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먼저 몇몇 문학 연구가나 평론가들이 그들의 글에서 인용한 김광섭 시인의 시, 「성북동 비둘기」를 원전과 비교하였을 때 나타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원전에 나타나 있는 형식론적 문제점을 원전 비평적 견지에서 논의하여 「성북동 비둘기」를 수정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형식론적 분석을 한 「성북동 비둘기」를 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그 시의 의미를 해석하고, 아울러 작가의 정신과 태도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주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전 인용에 있어서 연구자들이 「성북동 비둘기」를 인용했을 때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형식론적 분석을 통해서, 「성북동 비둘기」의 원전을 문장 부호에 있어서 한 개, 띄어쓰기에 있어서 여섯 개 그리고 어휘 표기에 있어서 네 개 등 모두 열한 군데를 수정하여 새로 제시하였다. 또한 김광섭의 시, 「성북동 비둘기」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시의 의미를 해석하고 시에 담겨 있는 작가의 정신을 파악하였다.
이 시의 첫째 연에서는 문명화로 인한 자연 파괴와 그로 인한 자연과의 단절에 관한 시인의 인식 및 자연 파괴와 삶의 터전 상실에 의한 서민의 두려움과 비극적 현실에 관한 시인의 비판적인 자세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시인의 민중에 대한 사랑과 서민과의 일체감에 대한 정신이 드러나 있다. 이 시의 둘째 연에는 서민의 소외감과 문명화로 인한 자연 파괴의 심화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 있다. 또한 물질 문명의 비정성과 인간적이며 근원적인 것에 대한 애착과 그리움의 정신 및 자연성을 옹호하는 정신이 표출되어 있다. 이 시의 셋째 연에는 김광섭 시인의 사람간의 조화와 친밀감, 사랑 그리고 평화에 대한 갈망의 태도가 드러나 있고, 시인의 사랑과 평화에 대한 희구와 현대 사회의 비정함에 대한 인식이 표출되어 있다. 그리고 사랑과 평화의 상실에 따른 위기감의 인식이 나타나 있다.
결국, 김광섭 시, 「성북동 비둘기」에는 문명화와 자연 파괴로 인한 서민의 소외감과 삶의 터전 상실이 나타나 있고, 시인의 현실의 비정함과 사랑과 평화에 대한 갈망의 정신이 담겨 있음을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