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공공예술창작공간 방문객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서울시창작공간 성북예술창작센터를 중심으로
2014.02
학술자료 학술지논문
국문초록 ⅻ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제 2 장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6 제 1 절 예술창작공간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논의 6 제 2 절 예술창작공간의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 9 제 3 절 지역사회기반 예술창작공간의 사례연구 13 1. 미국의 Art-Omi 13 2. 프랑스의 104 Cent-quatre 14 3. 일본의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15 제 4 절 문화예술시설의 방문객 충성도에 관한 연구 16 제 5 절 소결론 18 제 3 장 성북예술창작센터의 특성과 운영체계 20 제 1 절 설립배경과 목적 20 1. 설립배경 20 2. 설립목적과 운영방향 24 제 2 절 프로그램 구성 26 제 3 절 공간 구성 30 제 4 절 예산 33 제 5 절 조직구조 34 제 4 장 연구모형 및 조사 설계 35 제 1 절 연구모형 35 제 2 절 조사 설계 38 1. 조사목적 38 2. 조사대상 38 3. 조사방법 38 4. 조사항목체계 39 제 5 장 분석결과 및 논의 41 제 1 절 분석결과 41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1 2. 방문계기와 방문목적 44 3. 조사항목별 방문객 인식 특성 45 1) 사전브랜드 인지도 45 2) 지역 활성화 가치 인식도 45 3) 체험 요인 인식도 47 4) 지각된 품질만족도 48 5) 프로그램 만족도 49 6) 방문객 충성도 49 4. 응답자 특성별 인식도 비교 51 1)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 51 2) 연령에 따른 인식 차이 55 3) 거주지에 따른 비교 64 4) 센터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따른 비교 68 5) 공간대여 및 활용 경험에 따른 비교 73 6) 전시 및 상영 관람 경험에 따른 비교 77 5. 방문객 충성도 영향 요인 분석 82 1)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토 82 2) 다중 회기분석 86 6. 요인 간 경로분석(구조방정식모형) 91 제 2 절 분석결과 논의 및 시사점 102 1. 분석결과의 논의 102 1) 체험 요인의 중요성 102 2) 방문객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 103 3) 방문 경험의 중요성 104 4) 낮은 브랜드 인지도 및 높은 지역 활성화 인식 105 5) 낮은 안내 및 예약체계 만족도 106 6) 예술창작센터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106 2. 분석결과의 시사점 107 1) 학문적 측면에서의 시사점 107 2) 실천적 측면에서의 시사점 108 제 6 장 결론 및 향후과제 110 제 1 절 결론 110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112 참고문헌 114 부록 1. <성북예술창작센터> 방문객 대상 설문지 127 영문 초록 135
성북동
국문초록
본 논문은 예술창작센터의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방문객의 예술창작센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예술창작센터에 대한 충성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10년에 개관된 성북예술창작센터를 사례로 설정하고, 방문객 230명(지역주민 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브랜드 인지도, 지역 활성화 가치 인식도, 체험 요인 인식 수준, 지각된 품질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 충성도 요인 등이 측정되었다. 분석결과, 방문객 및 지역주민들은 사전 브랜드 인지도를 제외한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연령별, 거주지별에 따라 방문객들의 예술창작센터 인식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방문경험 여부, 세부 프로그램 참여여부 또한 방문객들의 인식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지역주민들과 예술창작센터의 지속적인 연계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신규 방문객 개발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예술창작센터는 지역주민들을 세분화하여 주민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 또한 논의되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지역 활성화 가치 인식도, 체험 요인 인식도, 지각된 품질 만족도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체험 인식 수준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지역주민들이 예술창작센터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주민들에게 정서적 체험과 관계적 체험을 제공받기를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예술창작센터가 지역사회 맥락에서 지역을 활성화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체험인식도가 사전 브랜드 인지도, 지역 활성화 가치, 지각된 품질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방문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형을 설정하고, 이러한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체험 요인 인식도가 방문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이 창작예술센터를 통해서 정서적, 관계적, 심미적 체험 욕구를 충족하고, 일상적 생활 속에서 보다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생활문화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술창작센터와 지역주민의 관계가 일시적인 관계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형성, 발전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또한 앞으로 예술창작센터가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는 방안을 개발할 때 중요한 준거로 활용될 수 있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이유리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4.02

생산지

  • 생산지: 가톨릭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14662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 산 43-1 (지봉로 43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김지은
  • 작성일: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