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청각류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3 표지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3권의 표지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
-
시청각류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2 표지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2권의 표지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
-
시청각류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1 표지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1권의 표지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
-
시청각류
- 길음동
-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발행한 민속지의 표지이다. 북구 길음동 길음 뉴타운 도시민속 조사의 일환으로 발간했다.
-
-
시청각류
- 한권으로 즐기는 성북 산책
- 성북구청에서 발행한 책으로 성북구의 여러 지원센터, 도서관, 체육관, 박물관 등을 소개하고 있는 책의 표지이다.
-
-
시청각류
- 돈암: 도성 밖 신도시
-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발행한 책의 표지이다. 표지의 문구는 박완서 「그 남자네 집」에서 발췌하였다.
-
-
시청각류
- 성북 마을 이야기
- 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에서 발행한 책의 표지이다. 성북구의 북정마을, 장수마을, 삼태기마을, 소리마을 등 옛 정취를 간직한 마을에서의 주민활동과 성과를 기술하였다.
-
-
시청각류
- 동소문별곡
- 서울역사박물관,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성 베네딕도회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의 공동주최전시 ‘동소문별곡(2014.8.7.~2014.10.31.)’ 의 전시도록의 표지이다.
-
-
시청각류
- 청계천 기획연구4-성북천 조사
- 청계천 박물관에서 발행한 ‘청계천 기획연구4-성북천 조사’의 표지이다. 도시 하천 생태계 복원의 모범 사례인 성북천을 통해 서울의 시대적 변화상을 기술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73)
- 고려대로6길 54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며 추녀를 가리고 금속제 방풍널을 설치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72)
- 고려대로6길 54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며 홑처마만 남겼다. 전면 벽면은 벽돌로 쌓았으며 합각은 금속제 판으로 마감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71)
- 고려대로6길 56-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개축하며 목재와 금속제 빗물받이로 지붕을 마감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70)
- 고려대로6길 54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였고, 전면 벽면도 벽돌로 새로 쌓으며 창호를 현대식 창호로 교체하였다. 방풍널을 금속제 판으로 설치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9)
- 고려대로6길 56-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8)
- 고려대로6길 56-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였다. 방풍널을 금속제 판으로 설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채는 부연과 서까래가 모두 확인되는 겹쳐마이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7)
- 고려대로6길 62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래 겹처마인 것으로 보이나 전면 벽면을 개축하여 홑처마로 하고, 기와 대신 금속제 빗물받이를 달아 높이 올렸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6)
- 고려대로6길 62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지붕과 벽면, 창호, 대문 모두 현대식으로 개축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5)
- 안암로3길 55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로변의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외벽을 둘러 내부를 보호하고 있다. 현재는 사람이 살고있지 않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4)
- 안암로1길 4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외벽을 시멘트로 새로 올리고 페인트를 칠해 단장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3)
- 안암로1길 4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 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며, 처마를 개축하고 전면 벽면을 유리로 교체하였다. 현재 상가로 이용되고 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2)
- 안암로1길 50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지붕에 설치된 방수포를 미루어 보아 전통기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처마와 전면 벽면, 창호를 모두 현대식으로 개축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1)
- 안암로1길 50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나 처마를 현대식으로 개축하여 추녀와 도리 등을 확인할 수 없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0)
- 안암로1길 57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방풍널을 볼 수 있으며 합각은 시멘트로 채워넣었다. 안채는 서까래와 부연이 모두 보이는 겹처마구조로 되어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9)
- 안암로1길 57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기와를 사용한 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합각을 기와로 채워넣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8)
- 안암로1길 6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를 이용하여 지붕을 개축하였으나, 도리, 사래, 추녀가 모두 잘 드러나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7)
- 안암로1길 6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였으나 부연과 서까래가 모두 확인된다. 박공널이 확인되며 합각은 시멘트 혹은 나무로 마감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6)
- 안암로1길 6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여 추녀가 확인되지 않으며 금속제 빗물받이가 설치되어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5)
- 안암로1길 6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기와로 지붕을 교체하였으며 정면 벽면에 타일을 둘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4)
- 보문로13다길 27-1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 진입로에 설치된 대문을 촬영한 사진이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3)
- 보문로13다길 2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래 겹처마로 부연과 서까래가 모두 노출되어 있었지만, 지붕을 현대식 기와로 개축하며 측면의 부연과 전면의 서까래 일부가 보이지 않는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2)
- 보문로13다길 27-5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나 대문과 창호를 현대식으로 교체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1)
- 보문로13다길 27-5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외벽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창호를 현대식 창호로 교체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0)
- 보문로13다길 2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면 벽면은 타일을 두르고 대문을 금속제로 교체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9)
- 보문로13다길 2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를 이용하여 지붕을 전면적으로 교체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8)
- 보문로13가길 23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며 보호를 위해 방수포를 덮었다. 본래 겹처마로 부연과 서까래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나, 전면 벽을 개축하며 서까래부분을 가려 대문 이외에는 부연만 확인된다. 팔작지붕의 박공널은 있으나 방풍널은 설치하지 않고 합각을 벽돌로 채워넣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7)
- 보문로13가길 23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를 촬영한 사진이다. 금속제 빗물받이를 설치하여 추녀를 높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6)
- 보문로13가길 29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맞배지붕으로 박공널이 확인되나 방풍널은 설치되어있지 않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5)
- 보문로13가길 29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기와의 보호를 위해 전체적으로 방수포를 덮었으며, 외벽을 개축하여 소문을 설치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4)
- 보문로13가길 29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를 촬영한 사진이다. 겹처마로 서까래와 부연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금속제 빗물받이가 설치되어 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3)
- 보문로13가길 32-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서까래는 남아있으나 전통기와를 현대식 기와로 교체하는 등 지붕, 벽면, 창호, 대문을 모두 현대식으로 개축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2)
- 보문로13가길 34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문간채 전면을 터서 상가로 이용하고 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1)
- 지봉로24길 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안쪽 진입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래 지봉로24길 74에 위치한 ㄱ자 도시형 한옥으로 진입하는 출입로였으나 지봉로24길 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 상가가 벽을 터서 이용하고 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40)
- 지봉로24길 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기존 도시형 한옥을 상업용 건물로 개축하면서 전면 벽면을 트고, 보안을 위한 문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38)
- 지봉로24길 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37)
- 지봉로24길 70-22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지붕에 전통기와가 사용되고있으나, 팔작지붕의 박공과 방풍널 없이 합각을 벽체로 채웠다. 정면 외벽은 공간을 두고 벽돌로 쌓아 작은 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36)
- 지봉로24길 70-22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를 촬영한 사진이다. 홑처마로 도리와 서까래를 확인할 수 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35)
- 지봉로24길 52-1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 진입로의 대문을 촬영한 사진이다. 대문 안쪽으로 본 건물의 문과 캐노피가 확인된다. 서까래를 확인할 수 있고, 기와는 현대식 기와로 모두 교체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34)
- 지봉로20길 53에 위치하고 도로에 접한 도시형 한옥의 부속건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금속제 간판을 건물 위에 올렸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33)
- 지봉로24길 52-20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지붕으로 개조하며 추녀가 노출되지 않으며 처마의 빗물받이를 일체화하였다. 창호 또한 현대식으로 교체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32)
- 지봉로20길 60-27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를 촬영한 사진이다. 서까래와 부연, 도리가 확인된다. 함석챙(금속제 빗물받이)을 달아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