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2장 도심 주거지 재생 4
2.1 철거 재개발수법과 수복형 정비수법 6
2.1.1 철거 재개발수법 6
2.1.2 수복형 정비수법 6
2.1.3 소단위 맞춤형 정비수법 8
2.2 수복형 정비 수법의 활용 가능성 11
2.3 수복형 정비 수법의 한계점 12
2.2.1 법제도적 측면 12
2.2.2 민간의 인센티브 측면 13
2.2.3 공공의 참여 측면 13
2.4 소결 14
제3장 도시의 경계 공간 16
3.1 도시공간의 단절적 경계 17
3.2 경계 공간의 분류와 특징 18
3.2.1 인식의 경계 공간 18
3.2.2 모호의 경계 공간 19
3.2.3 변화의 경계 공간 21
3.3 소결 23
제4장 동소문동2가 개발 계획 25
4.1 대상지의 선정 26
4.1.1 대상지 개요 26
4.1.2 대상지 분석 28
4.2 계획의 범위 33
4.3 Master Plan의 방향 34
4.3.1 개발계획 34
4.3.2 도로계획 36
4.3.3 배치계획 37
4.4 경계 공간 계획 개념 39
4.4.1 매스계획 39
4.4.2 동선계획 40
4.4.3 평면계획 41
4.4.4 입면계획 43
4.5 계획 도면 45
4.5.1 Master plan 45
4.5.2 평면도 47
4.5.3 입면도 54
4.5.4 단면도 56
4.5.5 투시도 및 모형 57
제5장 결론 63
■ 참고문헌 66
■ ABSTRACT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