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의 스토리밸류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2024
학술자료 학술지논문
성북구
국문초록
한용운에 대한 역사 기록은 문화콘텐츠가 되고 있다. 한용운 문화콘텐츠는 일종의 스토리텔링이라는 점에서 스토리밸류를 고양시킬필요성이 있다. 한용운 문화콘텐츠의 스토리밸류를 고양시키는 일은역사 기록의 진리효과를 해체하면서 현재의 보편적 가치 아래에서 변증법적으로 전개되는 진리의 운동에 참여하는 실천이다. 이번 연구는 먼저 한용운 역사 기록이 문화콘텐츠로 조성된 대표적 사례를 정리한다. 대표적 한용운 문화콘텐츠는 삼일운동의 역사적 사건 현장인 탑골공원의 한용운 비석, 한용운의 고향인 홍성의만해문학기념관, 한용운이 승려로서 수행한 인제군의 만해마을 내만해문학박물관, 한용운이 거주했던 서울 성북구의 심우장과 경기도광주시 만해기념관 등이 있다. 이번 연구는 한용운 문화콘텐츠가 민족담론이라는 고정점에 의해스토리텔링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역사적 트라우마의 증상으로서 스토리텔링은 ‘결정화 효과’에 대한 교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사회분석을 거쳐 이번 연구는 근대문명을 넘어서는 보편을 지향하는한용운의 선외선의 사상을 한용운 문화콘텐츠의 스토리밸류로 제시하였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김익균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24

생산지

  • 생산지: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55069 전라북도 전주시 (천잠로 303)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현시현
  • 작성일: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