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1. 연구의 범위 = 3
2. 연구의 방법 = 4
제3절 선행연구 = 7
제2장 이론적 고찰 = 10
제1절 도시환경에 있어서 소하천의 역할 = 10
1. 도시소하천의 개념 및 특성 = 10
2. 서울시 소하천의 분포와 변천 = 15
3. 복개하천의 복원 가능성과 문제점 = 19
제2절 지역이미지의 개념 및 특성 = 25
1. 이미지 개념 및 고찰 = 25
2. 지역이미지의 개념 = 30
3. 도시환경이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34
4. 이미지 측정방법 = 36
제3절 분석의 틀 = 39
1. 조사의절차 = 39
2. 분석의 틀 = 40
제3장 복원된 성북천이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42
제1절 연구대상지 개요 = 42
1. 대상지 선정 배경 = 42
2. 대상지 현황 = 43
3. 성북천의 역사 = 47
4. 복개 및 복원 현황 = 49
제2절 설문조사 = 52
1. 설문개요 = 52
2. 지역이미지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설문조사-1차 설문 = 52
3. 지역이미지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설문조사-2차 설문 = 58
제3절 설문결과 분석 = 60
1. 설문응답자의 기초통계 = 60
2. 성북천 복원에 대한 선호도 = 62
1) 설문지를 통한 성북천 복원 선호도 분석 = 62
2) 인터뷰를 통한 성북천 복원 선호도 분석 = 64
3) 소결 = 65
3. 지역이미지의 물리적 형성요인 분석 = 66
1) 1차 설문 분석 - 평가 형용사의 요인분석 = 66
2) 2차 설문 분석 = 68
3) 소결 = 76
4. 지역이미지의 비물리적 형성요인 분석 = 78
1) 사회적 측면 = 79
2) 경제적 측면 = 81
3) 문화적 측면 = 82
4) 정주성 = 84
5) 소결 = 85
5. 총체적 지역이미지 분석 = 86
1) 물리적 요인과 지역이미지와 상관관계 = 86
2) 비물리적 요인과 지역이미지와 상관관계 = 89
3) 회귀분석에 의한 모형 = 93
4) 소결 = 94
제4절 복원된 도시복개하천이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 95
제4장 결론 = 9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 97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 99
참고문헌 = 102
부록 = 103
ABSTRACT =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