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행정에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성북구를 중심으로
1989.02
학술자료 학위논문
국문목차 표제지 = 0,1,2 목차 = i,3,2 표목차 = iii,5,1 도목차 = iv,6,1 제Ⅰ장 서론 = 1,7,1 제1절 연구의 목적 = 1,7,2 제2절 연구의 대상범위 및 방법 = 2,8,3 제Ⅱ장 동행정과 주민참여 = 5,11,1 제1절 동행정의 역할 = 5,11,2 1. Comunity Center 의 기능 = 6,12,2 2. 공공 서어비스 제공기능 = 7,13,2 3. 주민복지향상 기능 = 8,14,2 4. 주민자치 능력 향상 기능 = 9,15,2 제2절 주민참여에 대한 이론 = 10,16,1 1. 주민참여의 의의 = 10,16,3 2. 행정에 있어서의 주민참여의 역할과 한계 = 12,18,4 3. 동행정에의 주민참여 방법 = 15,21,6 제3절 동행정과 반상회 = 21,27,1 1. 반상회의 목적 = 21,27,2 2. 반상회의 기능 = 22,28,4 3. 반상회의 현황분석 및 운영성과 = 25,31,15 4. 반상회의 동행정 = 40,46,1 제4절 반상회 운영의 분석모형 = 41,47,1 1. 모형의 정립 = 41,47,1 2. 모형의 설명 = 42,48,1 제Ⅲ장 반상회를 통한 동행정에의 주민참여의 제고 방안 = 43,49,1 제1절 대안의 모색과 기본 방향 = 43,49,1 1. 대안의 모색 = 43,49,2 2. 기본방향 = 44,50,2 제2절 주민의 반상회 참석의 제고 방안 = 45,51,2 1. 반상회 참여 기반 조성 = 47,53,2 2. 반상회 참여의 다양화 = 49,55,3 3. 반상회 운영의 내실화 = 51,57,2 제3절 동행정에의 적극적인 주민참여 방안 = 53,59,1 1. 통・반장을 통한 간접참여 = 53,59,1 2. 반장의 직접선거 = 53,59,2 3. 통장의 직접선거 = 54,60,2 4. 통・반장 회의의 기능 강화 = 55,61,2 제Ⅳ장 결론 = 57,63,3 참고문헌 = 60,66,2 SUMMARY(영문초록) = 62,68,5 부록(설문조사표) = 67,73,11
성북구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김철곤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1989.02

생산지

  • 생산지: 동국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4620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3가 26-1 (필동로1길 30)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