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건

성북구와 관련된 사진, 영상, 간행물 등 기록물을 열람하는 곳입니다.

검색정보 입력
616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필터

  • 기록물 유형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필터 닫기
  • 생산
    필터 닫기
  • 시대
    필터 닫기
  • 지역
    필터 닫기
  • 이용조건
    • 펼쳐보기
    • 펼쳐보기
    필터 닫기
보기: 정렬:
  • [와보숑이 만난 풍경 88회] 2023 성북구 사회적경제 한마당
    시청각류
    [와보숑이 만난 풍경 88회] 2023 성북구 사회적경제 한마당
    성북마을방송 와보숑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2023년 10월 20일 성북구청 바람마당에서 진행된 성북구 사회적경제 한마당 스케치 영상이다.
  • [와보숑이 만난 풍경 84회] 버려진 책 업사이클링 워크숍
    시청각류
    [와보숑이 만난 풍경 84회] 버려진 책 업사이클링 워크숍
    성북마을방송 와보숑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2023년 8월 5일, 성북구 동선동에 위치한 미인도에서 진행된 '버려진 책 업사이클링 워크숍' 스케치 영상이다.
  • 2020 자원봉사단 성북천 자율청소 (3)
    시청각류
    2020 자원봉사단 성북천 자율청소 (3)
    2020년 10월 돈암초등학교 총동문회 아름다운 봉사단과 성북구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단이 성북구청 앞 성북천 정화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 2020 자원봉사단 성북천 자율청소 (2)
    시청각류
    2020 자원봉사단 성북천 자율청소 (2)
    2020년 10월 돈암초등학교 총동문회 아름다운 봉사단과 성북구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단이 성북구청 앞 성북천 정화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 2020 자원봉사단 성북천 자율청소 (1)
    시청각류
    2020 자원봉사단 성북천 자율청소 (1)
    2020년 10월 돈암초등학교 총동문회 아름다운 봉사단과 성북구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단이 성북구청 앞 성북천 정화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 2005 중랑천 정화 활동 (2)
    시청각류
    2005 중랑천 정화 활동 (2)
    2005년 6월 성북구 녹색환경 실천단이 중랑천에서 오물을 수거하는 등의 정화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5)
    시청각류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5)
    2016년 6월 새마을운동성북구지회가 성북천 바람마당교 ~ 하늘다리 구간에서 정화활동 중 수질개선을 위해 미꾸라지를 성북천에 풀어놓고 있는 모습이다.
  •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4)
    시청각류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4)
    2016년 6월 새마을운동성북구지회가 성북천 바람마당교 ~ 하늘다리 구간에서 정화활동 중 EM흙공을 성북천에 던지고 있는 모습이다.
  •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3)
    시청각류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3)
    2016년 6월 새마을운동성북구지회가 성북천 바람마당교 ~ 하늘다리 구간에서 정화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2)
    시청각류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2)
    2016년 6월 새마을운동성북구지회가 성북천 바람마당교 ~ 하늘다리 구간에서 정화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1)
    시청각류
    2016 새마을단체 성북천 정화활동 (1)
    2016년 6월 새마을운동성북구지회가 성북천 바람마당교 ~ 하늘다리 구간에서 정화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 2023 새마을방역봉사대(새마을협의회) 발대식 및 방역활동 (5)
    시청각류
    2023 새마을방역봉사대(새마을협의회) 발대식 및 방역활동 (5)
    2023년 4월 새마을 방역발대식에서 성북천을 청소하고 있는 모습이다.
  • 2023 새마을방역봉사대(새마을협의회) 발대식 및 방역활동 (4)
    시청각류
    2023 새마을방역봉사대(새마을협의회) 발대식 및 방역활동 (4)
    2023년 4월 새마을 방역발대식에서 성북천을 청소하고 있는 모습이다.
  • 2019 새마을방역봉사대(새마을협의회) 발대식 및 방역활동
    시청각류
    2019 새마을방역봉사대(새마을협의회) 발대식 및 방역활동
    2019년 5월 새마을지도협의회 방역 발대식 중 하천 청소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 2017 새마을방역봉사대(새마을협의회) 발대식 및 방역활동 (2)
    시청각류
    2017 새마을방역봉사대(새마을협의회) 발대식 및 방역활동 (2)
    2017년 5월 새마을방역봉사대 발대식 중 하천을 살리기 위해 EM흙공 500개를 성북천에 던지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다.
  • 돈암: 도성 밖 신도시
    문서류
    돈암: 도성 밖 신도시
    2022년 5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발행한 책으로 2021년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 돈암 지역 조사의 일환으로 발행했다. 표지의 문구는 박완서 「그 남자네 집」에서 발췌하였다. 성북구 돈암지구(현 돈암동, 동선동, 삼선동, 안암동, 보문동 일대)를 중심으로 성북구 일대의 도시 개발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장, 상가, 아파트 등의 변천 모습도 담겨 있다. 도시의 변화뿐 아니라 미아리고개 역학촌의 형성과 ‘철학원’이라는 미아리고개 역학촌만의 고유 색깔이 형성된 역사와 시각장애인 공동체의 자립 또한 기술하고 있다. 돈암동의 박공무소, 아리랑고개, 돈암동의 오래된 음식점 등에 대한 구술 자료도 제시하고 있어 보다 자세한 일상 속 돈암의 역사를 알 수 있다.
  • 아리랑로(4)
    시청각류
    아리랑로(4)
    아리랑로 중 아리랑고개 사거리의 사진이다. 북악산로와 아리랑로가 교차되는 곳이다.
  • 미아(彌阿), 동선(東仙), 석관권(石串圈) 상업지역으로 개발추진
    기타
    미아(彌阿), 동선(東仙), 석관권(石串圈) 상업지역으로 개발추진
    내용 : 주거지역 및 준주거지역이었던 미아삼거리, 석관사거리 및 성신여대 입구 일대를 상업지역으로 용도변경하여 개발하겠다는 내용이다. 신문명 : 연합뉴스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발행일 : 1993년 05월 06일 목요일 오후 6:15(기사입력)
  • 서울 서울 동(洞)의 역사 성북구 제2권(삼선동·동선동·돈암동)
    문서류
    서울 서울 동(洞)의 역사 성북구 제2권(삼선동·동선동·돈암동)
    서울역사편찬원에서 발간한 도서이다. 서울 동의 역사 성북구 제2권에는 삼선동, 동선동, 돈암동 관련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 [2022 마을장터] 떡하면 돈암시장 떡집
    시청각류
    [2022 마을장터] 떡하면 돈암시장 떡집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돈암시장 내 가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도레미문구 이전 후(2)
    시청각류
    도레미문구 이전 후(2)
    2022년 이전 후 도레미문구의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이소희 작성]
  • 도레미문구 이전 후(1)
    시청각류
    도레미문구 이전 후(1)
    도레미 문구가 2022년 이전한 건물의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이소희 작성]
  • 도레미문구 이전 전 건물
    시청각류
    도레미문구 이전 전 건물
    도레미 문구가 2022년 중순 이전하기 전에 있었던 건물의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이소희 작성]
  •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성북천(청계천 방향)
    시청각류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성북천(청계천 방향)
    박완서의 소설 <그 남자네 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찾아 촬영하였다. 바람마당교 위에서 청계천 방향으로 본 성북천의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구정숙 작성]
  •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성북천(돈암동 방향)
    시청각류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성북천(돈암동 방향)
    박완서의 소설 <그 남자네 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찾아 촬영하였다. 바람마당교 위에서 돈암동 방향으로 본 성북천의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구정숙 작성]
  •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신안탕이 있던 자리
    시청각류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신안탕이 있던 자리
    박완서의 소설 <그 남자네 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찾아 촬영하였다. 소설에서 신선탕으로 표현된, 옛 신안탕이 있었던 자리이다. [주민기록단 구정숙 작성]
  •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돈암동성당 옆 어린이집
    시청각류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돈암동성당 옆 어린이집
    박완서의 소설 <그 남자네 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찾아 촬영하였다. 성북천에서 바라 본 돈암동성당 옆 다윗어린이집의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구정숙 작성]
  •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돈암동성당(3)
    시청각류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돈암동성당(3)
    박완서의 소설 <그 남자네 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찾아 촬영하였다. 성북천에서 바라 본 돈암동성당의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구정숙 작성]
  •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돈암동성당(1)
    시청각류
    <그 남자네 집> 속 장소_돈암동성당(1)
    박완서의 소설 <그 남자네 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찾아 촬영하였다. 성북천에서 바라 본 돈암동성당의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구정숙 작성]
  • 동소문로24길 49
    시청각류
    동소문로24길 49
    동소문로24길 49에 위치한 가게의 모습이다.
  • 이하연, <성북천의 거리>
    시청각류
    이하연, <성북천의 거리>
    2022년 봄, 한성대학교 예술학부 회화과와의 협업을 통해 제작된 그림이다. 성북천변 동소문로24길 49에 위치한 가게를 그렸다.
  • 고려대로7길 110
    시청각류
    고려대로7길 110
    성북천변 고려대로7길 110에 위치한 건물의 모습이다.
  • 남채연, <구룡포 회집>
    시청각류
    남채연, <구룡포 회집>
    2022년 봄, 한성대학교 예술학부 회화과와의 협업을 통해 제작된 그림이다. 성북천변 고려대로7길 110에 위치한 건물을 그렸다.
  • [여기는 성북] 비오는 성북천
    시청각류
    [여기는 성북] 비오는 성북천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비 오는 날의 성북천 모습을 담았다.
  • 지적도 : 동선동1·3·4가 일대, 1968년
    기타
    지적도 : 동선동1·3·4가 일대, 1968년
    성북구청 지적과로부터 수집한 1968년 동선동 일대의 지적도이다. 동선동1·3·4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중앙의 도로는 1964~1966년 대대적인 확장공사를 실시한 미아로(현 동소문로)이다. 서울과 외곽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이었지만 8~10m 정도로 폭이 좁았던 미아로는 이때의 공사로 구간에 따라 23~35m까지 넓게 확장되었고 미아리고개의 경사도 완만해졌다. (구)돈암동 지역의 중심이 된 미아로 대로변에 점집이 하나씩 들어서면서 역학촌이 형성되었다. 미아리 역학촌은 1970~80년대에 호황을 누리다가 현재는 일부만 남았다. 미아로 확장공사 완료 후에 작성된 본 지적도의 축척은 1/600이며, 1990년 3월 31일부로 폐쇄되었다.
  • 지적도 : 동소문동6가, 1960년대
    기타
    지적도 : 동소문동6가, 1960년대
    성북구청 지적과로부터 수집한 1960년대 동소문동6가 일대의 지적도이다. 기존 돈암동에서 동소문동6가로 지번 정리가 완료된 1961년 이후 생산된 문서로, 폐쇄 시기는 1968년이다. 축척은 1/600이며 동소문동6가를 중심으로 동소문동 4·5가의 일부가 담겼다. 북서쪽 넓은 필지는 1944년 개교한 돈암초등학교 부지이다. 이 지역은 1936~1941년 돈암지구 개발 이후 동일한 형태의 도시한옥들이 들어선 주거지였다. 2022년 현재는 한옥의 형태를 살린 카페, 식당과 주택이 혼재되어 있다.
  • 지적도 : 옛 돈암동 294-1번지 일대, 1924년
    기타
    지적도 : 옛 돈암동 294-1번지 일대, 1924년
    성북구청 지적과로부터 수집한 1924년 옛 돈암동 294-1번지 일대의 지적도이다. 좌측 하단에 작성한 '대정13년'을 통해 발행 시기를 알 수 있다. 이 시기는 돈암지구가 조성되어 다시 수도로 편입되기 이전이므로 우측 상단에 '고양군 숭인면 돈암리'로 기재되어 있다. 294-1번지 및 그 주변이 '밭(田)'으로 표기되고 필지의 크기와 모양이 제각각이다. 돈암지구 구획정리사업 이후 주거지가 계획적으로 조성된 모습은 동일 지역인 동소문동6가의 1960년대 지적도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 지적도 : 동선동1·3가 일대, 1968년
    기타
    지적도 : 동선동1·3가 일대, 1968년
    성북구청 지적과로부터 수집한 동선동1가 및 3가의 지적도이다. 전차가 폐선된 이후인 1968년 12월에 생산한 문서로 기존에 종점 사무소가 있던 114번지 일대(좌측 상단) 토지구획의 변화가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일 지역의 1968년 폐쇄 지적도에서는 하나의 필지였던 85번지(좌측~중앙 하단)가 본 지적도에서는 여러 지번으로 구획되었다. 현재 동선동1가 85번지 일대는 성신여대 등 인근 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상권이 발달한 하나로거리이다. 축척은 1/600, 폐쇄 일자는 1990년 3월 31일이다.
  • 지적도 : 동선동1·3가 일대, 1960년대 (1968년 폐쇄)
    기타
    지적도 : 동선동1·3가 일대, 1960년대 (1968년 폐쇄)
    성북구청 지적과를 통해 입수한 1960년대 동선동1가 및 3가 일대의 지적도이다. 동선동1가 114-1에 경전전차 돈암동 종점 사무소가 있고 전차가 다니던 시기이다. 1936년 이전의 동일 지역(옛 돈암동 101-32 일대) 지적도와 비교하면 돈암지구 구획정리사업의 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우측 상단에 한자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선동'이 기재되었는데 동선동은 1949년 성북구 신설 이후 돈암동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중앙에 표기된 점선은 동선동1가와 3가의 경계인데 이것은 2022년 현재에도 해당된다. 본 지적도의 축척은 1/600이며 1968년 폐쇄되었다.
  • 지적도 : 옛 돈암동 101-32번지 일대, 1936년 이전
    기타
    지적도 : 옛 돈암동 101-32번지 일대, 1936년 이전
    성북구청 지적과를 통해 입수한 옛 돈암동 101-32번지 일대의 지적도이다. 고양군 숭인면 돈암리(高陽郡 崇仁面 敦岩里)가 우측 상단에 기재된 것으로 보아, 돈암지구가 조성되어 이 지역이 다시 수도로 편입된 1936년 이전에 작성한 문서임을 알 수 있다. 본 지적도는 '경성시가지계획 돈암지구 구획정리사업'이 시행되기 이전의 모습으로, 이 지역은 이후 시가지 및 주거지가 조성되고 1949년 돈암동에서 동선동으로 분리된 지금의 성신여대입구역 인근이다.
  • 4호선 정거장 지적승인: 돈암역(현 성신여대입구역) 위치도
    기타
    4호선 정거장 지적승인: 돈암역(현 성신여대입구역) 위치도
    서울특별시 교통국 운수제1과가 1981년에 생산한 문서로, 지하철 4호선이 정차할 각 정거장의 위치를 지적도(地籍圖)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본 위치도에서 말하는 돈암역은 현재의 성신여대입구역으로, 1985년 4월 개통 직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인근 동명인 '돈암'을 병기하였다. * 서울기록원 홈페이지에서는 본 지적승인 문서를 PDF 형식의 원문으로 제공하되, 이용조건에 제한을 두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성북마을아카이브는 본 기록물의 지도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주기 위해 이미지 파일(PNG)로 변환 및 부분 편집하여 공개함을 밝힌다.
  • 「시가지계획 돈암 토지구획정리 계획평면도」, 『경성부 영등포 및 돈암 토지구획정리비 기채의 건』, 1938
    기타
    「시가지계획 돈암 토지구획정리 계획평면도」, 『경성부 영등포 및 돈암 토지구획정리비 기채의 건』, 1938
    1938년에 작성된 『경성부 영등포 및 돈암 토지구획정리비 기채의 건』 문서에 실린, 「시가지계획 돈암 토지구획정리 계획평면도」이다. 돈암지구에 주거지뿐 아니라 학교, 공원, 시장, 관사 등 근대적인 도시기반시설을 조성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본 문서는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다.
  • 최신대경성전도, 1939
    기타
    최신대경성전도, 1939
    1939년 5월 5일에 지성당(至誠堂)에서 발행한 최신경성전도(最新京城全圖)이다. 구 경성 도심과 용산을 비롯해 1936년 조선총독부의 대경성계획에 따라 경성에 편입된 마포, 영등포, 여의도 및 현재의 성북구, 동대문구 지역의 일부가 지도에 포함되어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유물 설명 인용]
  • 지번입대경성정밀도의 세부: 동대문 외곽 부근, 1940
    기타
    지번입대경성정밀도의 세부: 동대문 외곽 부근, 1940
    <지번입대경성정밀도>는 경성 지성당서점에서 1940년에 발행한 1:11,000의 서울지도이다. 편집발행인은 백천행청(白川行晴)이고, 인쇄소는 일본 요꼬하마에 있는 광릉 인쇄합자회사로 조선헌병대사령부와 조선총독부의 점검을 거쳐 1940년 1월에 인쇄·발행되었다. 지도는 도성과 도성의 동서지역 및 용산과 영등포지역을 모두 한 지도에 표현하기 위해 서쪽으로 기울여 제작하였다. 그리고 산악은 등고선 없이 음영법으로 처리하였으며, 지번을 함께 적어 놓아 지적도의 성격도 겸하였다. (중략) 돈암지구와 영등포지구 등에 넓은 도로가 바둑판식으로 뚫려 있어 토지구획사업이 진척되었음을 알 수 있고, 신설동에는 경마장(1923)이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는 이름에 걸맞게 이 시기에 제작된 지도 중 가장 축척이 크고 정밀한 지도여서 당시 서울의 변화상을 잘 엿볼 수 있는 지도이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유물 설명 인용]
  • 지번입대경성정밀도, 1940
    기타
    지번입대경성정밀도, 1940
    <지번입대경성정밀도>는 경성 지성당서점에서 1940년에 발행한 1:11,000의 서울지도이다. 편집발행인은 백천행청(白川行晴)이고, 인쇄소는 일본 요꼬하마에 있는 광릉 인쇄합자회사로 조선헌병대사령부와 조선총독부의 점검을 거쳐 1940년 1월에 인쇄·발행되었다. 지도는 도성과 도성의 동서지역 및 용산과 영등포지역을 모두 한 지도에 표현하기 위해 서쪽으로 기울여 제작하였다. 그리고 산악은 등고선 없이 음영법으로 처리하였으며, 지번을 함께 적어 놓아 지적도의 성격도 겸하였다. (중략) 돈암지구와 영등포지구 등에 넓은 도로가 바둑판식으로 뚫려 있어 토지구획사업이 진척되었음을 알 수 있고, 신설동에는 경마장(1923)이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는 이름에 걸맞게 이 시기에 제작된 지도 중 가장 축척이 크고 정밀한 지도여서 당시 서울의 변화상을 잘 엿볼 수 있는 지도이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유물 설명 인용]
  • 성북마을 권역별 지도_성북·동선 권역(1)
    기타
    성북마을 권역별 지도_성북·동선 권역(1)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가 마을자원활동가들과 함께 2021년 하반기 진행했던 마을공동체공간 연구 조사를 바탕으로 제작한 지도이다. 성북구 10개 마을의 주민커뮤니티센터, 도서관, 복지관, 공방 등 다양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담았다. 본 기록물은 성북·동선 권역에 대한 지도이지만, 다른 성북구 마을에 대한 간략한 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 성북마을 권역별 지도_성북·동선 권역(2)
    기타
    성북마을 권역별 지도_성북·동선 권역(2)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가 마을자원활동가들과 함께 2021년 하반기 진행했던 마을공동체공간 연구 조사를 바탕으로 제작한 지도이다. 성북구 10개 마을을 5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주민커뮤니티센터, 도서관, 복지관, 공방 등 다양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담았다. 본 기록물은 성북·동선 권역에 대한 지도로, 성북동·삼선동·동선동·돈암동·보문동 일대의 마을공동체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
  • 경성안내, 1944
    기타
    경성안내, 1944
    1944년, 76X54cm, 지성당 발행 1940년대 전반의 서울을 알 수 있는 지도이다. 한강을 중심으로 서울의 성벽, 산악, 구(區)의 범위, 각급학교, 사원과 신사, 경찰서의 위치가 명료하게 그려져 있다. 그리고 철도와 전차, 버스 노선을 표시하여 당시 교통수단과 운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울 시내의 도로망, 행정경계, 외곽 경계, 토지이용 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이다.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박물관 자료설명 인용] 돈암지구 정비사업이 완료된 이후에 제작된 지도로, 현재의 돈암·안암·보문동 일대로 경성부가 확장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성북정(城北町), 돈암정(敦岩町), 안암정(安岩町), 신설정(新設町, 현재 보문동 포함) 등의 일본식 지명이 표기되어 있다.
  • 경성부관내도, 1940
    기타
    경성부관내도, 1940
    1940년, 85X66cm 1/25,000 축척의 행정용 서울지도로 간행되었다. 이 지도에 서울의 범위는 한강 이북, 북악산 이남, 김포 이동, 중랑천 이서 지역이다. 시가지나 부락은 갈색으로 표현하고, 주변의 산지는 황색으로 채색했다. 사찰과 신사, 교회, 학교, 우편국, 경찰서가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를 통해 당시 서울의 행정과 지명,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박물관 자료설명 인용] 돈암지구 정비사업이 거의 마무리되어가던 시기에 제작된 지도라 도로망이나 주거지 조성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경성시가지계획평면도, 1937
    기타
    경성시가지계획평면도, 1937
    1937년, 103X139cm, 조선인쇄주식회사 경성도시계획연구회에 의해 만들어진 1/15,000 축척의 서울 시가지 계획지도이다. 1930년대 후반 서울의 도시계획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지도에는 서울의 시가지 계획과 관련하여 강북을 중심으로 시가지계획지구, 토지구획정비지구, 넓은 도로, 대로, 중로, 광장, 거주불가능지경계선, 철로 등이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박물관 자료설명 인용] 지도 우측 상단에서 지금의 돈암동, 동선동, 삼선동, 안암동, 보문동 일대에 해당하는 '돈암지구'에 대한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