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디자인평가(PDE)를 활용한 가로공간 및 경관 평가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 ‘참살이길'을 중심으로
2009.02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 1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2.1. 시간적 범위 7 2.2. 내용적 범위 7 2.3. 내용적 범위 및 연구 방법 8 제 2장 선행연구 및 이론 고찰 11 1. 가로공간·가로경관·보행환경 11 1.1. 가로공간 11 1.2. 가로경관 19 1.3. 보행환경 23 2. 이용자디자인평가(PDE) 29 2.1. 의미 및 특징 29 2.2. 이용자디자인평가(PDE)의 평가방법 33 3. 공간 분석 기법 35 3.1. 가로공간 관련 지표 35 3.2. 가로·도시 경관 관련 지표 37 3.3. 보행환경 관련 지표 39 3.4. 보행자 서비스 관련 지표 41 제 3장 가로환경 분석의 틀 45 1. 개요 45 2. 물리적 평가 47 3. 심리적 평가 53 4. 행태적 평가 59 제 4장 가로환경 분석 (성북구 참살이길) 61 1. 서울시 ‘걷고싶은 거리 만들기’ 사업가로 61 1.1. 사업 개요 61 1.2. 사업별 추진현황 62 1.3. 평가의 종합 및 향후 추진방향 64 1.4. 성북구 안암동 ‘참살이길’ 조성현황 65 2. 가로 환경 분석 결과 67 2.1. 사회적 현황 67 2.2. 물리적 현황 75 2.3. 심리적 현황 89 2.4. 행태적 현황 분석 및 통행량 조사 96 제 5장 시사점 및 개선방향 105 1. 설문을 통한 시사점 도출 105 2. 구역별 문제점 제기 109 2.1. A 구역 109 2.2. B 구역 110 2.3. C 구역 111 2.4. D 구역 112 3. 문제점 종합 및 개선방향 113 3.1. 보도 및 차도 113 3.2. 가로시설물, 전기시설물, 식재 115 3.3. 주차공간(시설) 확충 116 3.4. 보행체계 및 이벤트(휴식) 공간 117 3.5. 소결 119 제 6장 설계안 121 1. 기본계획 121 1.1. 디자인서울에 의한 가이드라인 도출 121 1.2. Design Concept 123 2. 부분별계획 127 2.1. 공통 사항 127 2.2. 진·출입 공간(A구역) 129 2.3. 이벤트·휴식·녹지 공간(B-C구역) 131 2.4. 버스 정류장(D구역) 135 2.5. 주차시설(공간) 137 제 7장 결론 139 참 고 문 헌 141 부록Ⅰ - 설문지 143 부록Ⅱ - 행태조사표 147 부록Ⅲ - 디자인 도출 과정 148 감사의 글 157
안암동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증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신은경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생산시기: 2009.02

생산지

  • 생산지: 고려대학교
  • 생산지 유형: 제작사
  • 주소: 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2 (안암로 145)

기술통제

  • 작성자:
  •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