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리 점성촌 재개발 계획안 : 시각장애인을 위한 외부공간 조성을 중심으로
2003.02
학술자료 학위논문
국문초록 = ⅰ 목차 = ⅲ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제2장 이론적 배경 = 5 2-1 시각 장애인의 일반적 고찰 = 6 2-1-1 시각 장애의 정의 = 6 2-1-2 시각 장애인의 특성 = 6 2-1-3 시각 장애인을 위한 공간의 건축적 요구 = 9 2-2 외부공간 활성화의 중요성 = 13 2-2-1 사운드 스케이프(sound scape)의 정의 = 15 2-2-2 미디어 박스(media box)의 개념 = 16 2-2-3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의 정의 = 17 제3장 계획 대상 대지의 분석 = 18 3-1 미아리 점성촌의 현황 = 19 3-1-1 지역적 특성 = 19 3-1-2 점성촌의 시설현황 = 20 3-2 대지분석 = 21 3-2-1 계획대지분석 = 21 3-2-2 계획대지의 가로 분석 = 22 3-2-3 계획대지의 단면 분석 = 23 3-3 문제점 도출 = 24 제4장 미아리 점성촌 재개발 계획안 = 26 4-1 기본계획개념 = 27 4-1-1 기존 가로 분석 = 29 4-1-2 가로의 계획 개념 = 30 4-2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설계 과정 = 38 4-2-1 레벨(level) 조정 = 38 4-2-2 골목길 활성화 = 40 4-2-3 길 패턴(pattern)의 구성 = 42 4-2-4 녹지공간(완충공간)의 조성 = 45 4-2-5 시각 장애인 복지관과의 연계 = 46 4-3 최종계획안 = 52 참고문헌 = 60
돈암동
국문초록
서울의 도시는 인구의 집중이 극대화되면서 도시의 확대가 필수 불가결하였다. 하지만 급속 성장으로 인한 결과 서울은 불균형한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소외된 계층의 지역은 점점 슬럼화 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서울에 슬럼화 된 지역이 몇 군데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미아리 점성촌은 60년대 말에 남산에 집단거주하고 있던 맹인 점술가들이 이곳 논밭에 집단 거주하게 되었고,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서 그 지역 주변의 낙후된 건물들이 개발되면서부터 미아리 점성촌은 도시 주변과 고립이 되기 시작하였다. 미아리 점성촌 지역의 슬럼화는 다른 지역과는 또 다른 특성은 두 가지 점이 두드러지고 있다. 첫 번째는 점성촌이라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 두 번째는 점성촌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 시각 장애인이라는 점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우리 사회는 시각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보통의 사람들과는 다른 계층으로 인식되면서 시각 장애인은 고립된 소외계층으로 고립되어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미아리 점성촌이 돈암동 일대에 아이덴티티(identity)의 한 요소로서 지금까지 자리 잡고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라고 말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이 거주하는 점성촌의 외부공간을 건축적으로 계획하여 주변 도시지역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이 지역의 재개발을 통해서 시각 장애인들과 도시 주변과 교류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이 계획안의 주안점은 시각 장애인과 주변의 지역주민들이 단절되어있는 것을 연계하는 방법으로서, 자연스럽게 만나서 교류할 수 있는 외부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호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안을 제시 하였다. 미아리 점성촌 재개발 계획에서 외부공간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시각장애인이 방향감을 가장 쉽게 인지 할 수 있는 후각, 촉각, 청각을 이용하여, 데마별 공간 개념으로 후각공간, 촉각공간, 청각공간을 계획하였다. 첫번째 후각공간에서는 간접적 치료 효과가 있는 특색 있는 향기(아로마 향기)로 구성된 식물 재배장을 계획하였다. 두 번째 촉각공간에서는 점자도서관, 지역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 및 바닥의 재질을 촉각적으로 분류하여 펀칭 메탈·나무·자갈로 구성된 길을 걸으면 다른 공간과 다른 바닥 재질로 인해 현채 공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세 번째 청각공간에서는 미아리 고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시각 장애인에게 공간 유도를 하는 방법으로 사운드 스케이프(sound scape)를 이용하여 소음을 해결하고, 행사장에 행사를 홍보하는 역할을 하도록 계획하였다. 각각의 외부공간은 시각장애인이 철학관으로 혼자서 진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역주민들도 외부공간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상호교류(intermix)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이 지역의 슬럼화, 고립화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조용재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03.02

생산지

  • 생산지: 건국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5029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1 (능동로 120)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2-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