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형 주거재생사업의 추진과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 장수마을을 중심으로
2014.02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의 검토 4 제1절 이론적 고찰 4 1.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개요 4 2.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서울시 추진현황 6 3.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단계별 과정 7 제2절 선행연구의 검토 9 1. 선행연구의 검토 9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2 제3장 장수마을의 현황분석 13 제1절 대상지 개요 13 제2절 토지이용 및 시설에 관한 현황분석 15 제3절 건축물에 관한 현황분석 18 제4절 인구 및 세대에 관한 현황분석 21 제4장 장수마을의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추진과정 22 제1절 장수마을의 시기별 변화과정 22 제2절 장수마을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단계별 추진과정 29 1. 준비단계 29 2. 계획수립단계 30 3. 사업추진단계 34 4. 관리운영단계 38 제3절 장수마을 변화과정에 관한 주민인터뷰 분석 39 제5장 결론 46 참고문헌 49 ABSTRACT 50
삼선동
국문초록
그 동안 서울시는 주택공급을 위하여 뉴타운, 재개발 등의 대규모 정비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우수한 자연경관의 훼손과 주민공동체가 파괴된다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서울시에서는 뉴타운, 재개발 진퇴를 주민의사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뉴타운․재개발 출구전략”을 발표하였다. 이는 주민 과반 이상이 반대하면 뉴타운․재개발 사업을 취소할 수 있으며, 기존 주민들의 정착을 어렵게 하는 전면철거의 주택재개발방식이 아닌 공동체 마을 만들기 중심의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방식으로 기존 주거지를 유지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4년 주택재개발예정지역 선정되었으나, 주택재개발의 어려움을 인지한 주민들의 의해 2013년 주택재개발예정지역에서 해제되고 주민참여형 지구단위계획 구역 지정되는 등의 변천사가 있는 성북구 삼선동1가 300번지 일대의 장수마을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연구의 목적은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이 중심이 되어 마을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환경을 개선하여 지속적으로 살아 갈 수 있도록 공동체를 형성하는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진행과정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발생했던 문제점 및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사업완료 이후에도 주민에 의해 관리,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장수마을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은 준비단계, 계획수립, 사업추진, 관리운영단계로 추진된다.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진행과정을 분석한 결과, 사업의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참여주체는 주민이라 할 수 있다. 장수마을은 지구단위계획구역이 지정되기 전에 주민협의회 및 골목별 주민모임을 중심으로 마을 커뮤니티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는 준비단계에서는 계획수립단계까지 주민간의 갈등이 최소화되었고, 주거환경관리사업 방식에 대해 큰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었다. 그리고 계획수립 단계에서의 주민의 참여도에 따라 사업추진과정의 인지 및 주민간의 이해와 사업의 만족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업이 완료 된 이후 마을 내 조성된 시설의 관리, 운영과 주민주도의 다양한 활동의 지속여부로 연결된다. 본 연구는 장수마을의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단계별 추진과정을 정리하고, 그 과정 속에서 발생했던 문제점과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사업완료 이후에도 주민에 의해 관리,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관리운영단계에서 주민이 스스로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주민의식과 역량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전문가의 지원, 주민공동시설의 관리운영을 위한 자발적인 재원마련 등의 구체적인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홍영주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4.02

생산지

  • 생산지: 서울시립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0250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694 (서울시립대로 163)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