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커먼즈의 지역모델 연구 : 서울시 성북구 <미인도> 중심으로
2021.02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1장 서론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논의 - 커먼즈 -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제3장 <미인도> 연구 분석 - <미인도> 배경과 조성 과정 - <미인도> 커먼즈 구성 요소 분석 - <미인도> 커먼즈 성장과 도시재생 제4장 시사점 - <미인도> 공유실천 구성체 - 전통 커먼즈와 <미인도> 커먼즈 비교 - <미인도> 지속가능성을 위한 향후과제 - 공공지원 제5장 결론과 제언
동선동
국문초록
본 연구는 서울 성북구 <미인도> 사례를 통하여 도시 공간을 기반으로 한 커먼즈 형성 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미인도>는 예술가, 기획가 시민이 모일 공간을 찾다가 방치된 유휴공간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공유, 성북원 탁회의 커머닝과 민·관 거버넌스를 거쳐 시민주도로 조성되었다. <미인도>는 공동공간을 거점으로 공동체, 공간관리(제도) 요소가 공유 실천하기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유기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도시 커먼즈의 대표적인 사례로 본다. 이 연구에서 공유 실천하기를 도시 커먼즈의 주요 기제로 보며, 지난 5년 동안 <미인도>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공간, 사람과 제도를 연결하고 공유실천을 통하여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쌓으며 풍부한 공통재를 생산하였다. 공통재는 공통의 것을 확장하고 외부성을 형성하며 지역에서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발휘하였다. <미인도>는 도시 커먼즈가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고 자치적 관리를 통해 ‘우리 모두의 것(정영신, 2020)’으로 배태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며 도시 공간을 기반 커먼즈 형성에 나침판이 되어 줄 것이라 기대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서울시립대학교 /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유현희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지도교수: 서우석 /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21.02

생산지

  • 생산지: 서울시립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 비고: 도시과학대학원 문화예술관광학과 관광문화학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염현주
  • 작성일: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