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지 노인요양시설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개인적 공간의 영역성 확보와 사회적 공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성북구 석관동 노인요양 복합시설을 중심으로
2013.02
학술자료 학위논문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1.1. 연구의 배경 2 1.1.2. 연구의 목적 3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2. 노인요양시설의 현황과 한계 5 2.1. 노인요양시설의 개념과 현황 6 2.1.1. 노인요양시설의 개념 6 2.1.2. 노인요양시설의 현황 8 2.2. 공급위주의 성장으로 인한 한계 8 2.2.1. 시설입지의 문제점 8 2.2.2. 공간구성의 문제점 10 2.2.3. 지역시설로써 소통의 문제점 12 2.3. 소결 12 3.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 13 3.1.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에 대한 일반적 고찰 14 3.2. 국내사례를 통한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 15 3.2.1. 위계적 공간구성 17 3.2.2. 가정적 환경 17 3.2.3. 1인실의 도입 18 3.3. 소결 18 4. 세대 간 교류를 통한 활성화 19 4.1. 세대 간 교류의 개념 20 4.1.1. 세대 간 교류의 일반적 고찰 20 4.1.2. 세대 간 교류의 필요성과 영향요소 21 4.1.3. 세대 간 교류의 종류 21 4.2. 세대 간 교류공간 22 4.2.1. 교류공간의 종류 22 4.2.2. 교류공간의 역할로써의 전이공간 23 4.3. 소결 24 5. 대상지 선정 및 계획의 전제사항 26 5.1. 계획 대상지의 선정 27 5.2. 계획대지 28 5.3. 대지현황 31 5.3.1. 지역적 특성 31 5.3.2. 지역의 물리적 요소 분석 33 5.3.3. 교통체계 및 보행동선 37 5.4. 설계 프로그램의 설정 38 5.4.1. 이질 프로그램과 연계 39 5.4.2. 프로그램의 성격 39 6. 거주성을 향상시킨 지역 커뮤니티 시설로서 노인요양시설 40 6.1. 설계 목표 41 6.2. 설계 개념 42 6.2.1.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을 확보하는 단위공간 구성 44 6.2.2. 단위공간의 적층화 46 6.2.3. 세대 간 교류를 위한 유아시설과의 연계 48 6.3. 공간계획 50 6.3.1. 배치계획 50 6.3.2. 평면계획 51 6.3.3. 동선계획 52 6.3.4. 입면계획 53 6.4. 계획안 제시 54 6.4.1. 배치도 54 6.4.2. 평면도 55 6.4.3. 단면도 60 6.4.4. 입면도 62 6.4.5. 모델링 64 7. 요약 및 결론 67 표 목록 그림목록 참고문헌 ABSTRACT
석관동
국문초록
그 동안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의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 수명은 크게 증가해 왔다. 이에 따라 노인 인구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노인의 삶의 주기도 길어지고 있다. 하지만 노인복지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양적인 측면에서는 상당한 성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겠으나 노인의 삶의 질과 연계된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여전히 미흡한 상태에 있다. 대부분의 노인요양시설이 높은 지가 부담으로 인해 시가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도시 근교의 고립된 환경에 입지함으로써, 노인들의 삶이 근린 공동체로부터 소외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설 내부 공간도 노인들 개개인의 요구를 반영한 거주공간이라기 보다는 개방된 공간에 여러 사람을 수용하는 다인실(多人室)로 구성되는 최소 거주조건의 노인수용시설 수준의 것이 보편적이다. 노인요양시설은 노령기에 접어든 사람들에게는 제2의 생활공간이며 집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들이 살아온 삶의 방식의 연장선상에서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그 입지도 노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기성시가지내 근린 지역 내에 있어야 하며, 내부 시설도 개개인의 사생활과 개성이 존중되면서도, 공동체로서의 공동생활이 활기 있게 영위될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노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석관동 261-394번지 일대의 저소득층 주거지역에 입지하게 될 새로운 형태의 노인요양시설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전개 된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에서 입소자들의 거주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거주성 향상을 위한 요소들은 현행시설들의 문제점과도 연관되며 이는 시설입지의 문제점, 공간구성의 문제점 그리고 지역시설로서의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유추한다. 둘째, 위의 문제점 중에서 공간구성의 문제점은 입소자들의 프라이버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프라이버시는 입소자들의 개인적 공간과 보이지 않는 영역성으로 대변될 수 있다. 이는 입소자들이 살아온 삶의 방식의 연구를 통하여 도출할 수 있으며 개인적 소품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삶의 경험이 거주성을 향상시키는 공간의 요소가 되어 개선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세대 간 교류의 필요성과 그 영향요소들을 알아보고 노인요양시설이 지역사회에 사회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지역커뮤니티 활성화에 거점적인 역할을 하면서 노인요양시설이 혐오시설이 아닌 지역시설로서의 지역주민들과 소통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사회적 공간을 통해서 노인요양시설의 입소자들과 자연스럽게 세대 간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거주성 향상을 위해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을 확보하여 노인들의 능동적인 삶을 지속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세대 간 교류를 이룰 수 있는 사회적 공간의 제공으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의 모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경희대학교 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경희대학교, 조성정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3.02

생산지

  • 생산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천동 1 (기흥구 덕영대로 1732)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이민경
  • 작성일: 20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