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2장 사회적 공간과 전유 4
2.1. 사회적 공간 5
2.1.1. 사회적 공간(Social space)의 정의 5
2.1.2. 현대사회와 사회적 공간. 6
2.2. 전유 8
2.2.1. 전유(Appropriation)의 정의와 사회적 공간 8
2.3. 전유를 통한 사회적 공간의 가능성 8
제3장 대지의 선정 10
3.1. 삼선동 장수마을. 10
3.2.1. 장수마을의 역사와 현황 10
3.2. 장수마을의 가능성 14
3.2.1. 장수마을의 전유공간과 사회적 공간 14
제4장 마을재생 사례조사 17
4.1. 국내의 마을재생 사례 18
4.2. 사례의 효과와 가능성 분석 23
제5장 대지분석 및 설계부지 선정 25
5.1. 장수마을의 형성과정 26
5.2. 장수마을의 문제점 및 가능성과 제안 28
5.3. 개념: 전유를 통한 공유 33
5.4. 설계적용부지 선정과 선정배경 34
제6장 설계 프로세스 38
6.1. 개입의 방식 39
6.1.1. 노후도에 따른 개보수의 방식 39
6.1.2. 구축의 도구와 장치 40
6.2. 제안(Schematic proposal) 41
6.2.1. 프로그램 제안 및 새로운 골목 제안 41
6.2.2. 구축의 과정 43
6.3. 최종 계획안 44
6.4. 도면 47
6.5. 모형 57
6.6. 패널 62
제7장 결론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