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만들기를 통해 본 거버넌스의 위기와 민주적 거버넌스의 재구성: 성북구 삼태기마을과 소리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2016.08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대상과 연구 방법 5 1. 연구 대상 5 2. 연구 방법: 해석적 접근 6 제3절 논문의 구성 9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10 제1절 주요 개념 정의 10 1. 정치학적 관점에서의 거버넌스 개념 10 2. 마을만들기와 마을만들기 거버넌스 11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13 1.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에 대한 선행 연구 13 2.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에 대한 선행 연구 16 제3절 이론적 논의 21 1. 행위자 중심의 거버넌스 접근 21 2. 거버넌스의 전통과 민주적 거버넌스로의 변화 24 3. 연구 가설 33 제3장 사례분석 35 제1절 서울시 마을만들기거버넌스 분석 36 제2절 삼태기마을 복지건강공동체사업 사례 44 1. 사업 개괄 44 2. 삼태기마을만들기 거버넌스 과정 47 제3절 소리마을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사례 63 1. 사업 개괄 63 2. 소리마을만들기 거버넌스 과정 67 제4절 소결 85 제4장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심층적 논의 87 제1절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위기: 지속하는 관 주도 거버넌스의 전통 87 1. 소외된 주민참여와 형식적 거버넌스 89 2. 정책 기획자와 정책 실행자의 분리 90 3. 민주적 책임성의 한계 93 4. 성과주의와 효율성 중심의 제도화 95 제2절 민주적 거버넌스의 재구성: 사회적 자본과 다양한 지역적 전통의 형성 99 1. 삼태기마을 거버넌스와 사회적 자본 101 2. 소리마을 거버넌스와 사회적 자본 107 제3절 소결 114 제5장 결론 116 제1절 요약 및 정리 116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향후 연구 과제 119 참고 문헌 122 Abstract 131
월곡동 길음동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증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유지연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생산시기: 2016.08

생산지

  • 생산지: 서울대학교
  • 생산지 유형: 제작사
  • 주소: 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관악로 1 )

기술통제

  • 작성자:
  •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