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성북구 도시노인의 건강행태에 대한 심층조사와 예방관리를 위한 중재연구(후속)
2021
학술자료 연구보고서
제1장 최종 연구목표 제1절 연구 배경 10 제2절 연구의 필요성 15 제3절 최종 연구목표 19 제4절 후속연구 연구목표 19 제5절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기여도 22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제1절 노인건강평가 관련 국내외 기술 현황 24 제2절 노인 대상 건강 중재 관련 사례 25 제3절 사회적 참여의 건강 영향에 관련된 국내외 기술현황 29 제3장 최종 연구추진전략 및 수행체계 제1절 연구추진전략 31 제2절 연구추진체계 31 제4장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제1절 추적 노인 건강조사 개요 35 제2절 추적 노인 건강조사 분석방법 55 제3절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분석 57 제5장 최종 연구결과 제1절 후속연구 노인 건강조사 수행 결과 60 제2절 후속연구 노인 건강조사 결과 분석 62 제3절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결과 117 제6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제1절 연구의 의의 및 성과 126 제2절 추적 건강조사 결과 및 이전 건강조사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성북구 노인건강 상태의 고찰 127 제3절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의 참여가 의료 이용 및 의료 비용에 미치는 영향의 고찰 132 제4절 중재 프로그램 평가 및 발전 방향 모색 132 제5절 확산모델 개발 140 제6절 본 연구의 제한점 152 제7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154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155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 분담표 제10장 참고문헌 160
성북구
국문초록
고령사회에 노인 인구의 만성질환 관리, 삶의 질 저하 및 의료비 증가는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성북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노인인구의 사회적 활동과 참여를 증진시키는 중재방안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노인의 신체활동 증가 및 기능저하 예방, 건강수명 연장을 도모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 기존의 노인의 신체, 정신, 사회, 문화적 상태를 평가하는 도구를 재정비하고 보완하여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한 노인 건강 측정 도구를 마련하였으며, 지난 3년간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맞춤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함으로써 노인의 사회적 자본 향상 및 신체적, 정신적 기능증진을 달성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기능저하 예방, 건강수명 연장 및 의료비 증가속도 둔화를 추구하였음. 후속연구를 통해 중재 후 노인건강조사를 실시하여 중재 전, 후의 노인의 전반적인 신체, 정신, 인지기능 등의 건강상태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다소 짧은 기간 동안의 중재 및 추적조사, 그리고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이라는 환경 하에서 큰 변화는 찾기 어려웠으나 몇 가지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찾을 수 있었음. 본 연구는 사회, 경제적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지역사회기반 참여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한 것으로써,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의 향상, 노인의 신체 활동량 증가 및 고른 영양 섭취로 이어지고, 노인의 신체기능 및 인지능력 향상, 우울감 감소를 통해 타 질환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노인 의료비 증가 속도를 경감하고 건강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수 년이라는 시간은 중재 효과를 파악하기에는 다소 짧은 면이 있어, 추후 참여적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실행및 노인의 건강상태 및 사회적 자본의 평가가 필요함.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성북구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21

생산지

  • 생산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현시현
  • 작성일: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