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북동 에코뮤지엄 조성방안 연구 : 지역정체성을 중심으로
2021.02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1장 서론 제2장 에코뮤지엄의 특성과 지역정체성 제3장 성북동의 역사와 지역정체성 분석 제4장 서울 성북동의 지역정체성을 통한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 제5장 결론
성북동
국문초록
박물관은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며 끊임없이 변화해 왔고 박물관을 주도하는 주체나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박물관이 무엇을 중요하게 여겼는지의 양상도 거듭 변해왔다. 국민주권이 실현되고 시민사회가 형성된 20세기 이후에는 박물관도 개인의 문화 향유와 또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안 제시라는 사회적 기능이 중요해 지면서 이를 신박물관학에서 다루게 되었고 에코뮤지엄은 이러 한 논의 속에서 형성된 개념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른 박물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에코뮤지엄에서 특히 두드러진 요소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박물관적 대안으로 등장한 ‘지역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인의 삶과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을 변화시키는 매개체로서의 에코뮤지엄은 지역이란 공간을 범위로 하여 자연환경과 건축물을 비롯한 유형적 자산과 무형적 자산(역사와 풍습, 생활방식, 이야기 등)을 보존, 활용하며 지역 전체를 하나의 박물관 개념으로 조성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에코뮤지엄은 지역정체성을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참여(Participation), 지역유산(Heritage), 박물관 활동(Museum)의 세가지 요소가 균형을 이루며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일체의 과정과 결과가 에코뮤지엄의 이상적인 모습이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이라는 지역을 대상으로 성북동의 지역정체성을 중심으로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을 논의해 본다. 성북동은 북악산과 연결된 봉우리인 구준봉과 응봉 아래 산자락에 위치하며 중심에 성북천이 흘러 빼어난 산수를 지닌 지역이었다. 역사 속에서 성북이라는 지역은 한양도성의 사소문(四小門) 중 하나인 혜화문 밖을 나서면 도보거리로 연결되는 지역으로 조선시대 전기에 국가의 중요한 제단(선잠단)이 설치된 곳이었고, 18세기에 본격적으로 인구가 유입된 이래 산과 물이 어우러진 수 려한 자연경관으로 가진 명승지로 각광을 받으며 문인들의 문학작품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 기록된 지역이었다. 현재 성북동에는 한양도성(사적 제10호), 선잠단(사적 제83호), 서울 성북동 별서(명승 제118호) 등 조선시대의 역사문화 자원이 많이 남아있다. 그러나, 서울의 많은 지역이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에서 효율과 편의의 가치 위주로 원래의 모습을 잃은 채 획일적으로 변모되어 왔듯이 성북동 지역도 유사한 과정을 거치며 18-19세기 문헌이 증언하고 있는 역사성과는 단절된 채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잃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에 성북동의 변천과정과 현재 모습을 고찰해 보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성북동의 지역정체성을 분석해 본다. 나아가, 본고는 ‘지역정체성’ 을 ‘지역의 고유한 특성’과 '지역주민의 자기 지역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하며 ‘지역정체성’의 현재적 의의를 살펴본다. 논의 방법은 크게 선행이론 및 문헌자료, 현장 조사와 더불어 서울시청과 성북구청의 정책자료 분석을 통해 성북동의 고유한 특성과 현재의 상황을 살펴본다. 아울러 성북동 주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북동 지역 주민들의 성북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해 보며, 성북동 주민센터 담당관과 주민자치위원회 자치위원, 전문가와 문화기관 담당자 및 지역 주민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성북동 에코뮤지엄의 조성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성북동의 지역정체성을 기반으로 지역 내에 현재 존재하지만 단절되고 고립되어 있는 역사문화유산과 자연생태환경에 연결성과 확장성을 부여하고, ‘복원’하고 ‘재현’하는 방식으로 현재성을 부여하는 성북동 에코뮤지엄 의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지역정체성과 공동체의식을 고취하며, 대외적으로는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며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고려대학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고려대학교 대학원 , 박중선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 지도교수 최광식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21.02

생산지

  • 생산지: 고려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비고: 문화유산학협동과정 박물관학 전공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염현주
  • 작성일: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