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특성을 고려한 한옥밀집지역의 활성화방안 : 성북구 내 한옥밀집지역을 중심으로
2009.02
학술자료 학위논문
Ⅰ.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2.1 연구의 범위 3 1.2.2 연구의 방법 4 Ⅱ. 한옥밀집지역 대한 이론적 고찰 6 2.1 한옥밀집지역의 정의 및 관련사항 6 2.1.1 한옥 및 한옥밀집지역의 정의 6 2.1.2 한옥밀집지역 관리와 관련된 법 ․ 제도 8 2.1.3 서울시 내 한옥 밀집지역의 현황 및 유형별 특성 13 2.2 국내 전통건축물 밀집지역의 관리방법 15 2.2.1 북촌가꾸기 15 2.2.2 인사동 지구단위계획 21 2.2.3 전주시 전통건축물지구 보존방법 24 2.2.4 나주시 도래마을 28 2.2.5 소결 31 2.3 국외 전통건축물 밀집지역의 관리방법 33 2.3.1 일본의 전통건축물밀집지역의 관리방법 33 2.3.2 중국의 전통건축물 밀집지역의 관리방법 37 2.3.3 미국의 전통건축물 보전방법 41 2.3.4 소결 47 2.4 선행연구 분석 49 Ⅲ. 대상지 선정 및 분석 51 3.1 대상지 선정검토 및 선정배경 51 3.2 선정된 대상지 분석 53 3.2.1 성북구 현황분석 53 3.2.2 성북구의 한옥관련 사업계획 53 3.3 해당구역 별 특성 55 Ⅳ. 한옥밀집지역에 관한 인식조사 58 4.1 인식조사 개요 58 4.1.1 개요 58 4.1.2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59 4.2 한옥밀집지역에 대한 거주자 인식조사 59 4.2.1 조사개요 59 4.2.2 응답결과 및 분석 60 4.3 거주 지역의 특성에 따른 거주자 인식조사 64 4.3.1 조사개요 64 4.3.2 응답결과 분석 64 4.3.3 소결 68 Ⅴ. 한옥밀집지역의 활성화방안 및 대안제시 69 5.1 거주자 인식조사를 통한 시사점 69 5.2 한옥밀집지역의 활성화 방안 및 대안 70 5.3 전문가 의견청취를 통한 실현가능성 검토 75 Ⅵ. 결론 77
성북구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고려대학교 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고려대학교 대학원, 송지영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09.02

생산지

  • 생산지: 고려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2 (안암로 145)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김지은
  • 작성일: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