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양도성 보수 복원 사업(1975~1982)의 성과와 한계 :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물 분석을 중심으로
2014.02
학술자료 학위논문
그림목차 ⅲ 표목차 ⅳ 국문초록 ⅴ 1.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2 3) 용어의 정의 5 2. 한양도성 보수 복원 사업의 경위 7 1) 보수 복원 사업의 배경 및 계획의 수립 7 2) 보수 복원 사업의 착수 13 3. 보수 복원 사업의 내역 22 1) 삼청지구 22 2) 성북지구 25 3) 삼선지구 30 4) 동숭지구 34 5) 광희문 38 6) 광희지구 42 7) 장충지구 및 남산지구 45 8) 청운지구 47 4. 보수 복원 사업의 성과와 한계 53 1) 보수 복원 사업의 성과 53 2) 보수 복원 사업의 한계 57 5. 결론 70 참고문헌 73 부 록 77 Abstract 83
삼선동
국문초록
한양도성은 조선 태조 대에 축성하여 현재까지 600여 년 이상 유지되어 온 서울의 중요한 역사문화자원이다. 도성은 세종, 숙종 대의 대대적인 수축을 거쳐 계속 보수되어 왔으나, 일제강점기도시개발의 명목 하에 평지의 성벽과 문루들이 거의 파괴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도 도시화 등으로 훼손이 계속되었다. 1960년대에 이르러서 숭례문, 창의문 등 부분적으로 보수가 이루어지다가, 1970년대 중반에 도성을 하나의 문화재로 인식하고 계획을 세워 대대적으로 보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75년부터 1982년까지 진행된 한양도성 보수 복원 사업을 대상으로 하여, 사업의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논하였다. 이를 위해 주로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각종 기록물을 분석하여 공사 경위와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1975~1982년의 한양도성 보수 복원 사업은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시작되어, 문화공보부의 지도 아래 서울시가 시공하였다. 서울시는 복원을 위한 추진 기구를 설치하고, 도성을 삼청지구, 성북지구, 삼선지구, 동숭지구, 광희지구, 장충지구, 남산지구, 청운지구의 8개 지구로 나누어서 보수 복원하였다. 이 사업의 결과로 한양도성은 절반 가까이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이전까지 제대로 관리되지 못 하고 방치되어 있던 도성에 대해 시행된 최초의 전면적인 보수 사업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서울시 문화재의 관리가 도시계획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민가를 철거하고 성벽 내외로 녹지를 조성하여 도성의 훼손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원형대로의 복원을 원칙으로 내세웠다는 점도 성과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한양도성 보수 복원 사업은 여러 가지 면에서 성과보다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었다. 첫째, 한양도성 복원의 목적을 문화자원 고유의 가치를 보존하고 드러내는 데에 두지 않고 국가 안보 의식 고취에 두었다. 둘째, 대통령 지시에 의해 공사를 서두르면서 사전조사, 설계, 시공이라는 문화재 수리의 체계적인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았다. 셋째, 도성의 원 자재와 유사하지 않은 재질을 사용하거나 다른 보충재를 사용하여, 원형에서 멀어진 복원으로 도성의 역사성과 진정성이 많이 훼손되었다. 넷째, 도성의 보수 복원과정이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으며, 현재 남아있는 기록의 관리도 부실한 상태였다. 1975년에서 1982년까지 이루어진 한양도성 보수 복원 사업의 성과와 한계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목표로 한 한양도성 보존 방향에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즉, 문화재 수리의 체계적인 절차를 거쳐, 원형에 가까운 도성의 복원으로 한양도성의 미학적·역사적 가치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장하나래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4.02

생산지

  • 생산지: 명지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3674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남가좌동 50-3 (거북골로 34)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