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의 콘텐츠 개발과 정보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비교 연구:성북구를 중심으로
2025
학술자료 학위논문
그림목차 ⅳ 표목차 ⅲ 국문초록 ⅴ 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설계 및 방법 2 1.3 자료수집 및 연구진행 순서 4 제 2 장 선행연구 5 2.1 사서의 역할에 대한 선행연구 5 2.2 사서의 전문성에 대한 선행연구 8 제 3 장 조사방법 및 설문항목 구성 3.1 사서의 일반적인 특징 11 3.2 이용자의 일반적인 특징 12 제 4 장 분석결과 및 해석 13 4.1 콘텐츠 개발에 대한 인식 분석 13 4.2 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 분석 17 4.3. 이용자의 연령대별 인식 차이 분석 21 4.4 자유의견 분석 23 제 5 장 결론 및 제언 24 참고문헌 26 부 록 28 Abstract 32
성북구
국문초록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보 환경의 변화에따른 도서관의 콘텐츠와 정보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을 비교하여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서가 정보매체와 기술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강화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매개자(mediator)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도서관의 실천방향 및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서관의 콘텐츠와 정보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KSDC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성북구 공립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와 이용자로 하였다. 사전에 성북구 공공도서관 사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화 및 이메일 조사를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24년 4월 22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 되었으며 조사기간 동안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설문문항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일반문항 3문항, 18개의 선택형 문항, 1개의 자유의견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선택형 문항은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 운영의 두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응답자 중 사서는 45명, 이용자 104명의 인구 통계학적 성격을 분석한 결과 사서의 경우 남성이 5명, 여성이 40명으로 여성의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이용자 중 남성이 35명, 여성이 69명이었다. 역시 여성이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응답자가 많았다. 콘텐츠 개발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있어, 사서는 최신자료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이용자는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콘텐츠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반면, 사서와 이용자 모두 ‘콘텐츠 저장장소(서고)를 줄이고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도록 창작 및 공유 공간 제공’ 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사서 집단과 이용자 집단 모두 도서관은 콘텐츠를 충분히 확보하여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서비스 운영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서는 사서 집단은 ‘다양한 배경의 이용자들에게 지식 격차를 해소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이용자 집단은 ‘모바일을 이용한 서비스 확대’를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여 운영 방향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서와 이용자 모두 ‘이용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무료 클라우드 저장 공간 제공’ 항목에 대해 가장 낮은 점수를 주어, 두 집단 모두 해당 항목의 중요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북구 도서관 운영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한다. 첫째, 사서와 달리 이용자는 ‘연령대별 다양한 콘텐츠 확보’ 를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므로, 성북구 도서관에서는 연령대별 콘텐츠 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장서개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배경의 이용자들에게 지식격차를 해소하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이 사서보다 이용자들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성북구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배경의 수요계층을 발굴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북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이 이용자들에게 낮게 인식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지역주민의 관심사를 북큐레이션 테마로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서비스에 반영해야 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명지대학교 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명지대학교 대학원, 김정미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25

생산지

  • 생산지: 명지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현시현
  • 작성일: 202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