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구릉지 재개발계획에 관한 연구 : 1990년 이후 불량주택 재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1997
학술자료 학위논문
國文抄錄 = ⅶ ABSTRACT = ⅸ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2 제2장 불량주택재개발의 이론고찰 = 4 2.1 재개발의 개념과 의의 = 4 2.1.1 재개발의 개념 = 4 2.1.2 재개발의 도시ㆍ주거 환경적 의의 = 8 2.2 재개발의 현황 및 유형 = 10 2.2.1 재개발의 현황 = 10 2.2.2 재개발의 유형 = 10 2.2.3 재개발대상 = 13 2.3 불량주택 재개발정책 = 13 2.3.1 재개발문제의 인식 = 13 2.3.2 불량주거지의 형성과정 = 14 2.3.3 불량주택 재개발정책의 변천과정 = 15 2.3.4 합동재개발 정책 = 16 2.4 불량주택재개발사업의 문제와 공공의 역할 = 21 2.4.1 불량주택재개발 정책의 문제점 = 21 2.4.2 공공규제의 중요성 = 22 2.4.3 발전적 대안 = 23 제3장 구릉지 재개발 계획 = 26 3.1 도시공간정책 = 26 3.1.1 공간정책의 중요성 = 26 3.1.2 공간정책의 도시개발모형 = 28 3.2 구릉지 재개발 계획 = 30 3.2.1 재개발에 의한 구릉지 경관훼손 = 30 3.2.2 구릉지 재개발 사업의 문제점 = 34 3.3 환경친화적 재개발 계획 = 36 3.3.1 쾌적한 환경의 추구 = 36 3.3.2 구릉지 주거의 특성 = 39 3.3.3 구릉지 순응성 기준설정 = 41 3.3.4 구릉지에 순응하는 환경친화형 단지사례 = 44 3.4 소결 = 50 제4장 불량주거 재개발 사례분석 및 모형연구 = 51 4.1 분석의 전제 = 51 4.2 사례조사 = 51 4.2.1 관악구 봉천3동 : 현대아파트 = 51 4.2.2 성북구 동소문동 한신/한진아파트 = 56 4.2.3 동작구 노량진본동 건영아파트 = 62 4.3 분석의 종합 = 67 5장 구릉지에 적합한 재개발 주거유형연구 = 72 5.1 공간위계별 주거환경의 문제점 종합 = 72 5.2 서울시 지표적 심의기준 내용검토 = 74 5.2.1 입면적기준 : 판상형 배치 지향 = 74 5.2.2 입면차폐도 : 단지내 주거환경개선 = 75 5.2.3 구릉지 최고높이 한계 : 도시경관 회복기준 = 76 5.2.4 구릉지 인동간격 = 77 5.2.5 대지면적당 용적률 = 78 5.2.6 생활가능공간에 따른 용적률 = 79 5.2.7 지표적 심의기준 보완사항 6. 결론 = 81 참고문헌 = 83
돈암동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숭실대학교 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숭실대학교 대학원, 이지연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1997

생산지

  • 생산지: 숭실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6978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상도동 511 (상도로 369)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