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 1
1.1 프로젝트의 배경 및 목적 = 2
1.2 프로젝트의 대상 및 방법 = 3
1.3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 4
2. 커뮤니티 도서관의 필요성 = 5
2.1 도서관 환경의 변화 = 6
2.1.1 공공도서관의 시대적 변화 = 6
2.1.2 디지털 정보 기술의 발달 및 정보 매체의 증가 = 6
2.1.3 정보 제공 및 커뮤니티를 위한 시설로서 현대 도서관 = 7
2.2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도서관 = 8
2.2.1 공공도서관의 일반적 개념 = 8
2.2.2 공공도서관의 역할 확장 : 커뮤니티 도서관으로의 요구 = 11
2.2.3 국내 공공 도서관 현황 = 19
2.2.4 국내 지역 도서관 사례 = 25
2.3. 커뮤니티 시설로서 지역 도서관의 방향 제안 = 29
2.3.1 가변적 프로그램의 수용 = 29
2.3.2 지역 사회의 커뮤니티 시설로 요구되는 도서관 공간구성 요인 = 30
2.3.3 열린 공간 구성 방식을 통한 지역도서관의 활성화 가능성 = 33
3. 열린 공간 구성 방식이 적용된 공공 건축의 사례 = 34
3.1 Rem Koolhaas, Seattle Public Library = 35
3.1.1 프로그램의 재해석 = 36
3.1.2 열린 프로그램의 삽입 = 36
3.2 Coop Himmelblau, UFA Cinema Center = 38
3.2.1 열린 구조의 가능성 = 38
3.2.2 투명한 재료의 사용을 통한 열림 = 39
3.3 Toyo Ito, Tama Art University Library = 40
3.3.1 외부 환경을 향한 시각적 열림 = 40
3.3.2 주변 지형에 순응하는 바닥면을 통한 지형에 열림 = 41
3.4 Toyo Ito, Sendai Mediatheque = 42
3.4.1 열린 평면 구성 = 42
3.5 소결 : 열린 공간 구성 방식을 위한 요소 = 45
4. 성북 정보 도서관 재계획 = 46
4.1 대상지 현황 및 분석 = 47
4.1.1 대상지 선정 배경 = 47
4.1.2 대상지 현황 및 분석 = 48
4.1.3 대상지 내부 프로그램 분석 = 51
4.2 디자인 전략 = 54
4.2.1 가변적 프로그램의 수용 – 다목적실 삽입 = 55
4.2.2 단위 공간의 병치적 배치를 통한 열림 = 58
4.2.3 외부 환경과의 소통과 열림 = 60
4.2.4 시각적 열림 = 61
4.2.5 가변벽을 통한 열린 구조 = 62
4.3 디자인 프로세스 = 63
4.3.1 매스스터디 = 63
4.3.2 동선스터디 = 66
4.3.3 통합설계 = 67
5. 최종계획안 = 68
5.1 평면도 = 69
5.1.1 배치도 = 69
5.1.2 1.5층 평면 계획 Scale 1:400 = 70
5.1.3 2층 평면 계획 Scale 1:400 = 71
5.1.4 3층 평면 계획 Scale 1:400 = 72
5.1.5 4층 평면 계획 Scale 1:400 = 73
5.2 단면도 = 74
5.3 부분단면 상세도 = 75
5.4 입면도 = 76
5.5 외부View+조감도 = 79
5.6 내부View = 80
5.7 모델사진 = 83
참고문헌 = 85
국문초록 = 87
현대에 이르러 정보 중심 사회로의 변화는 도서관을 근대적 형태에서 탈피하고 정보의 디지털화와 하이퍼텍스트로 대변되어 지는 정보 소통의 장으로서의 커뮤니티 시설로 변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단순히 정보매체를 저장하고 보관하던 시설에서 점차 공동체의 문화시설 그리고 교육시설로 역할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도서관 정책 위원회 역시 커뮤니티 시설로서 지역 도서관을 장려하고 있다. 도서관의 환경과 도서관의 콘텐츠가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의 물리적 공간 구성은 그 속도에 알맞게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역 도서관은 커뮤니티 시설로서 지역 공동체 내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에 존재하는 콘텐츠는 훌륭하지만 건축적 장치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대상지로 성북정보도서관을 선정하였다. 성북정보도서관의 건축적인 문제점들을 돌출하여 해결방안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논문은 전개된다.
프로그램의 면적당 비율이 적합하지 않은 점, 층간 위계가 너무 분명하여 답답하다는 점, 공공 공간이 부족한 점, 공간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들이 기존 도서관의 문제점으로 돌출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목적실을 삽입함으로써 가변적 프로그램을 수용, 단위 공간의 병치적 배치를 통한 열린 공간 만들기, 외부 환경을 향한 소통, 재료를 통한 시각적 열림, 가변벽을 통한 열린 구조 등의 건축적 해결 방안을 찾았다. 이 방법들은 통틀어 열린 공간 구성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지역도서관이 도서관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지역 공공시설로서 다양하고 새로운 프로그램들을 수용하는 공공 문화 공간으로서 적합한 대응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열린 공간 구성 방식을 통한 도서관의 재구성은 기존 도서관의 건축적 한계를 극복한 활성화 된 지역 커뮤니티 도서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진행된다.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