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양재천과 성북천 복원에 대한 주민의식 평가
2004.02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 3 제2장. 도시하천 복원의 성격 및 평가의 필요성 = 4 제1절 도시하천 복원의 성격 = 4 1. 우리 나라 도시하천 복원의 동향 및 문제점 = 5 2. 외국 하천 복원의 동향 = 8 제2절 하천복원 평가의 패러다임 = 12 제3절 주민 주체 복원 평가의 필요성 = 15 제3장. 도시하천의 복원 평가를 위한 지표 추출 = 17 제1절 국내외 하천 평가 지표 정리 = 17 제2절 주민 평가 가지표 추출 = 23 제4장. 주민에 의한 도시하천 복원 평가 = 25 제1절 대상하천의 복원 사업 = 25 1. 양재천 복원 사업 = 25 2. 성북천 복원화 사업 = 25 제2절 가지표 설정 및 선행 연구 = 28 1. 가지표 설정 = 28 2. 선행연구 = 32 제3절 설문 시행 및 분석 = 33 1. 설문 시행 = 33 2. A형 설문 결과 = 34 3. B형 설문 결과 = 46 제4절 도시 하천 복원의 주민 평가 지표 설정 및 분석 = 48 1. 평가 지표 설정 = 48 2. 모니터링 결과 비교 = 52 제5장. 결론 = 54 제1절 평가 결과 요약 = 54 제2절 평가 지표의 특성 및 한계 = 56 제3절 평가의 효과 및 정책적 함의 = 57
성북구
국문초록
1990년대 초반에 자연형 하천정비 공법이 소개된 이후로 하천복원은 국내 하천 관리의 주요한 주제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2003년에 사회적으로 많은 논란을 일으킨 청계천 복원사업을 비롯하여 성북천과 정릉천, 전주의 전주천, 순천의 동천 등 전국의 여러 하천들이 자연형 하천으로의 변모를 꾀하고 나섰다. 이처럼 사업 사례가 증가하는 동시에 국내 특성에 맞는 공법을 연구하는 등 하천 복원 기술과 경험이 축적되고 있으나 현재의 하천 복원 방향이 하천의 환경관리 개념에 제대로 부합하는지, 또 시행 의도에 맞게 진행되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에 초점을 맞추어 하천 복원 사업의 정책 수혜자인 주민들이 하천 복원에 대하여 어떻게 의식하고 있는지, 하천 환경의 변화를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양재천의 서울시 강남구간과 성북천 복원구간으로 하였다. 성북천 복원구간은 하천 복원 사업의 초기단계에 해당하며, 양재천은 사업 완료 후의 유지 관리 단계에 해당한다. 먼저 국내외의 하천 복원 동향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여러 하천 평가 지표를 수집 검토한 후에 연구 대상인 도시하천 평가에 적합하고, 평가 주체가 되는 주민이 평가 가능한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하천 복원이 추구하는 생태성과 친수성이라는 두 가치에 주목하고, 도시하천 복원을 경관생태학적 시각으로 평가하고자 의도하여, 경관생태학에서 하천의 기능으로 파악하고 있는 내용을 기준으로 평가항목을 작성하였다. 평가항목을 근거로 만든 설문지를 사용하여 성북천과 양재천 인근 주민들이 각 하천을 평가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주민의 하천 복원에 대한 시각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과 하천 환경 평가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성북천과 양재천 주민들이 하천 복원 사업으로 가장 크게 달라졌다고 인지하는 점은 수질이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한 항목으로도 수질을 꼽아 하천 복원 사업의 선결조건은 수질이라는 전문가 의견과 일치하였다. 또한 천변에서 즐기는 휴식을 도시하천의 최고 이용목적으로 보고 있으며, 주민이 생각하는 ‘하천복원’ 의 개념은 원래 하천 생태계와 가장 근접한 수준까지 회복시키는 적극적인 사업임을 알 수 있었다. 두 하천의 설문 결과 비교에서는 복원이 완료된 양재천이 성북천에 비하여 동식물상의 변화면에서 인지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같은 맥락으로 성북천 주민들은 후손을 위해 보완되어야 할 항목으로 동식물상을 비교적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하천의 생물 서식처에 관해서는 성북천에 비해 양재천 주민들이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좀 더 중요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양 하천 인근 주민들은 도시하천에서의 적극적인 위락 행위보다는 소극적이고 개인적인 위락과 친수환경을 보다 요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 연구를 통해 주민 주체 환경 평가의 장단점을 쉽게 알 수 있었다. 복원하천에 대한 주민 평가를 시행함으로써 지역 환경에 대한 관심을 북돋우고, 환경 교육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반면, 평가 결과의 실제 이용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전반적인 식생 활착 정도 등은 평가가 용이하였으나, 하천 식생 복원에서 중요한 관건이 되는 기존 식물의 재생, 귀화생물 등 일정 수준의 생물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평가 항목은 주민들이 평가하기 어려웠다. 주민에 의한 하천 모니터링이 하천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모니터링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해당 하천 주변 환경에 대한 심화된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로, 도시하천 복원의 목적 및 효과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주민 주체의 복원 하천 평가는 평가 그 자체가 환경교육의 일환으로 기능한다. 둘째로, 하천과 주민 의식의 지속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도구로 기능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평가 결과가 누적된다면 우리나라 도시하천 복원사업이 그러한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보 자료가 될 수 있다. 끝으로 주민이 하천 관리에서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하천 복원 사업에 있어서 주민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최유진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04.02

생산지

  • 생산지: 서울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56-1 (관악로 1)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이민경
  • 작성일: 20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