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건

성북구와 관련된 사진, 영상, 간행물 등 기록물을 열람하는 곳입니다.

검색정보 입력
202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필터

  • 기록물 유형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필터 닫기
  • 생산
    필터 닫기
  • 시대
    필터 닫기
  • 지역
    필터 닫기
  • 이용조건
    • 펼쳐보기
    • 펼쳐보기
    필터 닫기
보기: 정렬:
  • 수선전도
    기타
    수선전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수선전도首善全圖>는 현재 고려대학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목판 수선전도와 거의 유사한 형태의 목판본 지도이다. '수선首善'이란 『시경詩經』에 '建首善自京師始', 즉 으뜸가는 선善을 건설함은 서울에서 시작된다고 한 데에서 온 말이다. 따라서 '수선전도首善全圖'는 곧 '서울전도'를 의미한다. 고려대본 수선전도는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그 제작 시기에 관해 여러 의견이 있으나 김정호의 생존 시기를 1800년대에서 1860년대로 보아 고려대본의 제작 시기를 1840년대로 보는 의견이 가장 유력하다. <수선전도>는 목판으로 인쇄한 후에 산과 하천, 주요 궁궐 등을 엷게 채색한 것이다. 또한 고려대본과 달리 상단에는 주기가 하단에는 간기가 기재되어 있다. 지도에 기록된 지명과 좌측 하단의 간기 '갑자甲子'를 토대로 1864년에 다시 판각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 설명 인용] 도성 밖 북동쪽에서 성북동, 안암동, 혜화문, 적유현(미아리고개), 신흥사(흥천사), 정릉 등 성북 관련 지명을 찾을 수 있다.
  • 도성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기타
    도성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18세기 말에 제작한 한양 지도로, 남쪽을 바라보며 정사(政事)를 살피는 국왕의 시각에 맞추어 방위가 거꾸로 묘사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따라서 도성 밖 성북 지역은 북동쪽이 아닌 남서쪽에 묘사되어 있다. 18세기 유행한 정선(鄭敾, 1676-1759)의 진경산수화풍을 따르는 회화성이 탁월한 지도로, 보물 제1560호에 지정되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다.
  • 도성도 (도성 밖 동쪽 세부)
    기타
    도성도 (도성 밖 동쪽 세부)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수집한 조선시대 <도성도>의 도성 밖 동쪽 부분을 확대한 모습이다. 안암, 장위, 고암(鼓岩, 종암동의 옛 이름) 등 성북구 관련 지명이 표기되어 있다.
  • 도성도
    기타
    도성도
    세로 65.5cm, 가로 74.5cm 크기의 지도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이다. 산세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회화식 지도가 발달한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도성을 중심으로 그렸으나 도성 밖 동쪽 지역에 성북구 관련 지명을 찾아볼 수 있다.
  • 서울지도
    기타
    서울지도
    1902년 영국왕립아시아학회(Royal Asiatic Society)가 제작한 가로 58.7cm, 세로 65cm 크기의 서울 지도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이다. 도성 밖 북동쪽을 살펴보면 문헌에 나타나는 서울의 동명 중 가장 오래된 안암동을 비롯하여 사아리(沙阿里, 현 정릉동), 숭신방(崇信坊, 현 안암·종암·돈암·정릉·동소문·동선동), 인창방(仁昌坊, 현 장위·석관·월곡동), 락타산(낙산) 등 성북구 관련 지명이 한글과 한자로 병기되어 있다. 왕립아시아학회의 한국지부는 1900년 창립되었고 국내외 서양인들에 의한 한국 연구의 본진으로 기능하였다.
  • 혜화문 밖 삼선동, 돈암동 모습(1884)
    시청각류
    혜화문 밖 삼선동, 돈암동 모습(1884)
    Museum of Fine Arts Boston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1884년 삼선동 및 돈암동 일대 사진이다.
  • 가을밤 청암사에 모여 읊다[秋夜會吟靑巖寺]_최린 저(著)
    기타
    가을밤 청암사에 모여 읊다[秋夜會吟靑巖寺]_최린 저(著)
    내용: 성북구 경국사에서 최린이 지은 시. 잡지명: 서북학회월보 제17호 발행일: 1909년 11월 01일 상세위치: 29쪽.
  • 가을밤 청암사에 모여 읊다[秋夜會吟靑巖寺]_이은우 저(著)
    기타
    가을밤 청암사에 모여 읊다[秋夜會吟靑巖寺]_이은우 저(著)
    내용: 성북구 경국사에서 연사(蓮史) 이은우가 지은 시. 잡지명: 서북학회월보 제17호 발행일: 1909년 11월 01일 상세위치: 29쪽.
  • 가을밤 청암사에 모여 읊다[秋夜會吟靑巖寺]_백하(白下) 저(著)
    기타
    가을밤 청암사에 모여 읊다[秋夜會吟靑巖寺]_백하(白下) 저(著)
    내용: 성북구 경국사에서 백하(白下)라는 필명을 쓰는 자가 지은 시. 잡지명: 서북학회월보 제17호 발행일: 1909년 11월 01일 상세위치: 28-29쪽.
  • 가을밤 청암사에 모여 읊다[秋夜會吟靑巖寺]_김원극 저(著)
    기타
    가을밤 청암사에 모여 읊다[秋夜會吟靑巖寺]_김원극 저(著)
    내용: 성북구 경국사에서 지은 송남(松南) 김원극(金源極)의 시. 잡지명: 서북학회월보 제17호 발행일: 1909년 11월 01일 상세위치: 28쪽.
  • 셋째 공주의 작호를 덕온으로 삼다
    기타
    셋째 공주의 작호를 덕온으로 삼다
    내용: '덕온(德溫)'을 순조 셋째 딸의 작호로 삼았다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순조실록 30권, 순조 29년 3월 6일 경자 4번째기사 ,1829년 청 도광(道光) 9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30책 30권 34장 A면【국편영인본】 48책 324면
  • 승정원일기 2428책 (탈초본 119책) 헌종 10년 6월 12일 정미 15/19 기사
    기타
    승정원일기 2428책 (탈초본 119책) 헌종 10년 6월 12일 정미 15/19 기사
    내용: 덕온공주의 묘지를 정했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주기사항: 승정원일기 2428책 (탈초본 119책) 헌종 10년 6월 12일 정미 15/19 기사.
  •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_소요사건 경과 개람표(1919.3.1.-1919.4.30.)
    문서류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_소요사건 경과 개람표(1919.3.1.-1919.4.30.)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는 3.1운동 발발 직후인 1919년 3월 1일부터 1921년 10월 까지 일본 육군성에 수시로 보고된 전보 문건들과 일자별 정리 보고 문서이다. 3.1운동에 대한 각종 정보 통계 및 지도 등 다양한 형태로 문서가 생산, 편철되었다. 3.1운동 관련 내용과 함께 1920년대 초반의 한국 민족의 국내외 독립운동과 관련한 보고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기록물은 1919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의 시위를 일자별, 지역별로 정리한 것이다. 이 기록물에 따르면 1919년 3월 23일 경성 고양군 돈암리에서 100명 가량이 모인 시위가 발생하였는데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출병한 군대는 없었다. 3월 24일에는 동소문 부근에서 60명 가량이 시위를 하였다. 3월 26일에는 안감리(현 안암동 일대)에서 약 200명이 시위에 참여하였으며, 군사 5명의 출동하였다. 3월 27일에는 안감리에서 약 500명, 돈암리에서 약 50명이 시위에 참여하였다.
  • 덕온 공주가 남녕위 윤의선에게 하가하다
    기타
    덕온 공주가 남녕위 윤의선에게 하가하다
    내용: 덕온공주가 윤의선에게 하가한다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 헌종실록 4권, 헌종 3년 8월 13일 무오 1번째기사, 1837년 청 도광(道光) 17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2책 4권 8장 B면【국편영인본】 48책 452면
  • 손가장[至孫家庄。見石上有南藥泉詩云孫家父子號英䧺。割據三分覇業隆。爲庶於今何足恨。一區泉石勝江東。余讀而愛之。旣而問之。則今已爲他人物矣。余不覺感歎。以爲孫家前後。何其初善擇地而卒皆不克保也。今之一區。亦猶昔之江東。余未見其勝也。因步其韻以和。噫。九原可作。藥泉相公。殆必笑而然之。許刻于下也。]
    기타
    손가장[至孫家庄。見石上有南藥泉詩云孫家父子號英䧺。割據三分覇業隆。爲庶於今何足恨。一區泉石勝江東。余讀而愛之。旣而問之。則今已爲他人物矣。余不覺感歎。以爲孫家前後。何其初善擇地而卒皆不克保也。今之一區。亦猶昔之江東。余未見其勝也。因步其韻以和。噫。九原可作。藥泉相公。殆必笑而然之。許刻于下也。]
    내용: 남구만이 손가정에서 지은 시를 보고 윤기가 이를 차운하여 지은 시. 주기사항: 무명자집시고책일(無名子集詩稿册一), 시(詩).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2000, a256_017b
  • 경력(經歷) 박대용(朴大容)에 대한 만사
    기타
    경력(經歷) 박대용(朴大容)에 대한 만사
    내용: 낙산이 소재로 사용된 이정귀의 한시. 주기사항: 월사집 제16권, 권응록 상(倦應錄上).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이상하(역), 2001), a069_368c.
  • 이 판결사[전]의 죽음을 애도함[挽李判決(淀)]
    기타
    이 판결사[전]의 죽음을 애도함[挽李判決(淀)]
    내용: 타락산(지금의 낙산)이 소재로 사용된 윤휴의 한시. 주기사항: 백호전서 제2권, 시(詩) 칠언절구(七言絶句).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4(양홍렬(역), 1995), a123_032d.
  • 개국 정도(開國定都)
    기타
    개국 정도(開國定都)
    내용: 한양도성의 8문에 대한 내용 중 혜화문과 그 속칭이 언급됨. 주기사항: 연려실기술 제1권, 태조조 고사본말(太祖朝故事本末).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이병도(역), 1966, 1300A_V001_610.
  • 속절(俗節)의 잡희(雜戲)
    기타
    속절(俗節)의 잡희(雜戲)
    내용: 조선시대 군례 중 나례에 대한 설명으로, 나례가 시행되는 곳 중 숙정문이 포함됨. 주기사항 : 연려실기술 별집 제12권, 정교전교(政敎典故).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신학상(역), 1967, 1300A_V010_866.
  • 나례(儺禮)
    기타
    나례(儺禮)
    내용: 조선시대 군례 중 나례에 대한 설명으로, 나례가 시행되는 곳 중 숙정문이 포함됨. 주기사항 : 임하필기 제16권, 문헌지장편(文獻指掌編).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홍승균(역), 1999, 1432A_V003_132B.
  • 청성잡기(靑城雜記) 성언(醒言) 노비부처와 공노비 해방
    기타
    청성잡기(靑城雜記) 성언(醒言) 노비부처와 공노비 해방
    내용: 수록된 이야기 중 한 편의 주된 공간적 배경으로 혜화문 바깥이 설정됨. 주기사항 : 청성잡기 제5권. 비고 : 한국고전번역원, 박재영(역), 2006.
  • 일시(日時)
    기타
    일시(日時)
    내용: 기사의 내용 중 혜화문 바깥에서 세초했다는 내용이 있음. 주기사항: 일기청등록(日記廳謄錄) 일기청개수등록(日記廳改修謄錄), 광서(光緖) 16년 경인(1890, 고종27) 12월 일.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소진희(역), 2005.
  • 좌부승지 이명규가 진주의 죄수 박한석의 추안을 아뢰다
    기타
    좌부승지 이명규가 진주의 죄수 박한석의 추안을 아뢰다
    내용: 동소문 바깥에서 발생한 사망 사건 관련자를 취조한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중종실록 95권, 중종 36년 6월 18일 계유 1번째기사, 1541년 명 가정(嘉靖) 20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48책 95권 49장 A면, 【국편영인본】 18책 476면.
  • 형조가 사간을 추문하는 일로 아뢰다
    기타
    형조가 사간을 추문하는 일로 아뢰다
    내용: 동소문 바깥에서 발생한 사망 사건에 관한 기사. 주기사항: 중종실록 95권, 중종 36년 6월 11일 병인 1번째기사, 1541년 명 가정(嘉靖) 20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48책 95권 45장 B면, 【국편영인본】 18책 474면.
  • 의정부 육조에서 풍정을 바치다
    기타
    의정부 육조에서 풍정을 바치다
    내용: 환궁한 세조를 맞이한 공간으로 동소문이 언급된 기사. 주기사항: 세조실록 15권, 세조 5년 3월 1일 계미 1번째기사, 1459년 명 천순(天順) 3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6책 15권 16장 A면, 【국편영인본】 7책 314면.
  • 해동야언(海東野言) 3 중종(中宗) 상(上)
    기타
    해동야언(海東野言) 3 중종(中宗) 상(上)
    내용: 수록된 야사 중 한 편의 공간적 배경이 동소문 일대로 설정됨. 주기사항: 大東野乘卷之九.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김종오·김익현(공역), 1971, 1317A_V002_680.
  • 송와잡설(松窩雜說)
    기타
    송와잡설(松窩雜說)
    내용: 함경도 사람이 동소문을 통해 한양으로 들어오게 된 것이 언급됨. 주기사항: 大東野乘卷之五十六. 비고: 한국고전번역원, 이익성 (역), 1975, 1347A_V014_030B.
  • 성문을 열고 저자를 환원하고, 사신으로 온 왜인들은 관원을 명하여 공궤하게 하다
    기타
    성문을 열고 저자를 환원하고, 사신으로 온 왜인들은 관원을 명하여 공궤하게 하다
    내용: 개방한 숙정문을 다시 닫을 것을 건의하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중종실록 62권, 중종 23년 8월 1일 경자 1번째기사, 1528년 명 가정(嘉靖) 7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31책 62권 33장 B면, 【국편영인본】 17책 17면.
  • 예조가 기우제 등의 일로 아뢰다
    기타
    예조가 기우제 등의 일로 아뢰다
    내용: 가뭄으로 숙정문을 개방한 이후 기우제를 지내는 절차에 관한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명종실록 34권, 명종 22년 4월 19일 갑진 1번째기사, 1567년 명 가정(嘉靖) 46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21책 34권 25장 A면, 【국편영인본】 21책 150면.
  • 극심한 가뭄으로 기우하는 일에 관해 전교하다
    기타
    극심한 가뭄으로 기우하는 일에 관해 전교하다
    내용: 가뭄으로 인해 숙정문을 개방할 것을 명령한 명종의 전교. 주기사항: 명종실록 23권, 명종 12년 6월 24일 을사 5번째기사, 1557년 명 가정(嘉靖) 36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15책 23권 9장 B면, 【국편영인본】 20책 423면.
  • 사헌부 대사헌 홍언필 등이 이장과 맹수의 일로 상차하니 전교하다
    기타
    사헌부 대사헌 홍언필 등이 이장과 맹수의 일로 상차하니 전교하다
    내용: 백악산(북악산) 일대에 맹수가 살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중종실록 74권, 중종 28년 3월 8일 신해 1번째기사, 1533년 명 가정(嘉靖) 12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37책 74권 6장 B면, 【국편영인본】 17책 402면.
  • 이담손이 표범을 잡아 바치니 상주다
    기타
    이담손이 표범을 잡아 바치니 상주다
    내용: 백악산(북악산)에서 표범을 잡았다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중종실록 74권, 중종 28년 3월 15일 무오 1번째기사, 1533년 명 가정(嘉靖) 12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37책 74권 9장 A면, 【국편영인본】 17책 403면.
  • 원유사 종사관 이담손이 새끼 호랑이를 잡아 바치니 상을 내리다
    기타
    원유사 종사관 이담손이 새끼 호랑이를 잡아 바치니 상을 내리다
    내용: 백악산(북악산)에서 새끼 호랑이를 잡은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중종실록 73권, 중종 27년 5월 10일 정사 2번째기사, 1532년 명 가정(嘉靖) 11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37책 73권 5장 B면, 【국편영인본】 17책 370면.
  • 맹수 포획을 전교하다
    기타
    맹수 포획을 전교하다
    내용: 백악산(북악산) 일대에 사는 맹수를 포획하라는 중종의 전교. 주기사항: 중종실록 73권, 중종 28년 2월 16일 기축 2번째기사, 1533년 명 가정(嘉靖) 12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37책 73권 54장 A면, 【국편영인본】 17책 394면.
  • 행 호군 이준생이 백악산에 표범이 나타난다 하여 군사를 풀었으나 잡지 못하다
    기타
    행 호군 이준생이 백악산에 표범이 나타난다 하여 군사를 풀었으나 잡지 못하다
    내용: 백악산(북악산)에 표범이 나타난다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세조실록 27권, 세조 8년 1월 22일 정사 1번째기사, 1462년 명 천순(天順) 6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10책 27권 7장 B면, 【국편영인본】 7책 507면.
  • 헌부가 맹수 사냥 정지를 아뢰니 전교하다
    기타
    헌부가 맹수 사냥 정지를 아뢰니 전교하다
    내용: 백악산(북악산) 등지의 맹수 사냥 정지를 요청한 사헌부의 계문. 주기사항: 중종실록 74권, 중종 28년 4월 12일 갑신 4번째기사, 1533년 명 가정(嘉靖) 12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37책 74권 18장 B면, 【국편영인본】 17책 408면.
  • 양전이 세자궁에 거둥하다. 인왕산·백악산에서 몰이하여 호랑이를 잡다
    기타
    양전이 세자궁에 거둥하다. 인왕산·백악산에서 몰이하여 호랑이를 잡다
    내용: 백악산(북악산)으로 호랑이를 몰이하여 잡은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세조실록 34권, 세조 10년 12월 6일 을유 1번째기사, 1464년 명 천순(天順) 8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12책 34권 42장 B면, 【국편영인본】 7책 661면.
  • 취로정 연못가에서 발견된 호랑이의 발자욱을 추적하게 하다
    기타
    취로정 연못가에서 발견된 호랑이의 발자욱을 추적하게 하다
    내용: 백악산(북악산)으로 호랑이를 추적하라는 세조의 명령. 주기사항: 세조실록 31권, 세조 9년 12월 9일 계사 1번째기사, 1463년 명 천순(天順) 7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11책 31권 30장 B면, 【국편영인본】 7책 596면.
  • 백악산에서 호랑이를 잡다
    기타
    백악산에서 호랑이를 잡다
    내용: 백악산(북악산)에 사는 호랑이를 잡은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세조실록 44권, 세조 13년 11월 19일 신사 2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16책 44권 42장 A면, 【국편영인본】 8책 147면.
  • 백악산의 표범을 추적하고, 이를 잡은 임영 대군 등에게 물품을 내리다
    기타
    백악산의 표범을 추적하고, 이를 잡은 임영 대군 등에게 물품을 내리다
    내용: 백악산(북악산)에 사는 표범을 잡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세조실록 27권, 세조 8년 1월 24일 기미 1번째기사, 1462년 명 천순(天順) 6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10책 27권 8장 A면, 【국편영인본】 7책 508면.
  • 잡보 영어학교
    기타
    잡보 영어학교
    내용: 영어학교에서 동소문(혜화문) 밖으로 소풍을 간 것을 보도한 기사. 신문명: 독립신문 발행일: 1896년 05월 05일 화요일 발행호수: 제1권 13호. 기사 위치: 2면 2단
  • 선잠 단제 때문에 향지영례를 행하다
    기타
    선잠 단제 때문에 향지영례를 행하다
    내용: 영조가 선잠제를 위해 향을 맞이하는 예를 행함. 주기사항: 영조실록 118권, 영조 48년 3월 9일 갑진 2번째기사, 1772년 청 건륭(乾隆) 37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79책 118권 22장 A면, 【국편영인본】 44책 415면.
  • 선잠제에 쓸 향을 지영하다
    기타
    선잠제에 쓸 향을 지영하다
    내용: 영조가 선잠제에 사용할 향을 맞이하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영조실록 116권, 영조 47년 3월 3일 갑진 1번째기사, 1771년 청 건륭(乾隆) 36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78책 116권 13장 B면, 【국편영인본】 44책 374면.
  • 선잠제에 쓸 향을 지영하고 문신의 제술을 설행하다
    기타
    선잠제에 쓸 향을 지영하고 문신의 제술을 설행하다
    내용: 영조가 선잠제에 사용할 향을 맞이하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영조실록 114권, 영조 46년 3월 3일 경진 1번째기사, 1770년 청 건륭(乾隆) 35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77책 114권 11장 B면, 【국편영인본】 44책 348면.
  • 왕비가 선잠에 작헌하는 의식의 절차
    기타
    왕비가 선잠에 작헌하는 의식의 절차
    내용: 왕비의 선잠례 절차에 관한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영조실록 108권, 영조 43년 3월 10일 甲戌 5번째기사, 1767년 청 건륭(乾隆) 32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73책 108권 16장 B면, 【국편영인본】 44책 245면.
  • 승지에게 친잠 의주를 읽도록 하고 선잠 예식에 대해 말하다
    기타
    승지에게 친잠 의주를 읽도록 하고 선잠 예식에 대해 말하다
    내용: 선잠례와 친참례에 대한 조정에서의 논의. 주기사항: 영조실록 108권, 영조 43년 1월 18일 癸未 2번째기사, 1767년 청 건륭(乾隆) 32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73책 108권 3장 A면, 【국편영인본】 44책 238면.
  • 선잠제를 연기하는 일을 아뢰다
    기타
    선잠제를 연기하는 일을 아뢰다
    내용: 선잠제 연기를 건의하는 예조의 계문. 주기사항: 영조실록 76권, 영조 28년 3월 6일 정묘 3번째기사, 1752년 청 건륭(乾隆) 17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55책 76권 4장 B면, 【국편영인본】 43책 439면.
  • 선잠제를 행하다
    기타
    선잠제를 행하다
    내용: 선잠제 시행 기사. 주기사항: 현종실록 16권, 현종 10년 3월 12일 乙巳 1번째기사, 1669년 청 강희(康熙) 8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16책 16권 33장 A면, 【국편영인본】 36책 621면.
  • 내전에 친잠한 뒤 1품 이상 관원, 당상관 등에게 술과 악공을 하사하다
    기타
    내전에 친잠한 뒤 1품 이상 관원, 당상관 등에게 술과 악공을 하사하다
    내용: 친잠례 시행 뒤 선잠제의 헌관과 승지, 병조와 도총부의 여러 장수들, 예조의 낭청 등에게 하사품을 내리는 내용의 기사. 주기사항: 광해군일기[중초본] 151권, 광해 12년 4월 16일 계해 3번째기사, 1620년 명 만력(萬曆) 48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52책 52권 117장 A면, 【국편영인본】 33책 310면.
  • 친경과 친잠을 물려서 시행하고 선농과 선잠은 그대로 행하도록하다
    기타
    친경과 친잠을 물려서 시행하고 선농과 선잠은 그대로 행하도록하다
    내용: 친잠례와 선잠례의 시행에 관한 광해군의 전교. 주기사항: 광해군일기[중초본] 111권, 광해 9년 1월 26일 임진 4번째기사, 1617년 명 만력(萬曆) 45년. 비고: 【태백산사고본】 38책 38권 121장 A면, 【국편영인본】 32책 558면.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