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자 배제에서 포용으로의 사회공간적 변화 연구: 서울시 동선동 점복촌의 시각장애인 역학사를 사례로
2019
학술자료 학술지논문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사회공간적 관점에서 본 시각장애인 역학사의 활동사 4. 동선동 점복촌의 형성과 사회공간적 환경 5. 동선동 시각장애인 역학사의 관계적 변화를 위한 활동
동선동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성북구 동선동 점복촌을 사례로 시각장애인 역학사에 대한 배제와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의 사회공간적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포용도시 구현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판수라 불렸던 시각장애인 역학사는 국가의 지원 하에 점복·독경을 행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미신타파의 대상이 되었다. 6·25 전쟁 후 서울 남산 자락과 종로 3가 등에 점복촌이 형성되었으나 도시정비사업으로 철거되고, 1970년대에 지가가저렴하고 유동인구가 많던 미아리 고개 주변에 점복촌이 형성되었다. 1990년대 말까지 동선동에서 점자도서관설립 반대, 전통거리 조성 사업의 무산, 역학원 운영에 대한 주민과의 마찰과 같은 사회공간적 차별과 배제가 나타났다. 2010년 이후에는 시각장애인의 점복·독경에 대한 법적·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도시재생활동을 통해 점복촌이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장소 자산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지역 통합과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는, 배제를 극복하기 위한 공간적 전략으로서의 점복촌 형성 등 시각장애인 역학사 개인 및 집단 차원에서 전개한 주체적노력과 지역공동체 중심의 재생활동에 의한 것으로서, 이는 포용도시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수행적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한국도시지리학회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상명대학교, 박준홍, 정희선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제1저자(박준홍)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9

생산지

  • 생산지: 한국도시지리학회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808(봉천동, 센추리타워 914호))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염현주
  • 작성일: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