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거주 거동 불편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2001.12.31
학술자료 학술지논문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생활만족도: 연령, 교육수준, 종교, 경제상태, 자녀와 동거형태 2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사회활동 참여도, 가족관계와 생활만족도 (1) 자아존중감 (2) 건강상태 (3) 사회활동 참여도 (4) 가족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1)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2) 생활만족도 (3) 자아존중감(SEM) (4) 가족관계 (5) 사회활동 참여도 (6) 사회인구학적 변인 3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성격 2 거동불편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사회활동 참여도 실태 3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거동불편 여성 노인의 생활만족도 4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사회활동 참여도, 가족관계와 생활만족도 5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요인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성북구
국문초록
본 연구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 건강 및 경제상태, 가족관계, 사회참여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성북구에 거주하는 여성노인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통계적 방법은 백분위수,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 Pearson의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이었다. 회귀분석은 건강이 좋지 않은 여성 노인들의 만족도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측 변수는 그들의 자부심이었고, 그 다음으로 그들의 성인 자녀와의 관계, 인식된 재정 상태, 나이, 용돈 액수였다. 이 변수들은 표본의 삶의 만족도의 41.7%를 차지했다. 정책 입안자들과 실무자들을 위한 시사점이 더 논의되었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동덕여자대학교, 윤종희, 김덕성, 안령미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01.12.31

생산지

  • 생산지: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2748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 23-1 (화랑로13길 60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이민경
  • 작성일: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