 그의 친구도 칼에 찔려 경찰서로 끌려갔다고 얘기했다. 헌병들이 경사가 급한 제방으로 사람들을 밀어 떨어뜨리는 것을 몇몇 외국인이 목격하였다. 해럴드[Harold, 노블의 아들]가 살펴보려고 내려갔지만 이미 일이 끝났고, 그가 본 것은 피를 흘리며 경찰서로 끌려가거나 의식을 잃은 채 인력거에 실려 가는 사람들이었다." - 매티 윌콕스 노블 지음, 강선미 이양준 옮김,『노블일지 1892-1934』, 이마고, 2010; 정병욱,「낯선 삼일운동」③, 한국역사연구회 웹진 역사랑 6호, 2020 재인용. 일본 군경의 폭압에도 만세운동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서울 곳곳에서 소수의 인원들이, 해가 진 어두운 시간 기습적으로 만세운동을 펼쳤습니다. 마치 ‘게릴라 작전’과도 같았지요. 이러한 만세운동은 우리 성북구 지역에서도 몇 차례 일어났습니다. 오늘은 이중 하나의 만세운동에 관하여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3월 26일 수요일 해가 진 밤이었습니다. 안감리(지금의 안암동)에 몇몇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어느덧 모여든 사람은 약 200여 명에 달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만세를 외쳤습니다. 인근을 지나는 전차에 돌을 던졌습니다. 돌을 던져 전차의 유리창을 파손하였고, 타고 있던 승객들에게 하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일본 군인 5명이 출동하여 이들을 해산시켰습니다. 이 만세운동에 관한 기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3월 27일, 독립운동에 관한 건(제28보) / 경성. 안감리에서 3월 26일 밤 약 200명의 군중이 만세를 부르고 전차에 투석하여 유리창을 파괴하고 승객의 하차를 협박하는 등 폭행을 연출했으나 피해는 없었고 얼마 안 되어 해산시켰다." -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고등경찰과, 독립운동에 관한 건(제28보), 1919년 3월 27일. "3월 26일, 경기 안감리, 시위운동이상, 군중수 200명, 출동군대 5명" - 조선헌병대사령부・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소요사건 경과 개람표(1919.3.1.-1919.4.30.), 1919년 5월 10일.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신동엽
- 시인이다.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석림이라는 필명으로 쓴 장시(長詩)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로 등단하였다. 대학 졸업 후 돈암동에서 자취를 하면서 헌책방을 차려 생계를 꾸린다. 인병선과 결혼 후 건강악화를 이유로 낙향했다가 1960년 서울로 올라와 다시 돈암동에 집을 마련하였다. 2년 후 동선동 5가 45번지에 작은 한옥으로 이사하였다. 4.19혁명의 정신을 되새긴 「껍데기는 가라」(1967)와 동학농민운동을 주제로 한 장편 서사시 「금강」(1967) 등을 통해 한민족 고유의 역사인식과 민족애, 날카로운 현실인식과 민중의 저항의식을 시로 읊었다.
- 이야기 더보기
- 전성우
- 성북동에서 활동했던 화가이다. 호는 우송(雨松)으로 간송 전형필의 장남이다. 1934년 서울에서 출생하였고, 어릴 때부터 보화각(현 간송미술관)을 찾는 예술가들을 통해 그림을 보는 안목과 지식을 익히고 교육받았다. 서울대학교 미대에 입학했다가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현대미술을 접하고 추상화의 세계에 빠져들어, 해방 후 1세대 추상화가가 되었다. 부친의 사망을 계기로 귀국하여 1966년 전형필의 지인들과 함께 한국민족미술연구소를 설립하고 보화각을 간송미술관으로 새롭게 개편시켰다. 서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하고, 보성고등학교 교장을 맡기도 하였다. 퇴직 후에는 미국 유학 시절부터 주제로 삼았던 「만다라」를 이어 「청화만다라」 연작을 발표하였고, 국내외에서 많은 개인전과 초대전을 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최인훈
- 소설가이다. 최인훈은 1936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났는데, 가족과 함께 월남하여 목포상업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법대를 중퇴하였다. 1959년 『자유문학』에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와 「라울전(傳)」이 추천되어 등단하였다. 1960년 「가면고」, 「광장」 등을 발표하면서 작가적 명성을 굳혔다. 4.19혁명이 있고 7개월 뒤인 1960년 11월에 발표한 「광장」은 당대까지 금기시되었던 남북한의 이데올로기 대립을 파헤친 대표작으로 발표 직후 문단 안팎에 파란을 일으켰다. 한편 「소설과 구보씨의 일일」과 「화두」(1994)에서 성북동을 주된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하였으며, 특히 「화두」는 이태준의 집을 대단히 상세하게 설명하여 실제로 이태준의 집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 이야기 더보기
- 2016년 4.19 혁명 56주년 기념 문화제
- 1960년 4월 19일 학생들의 시위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된 반정부 민주주의 혁명인 4.19혁명의 56주년을 기념하여 실시한 문화제이다. 문화제는 2016년 4월 16일부터 1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학술회의, 4.19혁명 학생 시위 재현 행사, 4.19기념 마라톤 대회, 특별전시회, 4.19혁명과 함께하는 걷기대회 등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