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소공원의 이용 후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성북구를 중심으로
2005
학술자료 학위논문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0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1. 연구의 범위 13 2. 연구방법 및 과정 1 제2장 도시소공원의 이론적 고찰 16 제1절 도시공원법의 도입 배경 16 1. 도시공원법의 제정 16 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의 도입 배경 16 제2절 도시소공원의 정의 19 1. 도시소공원의 개념 19 2. 도시소공원의 생성 배경 21 3. 우리나라의 도시소공원 조성사례 23 4. 일본의 도시소공원 조성사례 27 5. 도시소공원의 정의 27 제3절 도시소공원의 기능 28 1. 오픈스페이스의 개념 28 2. 도시소공원의 기능 30 제3장 도시소공원의 이용 후 평가 분석 3 제1절 서울특별시 성북구의 공원녹지 현황 34 제2절 도시소공원의 조성 분석 38 1. 소공원의 조성 대상지별 토지 현황 분석 38 2. 토지의 소유자별 현황 분석 38 3. 소공원의 시설물 설계 분석 39 4. 수목 식재 분석 40 5. 설계 변경 분석 41 6. 대상지별 조성 사례 분석 42 1) 정릉3동 소공원 42 2) 장위3동 소공원 43 3) 돈암1동 소공원 44 4) 장위1동 소공원 45 5) 정릉4동 소공원 46 6) 종암2동 소공원 47 7) 장위2동 소공원(감나무 마당) 48 8) 장위2동 소공원(어울 마당) 49 9) 정릉4동 소공원(정릉천변 마당) 51 제3절 도시소공원의 이용 후 평가 52 1. 도시소공원의 이용 현황 분석 52 1) 공원이용 행태 52 2) 교통수단 52 3) 공원의 이용 시간, 계절 및 요일 53 4) 공원이용 횟수 55 5) 공원이용 목적 56 6) 공원 조성 시 필요한 시설 56 7) 소공원 공간 57 8) 주변 휴게 공간시설 57 9) 소공원 평가 57 10) 공원이용 만족도 57 11) 공원이용 불만족도 58 2. 도시소공원의 조성과 이용 후 분석 종합 59 제4장 결론 및 제안 61 제1절 결론 61 제2절 제언 62 참고문헌 65 부록 68 Abstract 71 국문초록 74
성북구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인공화 되는 도시공간 속에서 공원녹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해 발전해야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서울시는 도시지역에 점적으로 존재하는 소규모 토지를 지역주민들이 친밀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녹지로 조성하는 등 도시지역에 존재하는 소규모 자투리땅에 대한 효과적인 실천방안들을 모색하여 공원 또는 녹지를 조성하여 왔다. 이러한 조성사업을 통하여 조성된 공원은 생활권 공원으로 도시소공원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의 도시소공원의 조성분석과 이용후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에 따라 도시소공원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성북구의 1인당 공원면적은 16.55㎡로 서울시(15.65㎡) 보다는 높으나 이는 산림으로 이루어진 국립공원 및 도시자연공원 구역이 대부분이며, 성북구의 30개동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생활권공원(소공원, 어린이공원, 근린공원)또는 주제공원(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묘지공원, 체육공원, 그 밖의 시도 조례가 정하는 공원)이 없는 동이 10개동으로 곤원이 없는 지역에 대하여는 도시자연공원구역과 근린공원 주변의 소규모 공간을 소공원으로 조성하여야 할 뿐 아니라 공원녹지가 부족한 곳은 적극적으로 사유지를 매입한 후 공원을 조성하여 주민이 쾌적하게 이용 할 수 있는 공원을 확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적극적인 주민참여가 필요하다. 소공원 조성을 위하여 사유지를 기부 받거나 설계 및 관리시 주민이 참여하게 하는 등 주민 참여를 확대하여야 한다. 이런 참여를 위하여 사업단계별 주민 참여 활동, 이러한 활동의 항목별 적절한 참여시기, 계획 수행에 있어 소관별 책임자에 관한 사항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소공원은 규모가 협소하고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에 있어서 주민들의 참여는 큰 도움이 된다. 소공원 계획시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여 그 활용도 또한 높여야 한다. 셋째, 소공원은 주로 주택과 연접되어 있어 쾌적하고 밝은 공원, 소음 없는 공원, 깨끗한 공원 등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독창적인 디자인과 도입시설을 보다 현대화 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설이 도입되어야 한다. 넷째, 최근 주택의 노후화로 재개발, 재건축 등이 실시되어 아파트단지가 증가되고 도시가 콘크리트화 되어 도시민들 간의 대화 공간이 부족해지고 이로 인하여 도시가 점점 삭막해 지고 있으므로 소공원을 확충하여 도시민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장소로 활용하여 주민의 화합의 장소 등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소공원 조성에 관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도시의 녹지축과 망을 연결하는 생활녹지로서의 기능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 도시소공원의 조성과 이용후 평가를 연구하고 도시소공원의 조성방방향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며 앞으로 도시소공원 조성에 있어 보다 심층적이며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김영조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05

생산지

  • 생산지: 가천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13120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620-2 (수정구 성남대로 1342)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이민경
  • 작성일: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