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도시형 사찰건축의 공간구성 및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내 조계종사찰을 중심으로
1994
학술자료 학위논문
국문요약 = ⅰ 감사의 글 = ⅳ 목차 = ⅴ 표목차 = ⅷ 그림목차 = ⅸ 사진목차 = ⅹ Ⅰ. 서논 = 1 Ⅰ-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Ⅰ-2. 연구의 방법과 진행과정 = 3 Ⅰ-3. 실측조사와 범위 = 4 Ⅱ. 사찰건축의 기본적 고찰 = 9 Ⅱ-1. 불교건축의 역사적 고찰 = 9 Ⅱ-1-1. 사찰건축의 성립과 배경 = 9 Ⅱ-1-2. 한국의 사찰건축 = 14 Ⅱ-2. 불교의 신앙체계와 불교건축 = 20 Ⅱ-2-1. 불교의 교리체계 = 20 Ⅱ-2-2. 사찰건축의 구성체계 = 22 Ⅱ-2-3. 예불공간의 구성체계 = 26 Ⅱ-2-4. 사찰건축의 상징체계 = 33 Ⅲ. 한국의 현대불교와도시형 사찰건축 = 39 Ⅲ-1. 한국의 현대불교 = 39 Ⅲ-1-1. 한국 현대불교의 리염과 역할 = 39 Ⅲ-1-2. 한국 현대불교의 위상 = 41 Ⅲ-1-3. 한원 현대불교의 동향 = 44 Ⅲ-1-4. 현대 도시형 사찰건축의 필요성 = 45 Ⅲ-2. 서울지역내 도시형 사찰건축의 고찰 = 48 Ⅲ-2-1. 삼보정사 (1971) = 48 Ⅲ-2-2. 선학원 (1973) Ⅲ-2-3. 대원정사 (1978) = 49 Ⅲ-2-4. 불광사 (1982) = 49 Ⅲ-2-5. 삼선포교원 (1984) = 50 Ⅲ-2-6. 삼보사 (1985) = 50 Ⅲ-2-7. 수안사 (1988) = 51 Ⅲ-2-8. 법안정사 (1989) = 52 Ⅲ-2-9. 대각사 (1989) = 52 Ⅲ-2-10. 달마회관 (1989) = 52 Ⅲ-2-11. 석불사 (1991) = 53 Ⅲ-2-12. 구룡사 (1993) = 53 Ⅲ-2-13. 강남포교원 (1993) = 54 Ⅲ-2-14. 능인선원 계획안 = 54 Ⅲ-2-15. 법연사 계획안 = 54 Ⅲ-3. 현황과 문제점 = 55 Ⅲ-3-1. 립지조건과 배치 = 55 Ⅲ-3-2. 구조와 재료 = 58 Ⅲ-3-3. 평, 립, 단함의 류형과 기능의 상관성 = 60 Ⅲ-3-4. 단위공간별 배분률과 치수류형 = 66 Ⅲ-3-5. 현대 도시형 사찰건축의 문제점 = 71 Ⅳ. 현대도시형 사찰의 고찰 = 74 Ⅳ-1. 현대도시형 사찰의 개염 = 74 Ⅳ-2. 현대 도시형 사찰건축의 공간구성 = 76 Ⅳ-2-1. 진입의 축과 경노 = 76 Ⅳ-2-2. 대법당의 기능 고찰 = 78 Ⅳ-2-3. 새로운 공간의 수용 = 79 Ⅳ-2-4. 현대 도시형 사찰건축의 공간구성 = 82 Ⅳ-3. 현대 도시형 사찰건축의 요소변형 = 86 Ⅳ-3-1. 불단의 위치와 향 = 86 Ⅳ-3-2. 탑의 수용과 배치류형 = 90 Ⅳ-3-3. 안치성상의 형태와 부속전각의 제거 = 91 Ⅳ-3-4. 정화 = 93 Ⅳ-4. 소결 = 97 Ⅴ. 결논 = 101 참고문헌 = 104 부녹 = 108 ABSTRACT = 144
삼선동 동선동
국문초록
本 硏究는 서울지역내 現代 都市形 寺刹建築 15개소의 調査分析을 통하여, 現代 都市型 寺刹建築의 공간구성과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나아가서 도시형 사찰건축의 바람직한 方向性을 모색한 것이다. 먼저 寺刹建築의 特性과 本質을 考察하였으며, 한국의 現代佛敎가 안고 있는 現實과 問題點에 대한 考察을 하였다. 그리고 도시형 사찰의 사례분석과 평가를 통해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硏究目的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한국불교의 理念과 役割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改革의 方向을 모색하여, 그 현실적인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현대도시형 사찰의 必要性을 제시하고, 둘째, 서울 지역내 도시형 사찰의 事例分析을 통하여 現實態 및 問題點을 명확히 파악하며, 세째, 현대사회에 적용가능한 도시형 사찰의 槪念을 정의하고 그 方向性을 모색하여 변모하는 사찰건축의 공간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結論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도시형 사찰의 現況은, (1) 規模는 보통 연면적 1,000-2,000M^(2)의 범주에 속하는 사찰이 가장 많고, 구조는 R.C조, 그리고 재료는 일상적인 재료인 석재나 벽돌이 많이 쓰이고 있다. (2) 平面의 형태는 方形으로 구성되고, 佛壇의 위치에 따라서 법당의 활용에 따른 성격이 구체화 된다. 立面의 유형은 전통을 해석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설적 복고주의 형태, 전통적 문법을 수용한 형태, 근대적 문법을 수용한 형태, 그리고 제반의 절충적 형태 등의 네가지 양상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斷面의 경우는 각층의 공간구성이 비교적 명확하여 최상층에 대법당, 중간충에 요사및 선방, 지상층에 사무실 및 회관, 그리고 지하층에 식당 등으로 구성된다. (3) 현대 도시형 사찰건축의 空間構成은 예불공간을 비롯하여, 수도생활공간, 운영·사무공간, 교육·홍보공간, 사회복지공간 등으로 나타나며, 단위공간별 配分率과 치수유형을 고찰하였다. 둘째, 현대 도시형 사찰의 問題點은, (1) 도시형 사찰의 대부분이 기존의 전통사찰에서 표현되었던 우주의 象徵體系인 佛敎의 世界觀을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敎理의 物理的 形狀化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배제 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찰건축이 가지고 있었던 공간의 위계성, 점진적 구성, 중첩성, 각종 佛具 등의 象徵成도 퇴색 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2) 시대적 요구로 발생하는 현대 도시형 사찰의 뚜렷한 方向性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고전사찰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지침이 마련되지 못한데에 기인한다. 세째, 현대 도시형 사찰建築의 空間構成과 發展方向은, (1) 기존의 전통사찰은 伽藍의 配置를 통하여 종교적 우주관을 표현하였으나, 현대 도시형 사찰에서는 단일건물화의 추세로 대부분 수직적인 구성형태를 갖게된다. 따라서 그러한 고전의 사찰구성 방법은 이제는 內部空間의 構成으로색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 (2) 전통사찰은 승려들의 '修道共同體'였으나, 현대 도시형 사찰은 그 보다는 대중들의 '會合共同體'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므로 그러한 근본적인 사찰의 속성 변화에 따른 새로운 기능의 요구와 공간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소멸되거나 약화되는 것이 발생한다. 따라서 그러한 요소를 구체적으로 탐구하여야 한다. (3) 空間類型의 變化에 따라 새로운 機能의 受容要求가 상당히 부각되고 있으며 적극 활용해야 한다. 會館은 대중성을 고려하여 부각된 기능으로 무척 중요하다. 圖書館은 지역주민들에게 현실적인 이득을 전해줄 수 있는 요소이다. 단위신도를 위한 集會室은 사회적 지위가 비슷한 사람들이 서로의 신심을 북돋우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公演場은 지역주민들에게 예술문화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불교를 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幼稚園이나 託兒所 등은 아동포교를 적극 실천하고 그들의 인성을 순화하기 위한 공간이다. 끝으로 參禪室은 복잡한 현대인에게 정신적 에너지를 충진시키는 공간이다. (4) 각 단위공간의 치수유형을 제시하고 각 공간의 상관도를 고찰하였다. 공간의 구성은 단위면적과 배분율을 고려하여 조합해야 한다. 단순히 공간의 무절제한 확보는 기능및 평면상의 불합리한 요인이 된다. (5) 사찰건축의 구성요소가 현대사회에 적합하게 變形되어야 한다. ㉠ 진입공간의 상징화를 통하여 대법당의 접근경로를 보다 활성화 할 필요가 있으며, 벽감이나 회화 등을 활용하고 더불어 색유리 등의 시도도 바람직하다. ㉡ 불단의 위치와 향은 현대 도시형 사찰에서는 그 의미가 상당히 미약하게 축소되고 소멸되었으나, 현대사회에 맞게 상징화하고 수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탑이 갖는 '예배와 경배의 대상'이라는 고유한 의미를 되새겨, 단순한 옥외의 장식물이 아닌 적극적 설치물로 현대화하고 활성화해야 하겠다. ㉣ 안치된 성상 및 불상의 고유한 의미가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삭감되고, 또한 과거의 부속전각의 의미가 통합 변모되고 있다. 따라서 고유한 의미의 검증과 함께 현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명확히 고려하여 현대사회에 맞게 적극적으로 활용토록 한다. ㉤ 탱화는 현대적인 재해석을 적극적으로 시도해야하고, 석가팔상도와 같은 깊은 의미의 대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법당내부의 장엄요소로 활용해야 한다. (6) 끝으로 고전의 상징요소를 현대사회에 맞게 재해석하여, 현대 도시형 사찰의 내부공간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예불공간을 풍요롭게 구성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상과 같이 현대 도시형 사찰의 올바른 방향성을 모색하였으나, 對象事例의 數的인 열세와 敎理의 난해, 그리고 불교계 자체의 자료축적 미흡 등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주도 면밀한 분석과 평가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향후 보다 많은 사례의 추가분석을 통하여 변천의 과정을 검증하고, 他國의 사례 등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바람직한 현대 도시형 사찰의 제안이 요구된다고 思料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단국대학교 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단국대학교 대학원, 최오용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1994

생산지

  • 생산지: 단국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16890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1491 (수지구 죽전로 152)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