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비교연구 :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2014.02.28
학술자료 학술지논문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중간지원조직 및 네트워크 이론 Ⅲ. 자치구별 마을공동체 육성 및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성북구
국문초록
본 연구는 성북구와 동대문구의 마을공동체 육성 네트워크를 비교하고,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성과가 네트워크 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 지 분석해보고자 했다. 우선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기능을 중개자, 조정자, 역량구축자 등으로 나누어 도출했다. 두 번째 주체에 따른 마을공동체 활성화 모형과 네트워크 유형을 호환 및 결합시켜 3가지 마을공동체육성 네트워크 유형을 도출했다. 성북구는 중간지원조직 주도형 네트워크, 중간지원조직이 없는 동대문구는 지방정부 주도형 네트워크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성북구와 동대문구의 마을공동체 육성 네트워크의 비교분석 결과, 성북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활성화와 핵심행위자의 중심성 비교 모두에서, 성북구 중간지원조직(마을만들기지원센터)이 네트워크 구성원들의 활동과 참여 및 정보공유를 체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중개자 역할을 통해 더 높은 밀도와 성과를 가져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 정부 주도형 보다는 마을만들기지원센터와 같은 전담조직을 두는 중간지원조직 주도형 마을공동체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고광용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4.02.28

생산지

  • 생산지: 사회과학연구소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2707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861-1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북악관 6층 사회과학연구소)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이민경
  • 작성일: 20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