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역사인물 콘텐츠 생산과 활용 방안 연구 : 서울 성북구 성북동 출신 독립운동가를 중심으로
2025
학술자료 학위논문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 방향과 방법 11 II. 이론적 배경 12 1. 지역역사문화인물 정의 12 2. 역사문화콘텐츠 정의 및 종류 13 3. 독립운동가 인물자원의 콘텐츠화 14 4. 서울 성북동의 특징 18 Ⅲ. 독립운동가 콘텐츠 생산 및 활용 사례 21 1. 단일 독립운동가 기념시설 및 콘텐츠 (백범김구기념관) 24 1) 백범김구기념관 콘텐츠 분석 25 (1) 백범 김구 인물 배경 25 (2) 주말 전시 해설 탐방 26 (3) 미션 수행 프로그램 ‘사라진 편지’ 28 (4) 체험 프로그램 ‘평범한 사람의 빛나는 소원 이야기’ 29 (5) 체험 프로그램, 역사의 현장속으로, 백범신문만들기 31 (6) 백범김구기념관 콘텐츠 분석 32 2. 지역 출신 복수 독립운동가 기념시설 및 콘텐츠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34 1)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콘텐츠 분석 34 (1) 독립관 전시 36 (2) 의열관 전시 42 (3)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전시 콘텐츠 분석 44 3. 단일인물 독립운동가 역사인물 축제 (조지 워싱턴 탄생 기념축제 ‘GEORGE WASHINGTON BIRTHDAY CELEBRATION’) 47 1) 조지 워싱턴 인물 배경 48 2) GEORGE WASHINGTON BIRTHDAY CELEBRATION 개요 49 3) 2023 GEORGE WASHINGTON BIRTHDAY CELEBRATION 의 내용 50 4) GEORGE WASHINGTON BIRTHDAY CELEBRATION 의 세부 콘텐츠 51 (1) George Washington Parade (조지 워싱턴 퍼레이드) 51 (2) Hunt for Washington (보물찾기 게임 - ‘워싱턴을 찾아라’) 52 (3) #GWCherryChallenge 53 (4) George Washington’s Alexandria Tour 2024 (조지 워싱턴의 알렉산드리아 투어) 54 (5) Wreath laying Ceremony at the Tomb of the Unknown Soldier of the Revolution (혁명 무명용사묘 헌화식) 55 (6) Historic Sites Open on Parade Day (역사 유적지 개방) 56 (7) Washington’s Entertainments: A Birthnight Event (워싱턴 엔터테인먼트: 생일 이벤트) 57 (8) Washington Symposium (학술회의) 58 5) 시사점 59 Ⅳ. 성북동 독립운동가 인물자원과 활용 현황 64 1. 성북동의 독립운동가 인물자원 특성 및 현황 64 1) 성북동 독립운동가 인물자원의 특성 64 (1) 독립운동가들의 인물적 특성 64 (2) 독립운동가 활동 공간의 특성 65 2) 성북동의 독립운동가 인물자원 현황 66 (1) 의병 참여 독립운동가 (1명) 66 (2) 성북동의 3・1운동 참여 독립운동가 (7명) 66 (3) 임시정부 참여 독립운동가 (3명) 69 (4) 의열단 참여 독립운동가 (1명) 71 (5) 사회주의 혁명운동 (18명) 71 (6) 시국담의 전파와 비밀 결사 운동 (7명) 78 (7) 기타 활동 참여 독립운동가 (7명) 80 2. 성북동 독립운동가를 활용한 프로그램 사례 분석 90 1) 창작뮤지컬 ‘심우’ 90 (1) 뮤지컬 개요 90 (2) 2023 뮤지컬 ‘심우’ 굿즈 93 (3) 뮤지컬 ‘심우’ 중학생 초청 특별 공연 94 (4) 뮤지컬 ‘심우’ 설문조사 95 (5) 뮤지컬 ‘심우’ 의의와 성과 99 2) 2023 성북동문화재야행 프로그램 ‘밤 손님이 나타났다’ 102 (1) 2023 성북동문화재야행 102 (2) 2023 성북동문화재야행 - ‘밤 손님이 나타났다’ 103 (3) 2023 성북동문화재야행 - ‘밤 손님이 나타났다’ 진행 과정 104 (4) 2023 성북동문화재야행 - ‘밤 손님이 나타났다’ 의의와 성과 106 3) 뮤지컬 ‘심우’, ‘밤 손님이 나타났다’ 보완점 107 (1) 뮤지컬 ‘심우’ 108 (2) 성북동문화재야행 ‘밤 손님이 나타났다’ 108 Ⅴ. 서울 성북동 독립운동가 콘텐츠를 활용한 콘텐츠 프로그램 제안 111 1. 성북동 독립운동가 사진전 114 1) 전시 장소 117 2) 전시 프로그램 개발 118 (1) 독립운동가 사진전시 118 (2) AI로 재현한 독립운동가 이미지 전시 119 (3) 해설프로그램 120 (4) 체험 프로그램 121 3) 관객 유치 제안 122 2. 성북동 독립운동가 집터 답사 프로그램 128 1) 1930 ~ 40년대 독립운동가 집터 코스 129 2) 3.1운동 계열 독립운동가 집터 코스 134 3) 제안 137 3. 한여름 밤 5분 독립운동 영화제 140 1) 운영계획 142 (1) 프로그램 홍보 및 참여자 모집 (4월 ~ 5월) 142 (2) 역사강의 및 참가자 주제 선정, 시나리오 제작 (6월) 144 (3) 영상 제작 및 중간 점검 (7월) 146 (4) 상영회 (8월) 147 2) 참여자와 지역사회에 기대되는 효과 149 Ⅵ. 결론 152 참고문헌 154 Abstract 165
성북동
국문초록
서울 성북동은 다른 지역에 비해 독립운동가들의 자취가 많이 남아있는 지역이다.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이 대표적이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집터를 30곳 이상 확인할 수 있다. 인물과 집터의 수만큼이나 성북동은 독립운동에 관한 다채로운 이야기를 골목 구석구석마다 품고 있다. 이러한 성북동의 문화자원은 지역 기반 콘텐츠 생산에 풍부한 원천 자료가 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여러 제약 때문에 보다 활발한 콘텐츠 생산으로는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성북동의 문화적 환경을 기반으로 성북동의 역사 인물, 그 중에서도 특별히 성북동에 연고를 둔 독립운동가들의 자료와 그 이야기를 살펴보고 지역문화자원으로서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활용한 역사문화콘텐츠의 제작 방향과 활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 역사인물 콘텐츠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원천자료, 활동, 기획 및 운용 주체라는 3가지 필수 요소가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 국가유산청의 문화유산 활용 가이드라인을 응용하여 오락형, 교육형, 감성형, 참여형, 답사형, 관광형(투어) 등 6가지 유형으로 콘텐츠 생산 방향을 설정하였다. 성북동 독립운동가 콘텐츠 개발에 참고한 기존 콘텐츠 개발 및 운영 사례로는 국내의 백범김구기념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해외의 GEORGE WASHINGTON BIRTHDAY CELEBRATION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성북동 독립운동가 콘텐츠 제작과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축제에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성북동에는 의병 활동, 3·1운동, 임시정부 활동, 의열단 활동, 사회주의 혁명운동, 시국담의 전파와 비밀결사 운동 등 다양한 독립운동을 전개한 44명의 독립운동가들이 있었다. 하지만 성북동에서 진행 중인 독립운동 콘텐츠 프로그램에는 주로 ‘한용운’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다른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콘텐츠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많은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콘텐츠 개발과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예시로 ‘성북동 독립운동가 사진전’ ‘성북동 독립운동가 집터 답사 프로그램’ ‘한여름 밤 5분 독립운동 영화제’등 이다. 이러한 콘텐츠는 성북동의 독립운동가들을 널리 알릴뿐더러, 지역 주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지역과 국가에 대한 사랑을 북돋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콘텐츠의 긍정적 효과는 역사 인물 콘텐츠의 대상과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전체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계민우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25

생산지

  • 생산지: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구 와우산로 94)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현시현
  • 작성일: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