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재개발지구 원주민의 삶의 질 변화에 관한 영향 요인연구 : 서울시 은평뉴타운과 길음6구역 사례를 중심으로
2011.08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대상 2 제2장 이론적 고찰 4 제1절 재개발사업의 개념 4 1. 주택재개발사업의 의의 4 2. 주택재개발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5 제2절 삶의 질 개념 7 1. 삶의 질의 의의 8 2. 삶의 질의 유형과 특징 9 3. 삶의 질 연구동향 10 제3장 재개발 및 뉴타운사업의 시행절차 13 제1절 재개발사업의 유형과 절차 13 1. 재개발사업의 유형 13 2. 재개발사업의 절차 16 제2절 뉴타운 사업의 개념 21 1. 서울시 뉴타운 사업의 의의 21 2. 뉴타운 개발사업의 유형 22 제3절 은평뉴타운과 길음6 주택재개발 현황 23 1. 은평뉴타운 현황 23 2. 길음6 주택재개발 현황 28 제4장 연구방법 31 제1절 측정도구 31 1. 삶의 질 31 2. 배경변인 34 제2절 연구모형과 방법 35 1. 연구모형과 가설 35 2. 분석방법 37 제5장 재개발지역 거주민 삶의 질 변화 측정 39 제1절 연구과정 개요 39 1. 연구과정 39 2. 인구통계학적 현황 39 제2절 재개발지역 거주민의 삶의 질 변화 41 제3절 배경변인에 따른 삶의 질 변화 차이 검증 42 제4절 거주지역(은평뉴타운, 길음6)별 삶의 질 변화 차이 58 1. 삶의 질 차이에 대한 거주지역 간 차이 58 2. 거주지역 개인특성별 삶의 질 변화 차이 61 제6장 결론 77 제1절 정책적 함의 77 제2절 연구의 한계 85 참고문헌 87 Abstract 89 부록 90
길음동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재개발 이전과 이후의 삶의 질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거주민들의 개인적인 배경에 따라 삶의 질 변화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해 보기 위하여, 재개발의 유형으로써 최근 시행된 바 있는 뉴타운지역과 주택재개발지역 거주민의 삶의 질 변화 차이를 조사해 비교해 봄으로써 주택재개발 유형에 따른 거주민의 삶의 질 변화 차이에 대해서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은평뉴타운 지역과 서울시 길음6 재개발구역이며, 두 재개발 지역을 비교해 봄으로써 거주민 삶의 질을 만족시킬 수 있는 주택재개발 정책의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특히 주목할 점은 뉴타운이 재개발 보다 훨씬 규모가 크기 때문에 주민들의 기대가치와 행정목적에 부합된다고 연구되었다. 본 논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재개발 시기별, 지역별, 전후비교 뿐만이 아니라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측면의 요인과 인구통계학적 현황을 배경변인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설문조사 후 수거된 응답데이터를 통계전문패키지프로그램인 SPSS 19.0에 입력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독립표본 T검증 그리고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뉴타운이나 재개발사업은 교육, 공공행정, 보건위생, 자연환경 등의 삶의 질 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고 보이는 반면, 생활, 경제, 주민관계, 전반적인 만족도에 관해서는 삶의 질 만족도를 높이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뉴타운 지역과 주택재개발지역 모두 교육활동과 공공행정, 보건행정, 주민관계 등에서 삶의 질 변화에 차이가 확실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교육활동과 공공행정, 보건위생은 재개발(이주) 후의 만족도가 더 높고, 주민관계는 재개발(이주) 전의 삶의 질 만족도가 더 높다는 것 까지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알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뉴타운과 재개발 계획에 있어서 반영되어야 할 점은 교통, 보건, 행정 등 에서는 더 많은 질적 양적 가치를 고려해야 하고 경제활동 주민관계 등 은 사업시행 전의 높은 삶의 질 가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재래시장유치, 노인정, 유치원, 부녀회활성화 등 그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 남·여 각 성별 주거생활 만족도와 고령자, 저소득자, 생활고 어려운자 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시설과 여건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노용철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1.08

생산지

  • 생산지: 고려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2 (안암로 145)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