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낙후고립지역의 경계 공간 디자인을 통한 도심 주거지 재생 방안 연구 : 동소문동2가 성북천변을 중심으로
2015.02
학술자료 학위논문
【목 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2장 도심 주거지 재생 4 2.1 철거 재개발수법과 수복형 정비수법 6 2.1.1 철거 재개발수법 6 2.1.2 수복형 정비수법 6 2.1.3 소단위 맞춤형 정비수법 8 2.2 수복형 정비 수법의 활용 가능성 11 2.3 수복형 정비 수법의 한계점 12 2.2.1 법제도적 측면 12 2.2.2 민간의 인센티브 측면 13 2.2.3 공공의 참여 측면 13 2.4 소결 14 제3장 도시의 경계 공간 16 3.1 도시공간의 단절적 경계 17 3.2 경계 공간의 분류와 특징 18 3.2.1 인식의 경계 공간 18 3.2.2 모호의 경계 공간 19 3.2.3 변화의 경계 공간 21 3.3 소결 23 제4장 동소문동2가 개발 계획 25 4.1 대상지의 선정 26 4.1.1 대상지 개요 26 4.1.2 대상지 분석 28 4.2 계획의 범위 33 4.3 Master Plan의 방향 34 4.3.1 개발계획 34 4.3.2 도로계획 36 4.3.3 배치계획 37 4.4 경계 공간 계획 개념 39 4.4.1 매스계획 39 4.4.2 동선계획 40 4.4.3 평면계획 41 4.4.4 입면계획 43 4.5 계획 도면 45 4.5.1 Master plan 45 4.5.2 평면도 47 4.5.3 입면도 54 4.5.4 단면도 56 4.5.5 투시도 및 모형 57 제5장 결론 63 ■ 참고문헌 66 ■ ABSTRACT 65
삼선동
국문초록
도시는 거대한 유기체로서 끊임없는 변화와 성장을 거듭해 왔으며, 도시의 변화는 사회적으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서울은 도시의 변화가 가속화 되면서 변화의 흔적이 도시 곳곳에 자리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도시공간은 변화의 속도에 맞추어 발달했지만 일부 그 속도에 적응하지 못한 채 그 자리에 머물러있는 지역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도시 성장에 있어서의 불균형은 서로 대립을 일으키며 혼재되어 도시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급속한 근대화의 흔적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서울에는 노후 되고 낙후된 지역을 재개발 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면서 단절된 경계부들이 형성되고 있다. 기존의 도시구성과의 조화, 주변과의 균형은 무시되어온 지금까지의 개발방식은 수많은 경계요소를 생성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렇게 형성된 경계들은 현대도시에서 타 영역과의 교류를 단절시켜 연속적 도시공간의 구성을 저해하고 지역 간의 소통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도심부에 낙후된 주거 지역이 개발되는 경우 주거지역 내부의 환경은 개선되나 여전히 지역을 단절하는 경계부를 형성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건축적 해결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인 서울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소문동2가는 블록 내부에는 낙후된 도시형 한옥이 형성되어 있으며 블록의 가장자리에는 현대화에 의한 상업이 구성되어 있는 지역이다. 또한 주변으로 성북천을 면하고 있어 블록의 외적으로 쾌적한 조건의 주거 환경을 가지고 있다. 서울시가 재개발구역으로 지정하면서 이 지역의 주민들은 지역이 개발되기를 기대했다. 하지만 조합설립인가만을 마친 채로 여전히 미시행되고 있다. 동소문동2가 재개발구역에 제안되었던 개발계획은 아파트 단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철거재개발 방식의 아파트 건립은 기존의 도시구조와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계획이었다. 이와 같은 계획은 시행과정에서 많은 제약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현실적인 개발의 진행이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철거 재개발 방식보다는 수복형 정비수법을 적용함으로써 지역의 점진적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도시의 변화속도에 따라 병풍처럼 가로막고 있는 경계공간인 상가를 재구성함으로써 단절적 경계공간을 소통함으로써 정비계획의 중심역할로 작동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심 주거지 재생수법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그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시점의 문제와 한계점을 분석하여 대상지역에 맞는 개발방식의 방향을 모색한다. 또한 도시의 경계공간이 가지는 다의적 요소를 파악하고 도시에 존재하는 단절적 경계를 극복함으로써 도시공간의 연속성을 회복하고 나아가 도시고립지역의 활성화를 유도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윤정훈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5.02

생산지

  • 생산지: 경희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천동 1 (기흥구 덕영대로 1732)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