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릉천 상류 활용 계획안 : 수변 공공성 회복에 대해
2003.02
학술자료 학위논문
목차 국문초록 / 논문목차 / 그림목차 / 표목차 제1장. 기본 구상 = 1 1-1. 계획 배경 및 목적 = 2 1-2. 설계 범위 및 방법 = 4 제2장. 계획 과정 = 5 2-1. 도시하천에 대한 의미 고찰 = 6 2-1-1 도시하천의 변천 과정 = 6 2-1-2 오픈스페이스로서의 하천(기능) = 8 2-1-3 생태공간으로서의 하천(의미) = 9 2-1-4 인간-하천 관계의 변화 = 10 2-2. 정릉천과 설계대지에 대한 고찰 = 11 2-2-1 정릉천의 입지 조건 = 11 2-2-2 정릉천의 변화 모습과 행태 = 12 2-2-3 정릉천 상류 사이트 분석 = 14 2-2-3-1 사이트 입체적 분석 = 16 2-2-3-2 경관에 미치는 지형적· 물리적 특성 = 17 제3장. 설계 과정 = 18 3-1. 대지해석 = 19 3-1-1 이분법적 해결안 = 19 3-1-2 전체적인 해결안 = 21 3-2. 대지의 부분적 해석과 결과 = 22 3-2-1 대지 선별과 해석 = 22 3-2-2 계획 의도 = 23 3-3 계획 과정 = 24 3-3-1 부분사이트 해석 = 24 3-3-2 부분사이트 사진 = 27 3-3-3 사람들의 이용과 행태 = 28 3-4 계획 도면 = 29 3-4-1 배치도면과 평면 = 29 3-4-2 단면 계획 과정 = 31 3-4-3 투시적 이미지 = 33 3-4-4 환경과 자연적 자원 = 34 제4장. 종합 고찰 = 42 참고문헌 = 47
정릉동
국문초록
역사도심 서울의 경관적 특성은 내산과 외산으로 둘러쌓여 골짜기마다 흘러내린 물줄기가 큰물줄기를 형성하는 자연적인측면이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성을 가졌다.(治山治水) 인구가 차차 많아지면서 도시 내의 자연적 하계는 우수(雨水)와 오수(汚水)를 배출시키는 하수도의 기능으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현대와 같은 도시교통의 폭주, 토지이용의 집약화로 이들 하천들이 복개되어 도저히 그 원상태를 알기 어렵게 되었다. 사대문 안 서울의 하천은 상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부 복개되었고, 1959년 청계천의 대부분이 복개된 것으로 기록되었다. 개발과 경제성장만을 위한 도시성장의 결과 공공 공간 부족의 도시문제를 야기 시켰다. 도시 서울에서 공공 공간의 확충은 시민의식의 고양과 더불어 역사성을 회복하고, 도시 서울의 고유한 서울성을 만들어 가는 장소를 확보하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개방화 시대의 대외적 얼굴에 불과한 도시모습일 뿐 아직도 도시민의 일상에 공공성은 결여되어 있다. 역사도심 서울이 확장되면서 도심은 개발논리에 의해 고층화 되어가고 녹지공간의 부족으로 삭막해져 갔다. 사람들은 도시주변으로 빠져나가 도심은 공동화(空洞化)현상 - 인구 증감의 분포가 도넛처럼 된다는 뜻으로 이런 말이 생겼다. 공업화의 진전과 더불어 도심의 소음, 대기오염, 교통혼잡, 땅값 상승 등의 여러 문제가 도심의 주거환경을 악화시키고 인구의 교회유출, 도심인구의 감소라는 결과가 초래되었고, 주간에는 인파가 집중하면서도 야간거주자가 감소하여 이웃이 없어지고 도심의 빈곤화를 초래하여 행정구의 존립을 불가능하게 하는 저소득층 거주지역 문제를 야기하는 등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공동화 되고, 도시민은 이중생활이 일상이 되어졌다. �曆뮐樗�Nomadic City -도시 유랑민 출퇴근 시간 때의 교통 혼잡과 오염된 도시의 공기는 도시민을 도시 밖으로 내몰았다. 우리 일상속에 공공이 살아 숨쉬는 장소성과 자연이 어우러질 때 도시민은 도시에서 정주한다. 정릉천 상류는 미복개 지역으로 북한산 자락의 험한 지리적 조건과 교통 불편에 의한 저 개발 지역이다. 이곳에 남겨진 수변공간과 주변지역의 주택가, 쌈지 공원, 자연 녹지, 다리와 소규모 길 그리고 사람들의 관계를 통해 생활 속에 잊혀진 수변공간의 활용을 위한 건축적 해결안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공유지 수변의 자연 경관적 공공성을 회복함으로서 장소성과 지역성을 회복코자 한다. 본 연구는 정릉천 수변을 통해 도시민의 일상에서,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회복시키고 장소성을 구현하기 위한 계획안이다. 이를 위한 단계적 분류와 사이트에 대한 물리적, 지리적, 자연적, 현상적 이해가 필요했으며, 또한 정릉천 주택지구에서 일어나는 사람들의 일상과 행태를 통해, 복개 지역과 미 복개 지역의 공공공간을 회복하고, 정릉천을 도시조직으로 재생시키고자 하였다. 도시는 단조롭고, 파편화되어 인지와 구성에 있어 위계와 규칙이 없다. 하지만 정릉천 상류의 본 설계대지는 단계적 변화와 구성을 통해 위계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또한 지류와 만나는 결절부와 하천의 만곡된 흐름을 통해 변화와 다양성을 인지한다. 이러한 특성은 정릉천을 도시 하천으로서, 일상에서 경험을 통해 공공 공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것은 도시하천과 근접한 도시 구조와의 다양한 타입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길과 필지 패턴, 수로의 방향과 경관, 밀집주거 건물과 수로와의 관계, 등고, 다리, 나무, 바위, 사람들의 행태 모두 공공 공간 활용방안과 밀접한 관계성을 가진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최문경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03.02

생산지

  • 생산지: 건국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5029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1 (능동로 120)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이민경
  • 작성일: 20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