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깃거리

성북구의 인물, 사건, 장소, 유물, 문헌, 작품 등을 유형별, 시대별, 지역별로 검색하는 곳입니다.

검색정보 입력
1,975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필터

  • 이야기 분류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필터 닫기
  • 시대
    필터 닫기
  • 지역
    필터 닫기
  • 문화재 지정
    필터 닫기
보기: 정렬:
  • 안암동 안암로 105 상가 건물
    장소
    안암동 안암로 105 상가 건물
    성북구 안암로 105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6년 11월 2일이다. 면적은 202㎡, 연면적은 619.17㎡이다. 대로변과 이면 도로 사이 모퉁이에 있는 이 건물은 안암역 3번 출구에서 도보 3분 거리이다. 대로변에 인접해 있고, 바로 앞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건물의 출입문은 약국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해 있다. 외벽은 회색빛 벽돌로 마감되어 있다. 건물은 총 4층으로, 1층에는 한의원, 카페, 약국이 있고, 2, 3층은 고시원이 입점해 있다. 건물의 옥상은 테라스처럼 꾸며져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안암동 삼익아파트 상가
    장소
    안암동 삼익아파트 상가
    성북구 안암로9가길 1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3년 6월 14일이다. 면적은 10,390.1㎡이다. 건물은 지하 1층과 지상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가 건물에 가기 위해서는 짧은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지하 1층에는 오렌지 마트가 있는데, 창고로 쓰이며 현재 운영하지 않는다. 지하 1층에 주변 상가도 있던 것으로 추정되나, 문이 닫혀있고 복도에 불이 꺼져 사람이 다니지 않는다. 오렌지 마트, 봉우리 식당, 맞춤.수선, 삼익장식, 삼익크리닝상사, 국수생각&돈까스, 우편취급국이 입점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안암동 대광아파트
    장소
    안암동 대광아파트
    안암로9나길 14에 있는 아파트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12월 9일이다. 면적은 6,341.5㎡, 연면적은 18,714.91㎡이다.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다. 아파트 건물마다 층수가 다르지만, 최고 층수는 7층이다.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어있지 않다. 주차 공간이 넉넉하게 존재한다. 입구에서 나선형 길을 따라 들어가야 주차장이 보이며, 입구는 굴처럼 되어있다. 올라가면 아파트가 주차장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성북천 공원과 접근성이 좋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안암동 안암아파트
    장소
    안암동 안암아파트
    안암로9가길 9-16에 있는 아파트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9년 10월 1일이다. 면적은 1,165.6㎡, 연면적은 4,639.96㎡이다. 총 72세대로,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다. 건물은 총 8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는 없다. 내부 로비 없이 바로 출입문이 존재하고 있다. 외부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운데 주차장이 있었다. 단지 내 1층에 책방이 운영되고 있다. 주변은 대부분 빌라와 아파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기동역과 안암역이 가깝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안암동 삼익아파트
    장소
    안암동 삼익아파트
    성북구 안암로9길 30에 있는 아파트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3년 6월 14일이다. 면적은 8,874㎡, 연면적은 28,620.38㎡이다. 총 204세대로,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다. 건물은 총 10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마다 아파트 앞에 벤치가 설치돼있다. 아파트 외부도 깔끔하며 지속적으로 공사하고 관리한 건물로 보인다. 동마다 내부 지하 1층에 비상용 지하공간이 있다. 주민들이 그곳에서 대화를 하거나 빨래를 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반려견과 함께 다니는 주민이 많고, 동 사무소 앞에 체육관이 크게 지어져 있어 주민들이 애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보 3분 거리에 성북천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성북동 창원빌딩
    장소
    성북동 창원빌딩
    성북구 성북로 108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5년 6월 4일이다. 건축면적은 278.5㎡이고, 연면적은 1333.39㎡이다. 지하에 낙지마당이라는 음식점이 있고, 1층에 옷 가게가 있다. 이외에, 5층까지 다양한 기업과 스튜디오가 입점해 있다. 상가라기보다 사무실 빌딩에 가깝지만, 상업, 영업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외관의 꾸밈은 거의 없다. 간판도 거의 달려 있지 않다. 건물의 외관이 오랫동안 거의 바뀌지 않았다. 내부의 복도와 계단, 층계참은 넓고, 입점 공간도 상당히 넓다. 내부의 층별 소개에 따르면 규모가 있는 창원금속 서울사무소가 한 층을 다 차지하고 나머지 층은 대부분 두 공간으로 나뉘어 두 상가씩 입점해 있다. 외부엔 주차장이 있으며 지하공간도 있다. 옥상의 통신 설비가 눈에 띄는 요소이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성북동 우리밀국시
    장소
    성북동 우리밀국시
    성북구 혜화로 84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8년 4월 25일이다. 연면적은 207.58㎡이다. 우리밀국시라는 음식점 하나가 있는 건물이며, 1층만 식당으로 쓰이고 있다. 2층에 행주를 널어놓거나 실외기가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2층 이상도 영업을 위해 사용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건물 옆 공간이 좁고 계단이 가파르다. 빨간 벽돌조로 되어있어 일반 가정집 같으면서도 가게 앞부분이 거의 유리로 되어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 가게가 주변 건물과 다닥다닥 붙어있다시피 하기에 앞부분이 집중적으로 노출되고 옆과 뒤는 보기 힘들다. 국시는 성북동에서 많이 파는 칼국수의 종류이고, 성북동의 명물로 상징성이 있다. 성북동은 삼선교와 더불어 고위 관료 등 요직에 있는 사람들이 많이 살던 동네였고, 고기 고명의 칼국수를 파는 것이 유행이 되었다. 특히 김영삼 전 대통령이 좋아하던 음식이기에 더 주목받게 되었다는 배경도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성북동 혜화로 88 상가 건물
    장소
    성북동 혜화로 88 상가 건물
    성북구 혜화로 88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9년 9월 8일이다. 건축면적은 123.6㎡이고, 연면적은 618㎡이다. 한양도성 성곽과 맞닿아 있어 자연과 인문환경이 조화롭게 어울리는 지점이다. 성북아파트로 가는 길까이 음식점이 이어져 있고, 근처에 <오박사네 돈까스>가 지역을 대표하는 맛집으로 유명하다. 건물에는 총 7개의 가게가 입점해 있다. 공연장 겸 요리주점 <째즈스토리>, 1층에는 한식집 <서촌누각>, 2층에는 양식집 <문화식당>이 있다. 또 디저트 카페 <몰리다.>, 필라테스 교습소 <자이로토닉 드라이브>, 종합 도소매점 <멜트메소드서울>과 화랑 <성북동 작은 갤러리>가 있다. 2014년에는 붉은 계통의 벽돌색이었다가 2017년에는 현재와 같은 하얀색 외벽으로 바뀌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성북동 성북로 76 상가 건물
    장소
    성북동 성북로 76 상가 건물
    성북구 성북로 76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성북동 60-33의 사용승인일은 1965년 7월 30일, 성북동 60-48의 사용승인일은 1973년 12월 26일이다. 두 지번의 토지를 합친 건축면적은 321㎡이다. 연면적은 60-33(제1종근린생활시설)이 439.79㎡, 60-48(제2종근린생활시설)은 453.08㎡이다. 1층에는 디저트 카페 밀플렉스, CU 성북본점이 있고, 2층에 성암이발관, 3층에 지요건축사사무소가 있다. 근방에 홍익사대부고, 경신중⦁고, 서울과고, 서울국제고, 성북초가 있고, 주변에 편집샵과 카페가 많다. 성북동의 주요한 길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삼각지에 있다. 이 부근을 기점으로 조용하고 차분한 동네 경관이 이어지기 시작한다. 로드맵 등으로 확인해 봤을 때, 2010년도에는 지하에 성암탕이, 2층 이발관 자리에는 하나美치과가 있었으며 밀플렉스 자리엔 옷 가게가 있었다. 2012년 4월에는 옷 가게 자리가 아성 공인중개사사무소로 바뀌었고, 2층에는 이발관과 구보다스시집이 함께 있게 되었다. 2014년 11월에 목욕탕은 없다. 2017년에는 공인중개사사무소가 내가 만든 나라라는 인형 가게로 바뀌었으며, 2020년엔 이마트24와 한식당, 클래식 카페 등이 들어오게 되었다. 굉장히 다양한 점포가 들어왔다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성북동 성북아파트
    장소
    성북동 성북아파트
    성북구 성북로31길 40-12에 있는 아파트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8월 25일이다. 건축면적은 313.72㎡, 연면적은 1928.34㎡이다. 총 49세대, 지상 6층의 아파트이다. 성북동 가장 안쪽 동네, 언덕 중턱에 있다. 옥상에 올라가면 성북동 전경을 볼 수 있으며 롯데월드타워까지 내다보일 정도로 전망이 좋다. 언덕을 더 올라가면 한양도성 성곽과 북정마을이 나오고 길은 삼청공원과 안국동으로 이어진다. 세대 창문과 장벽 사이로 좁다란 공간이 있다. 앞쪽은 철문으로 막혀있고 뒤쪽은 공구 보관함과 뜰이 있는 공간으로 이어진다. 각 2호씩 짝지어 출입구 및 계단이 구분되어 있으나 4호 라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옥상에는 빨래를 말리고, 꽃을 기르는 화분이 있다. 옆의 서울아파트는 리모델링으로 아파트 출입문, 모든 창문까지 바꾸는 대대적 개보수를 거쳤으나 성북아파트는 외벽 칠을 다시 한 것만 빼면 거의 그대로 보존돼있다. 70년대 초에 추구했던 아파트 형식을 잘 보여주며 사진 전공 대학생들이 옥상에서 사진을 찍기 위해 올 만큼 잘 알려진 아파트이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석관동 석관시장 건물
    장소
    석관동 석관시장 건물
    성북구 돌곶이로22가길 27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8년 7월 23일이다. 건축면적은 1,992㎡이고, 연면적은 9,815㎡이다. 석관시장 내 중심에 위치한 석관시장 건물이다. 이 건물을 중심으로 여러 시장 상점들이 위치 해있으며 유동 인구가 상당히 많다. 건물은 지상 4층이고, 탑마트, 대중 목욕탕, 골프 연습장, 인테리어 가게, 안경점 등이 입점해있다. 1층에는 마트와 상점들이 줄지어 있다. 2층과 3층은 대중 목욕탕, 꼭대기는 골프 연습장이다. 1층 마트 옆에 정문이 1개, 2층으로 올라가는 문이 1개, 뒤쪽에 후문과 옆쪽 통로 공간이 있다. 건물 오른쪽에 주차장이 있고, 주차장 쪽에 골프 연습장 출입로가 있다. 2층과 3층에는 긴 창문들이 길게 이어져 있다. 밝은 빨간색 대리석 외장재를 사용하고 긴 테두리가 2~3층에 길게 이어져 있다. 마트 옆 정문으로 들어가면 긴 통로가 있고, 통로 쪽에 옛 상점가가 있지만 대부분 운영하지 않고 있다. 건물 중간에 큰 기둥이 있다. 건물이 크고 통로가 중간에 있어 사람들이 건물을 통해 왕래한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석관동 봉용 빌딩
    장소
    석관동 봉용 빌딩
    성북구 돌곶이로22가길 18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8월 5일이다. 건축면적은 287㎡이고, 연면적은 1,554㎡이다. 석관 시장 바로 건너편, 주로 시장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자주 다니는 골목길에 위치 해있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5층이다. 치킨집, 도배 장판 가게, 옷 가게와 고시원이 입점 해있다. 빨간 벽돌로 외장 마감되어 있다. 중간 부분에 직사각형 모양의 창문이 있으며, 양쪽에 길쭉하고 작은 창문들이 있다. 건물 뒤쪽에는 작은 창문 몇 개만 있다. 건물 꼭대기에 커다란 마트 글자 간판이 있다. 1층에는 상점들이 줄지어 있다. 건물 오른쪽 끄트머리에 정문이 1개 있다. 문 바로 오른쪽에 표지석이 있다. 내부 계단은 대리석으로 마감하였고, 계단 부분 벽은 흰색 페인트로 칠해져 있다. 계단을 오르다 보면 2~3층 사이에 있는 오각형의 큰 창문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석관동 KTF 상가 건물
    장소
    석관동 KTF 상가 건물
    성북구 돌곶이로 74에 있는 주상복합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7년 7월 16일이다. 건축면적은 알 수 없고, 연면적은 467㎡이다. 돌곶이역 6번 출구에서 1분 거리에 있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로 이루어졌다. 전체적으로 베이지와 갈색으로 도색 돼 있다. 건물 앞쪽은 상가로 이용되고 있지만 뒤쪽은 실제 사람들이 거주하는 거주 공간이다. 직사각형 모양의 균일한 창문이 있다. 건물 정면에 상가로 들어가는 문 정문 1개, 뒤쪽에 주거지로 들어가는 후문 1개가 있다. 정문으로 들어가면 바로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과 올라가는 계단이 있었으며 내부 계단은 상당히 좁다. 정문 오른쪽에 오래된 우편함이 있다. 계단 중간마다 화장실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석관동 동우빌딩
    장소
    석관동 동우빌딩
    성북구 화랑로 242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93년 11월 5일이다. 건축면적은 651㎡, 연면적은 3,631㎡이다. 돌곶이역 8번 출구 근처에 있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로 이루어졌다. 한의원과 현대자동차 대리점이 입점해 있다. 앞에 정문이 1개 있으며 같은 쪽으로 현대자동차 대리점이 크게 있다. 긴 창문이 1층에서 3층까지 똑같이 있으며, 빨간색 벽돌로 외장 마감하였다. 건물의 외형 모습이 정사각형이라기보다는 건물 오른편에 굴곡진 형태의 모양을 하고 있다. 건물 뒤쪽에는 커다란 붉은색으로 칠한 주차타워가 있으며 후문이 1개 있다. 내부 1층에는 현대차 대리점, 2층에는 한의원이 있으며 3층에는 대중목욕탕이 있었으나 현재 운영하고 있지 않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석관동 대성프라자
    장소
    석관동 대성프라자
    성북구 화랑로 254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8년 10월 14일이다. 건축면적은 1,055㎡, 연면적은 5,500㎡이다. 지하 1층에 볼링장, 지상 1층에 한의원, 정형외과, 정육식당, 지상 2층에 신한은행, 스크린골프장, 지상 3층에 YBM 영어유치원, 스포츠클럽 다목적구장, 지상 4층에 업타운 피트니스 센터, 지상 5층에 풋살장이 있다. 출입문은 총 3곳으로 건물 양쪽에 정문 2개가 있다. 오른쪽 정문으로 들어가면 이어지는 후문 1개가 있다. 외벽은 밝은 베이지 벽돌로 이루어져 있다. 1층에서 3층까지는 작고 긴 창문이 있었고, 4층에는 큰 창문이 있다. 오른쪽 정문 편에 엘리베이터가 있다. 건물 뒤쪽에 큰 주차타워가 2층 높이로 있어 주차 자리가 넉넉해 보인다. 오른쪽 정문 편에는 석재로 조각한 동상이 하나 있다. 건물 내부는 대리석으로 마감하였으며 4층 꼭대기 층은 풋살장으로 운영 중이었다. 계단을 오를 때마다 계단 중간에 커다란 창문이 있어서 개방감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종암동 고려시장상가
    장소
    종암동 고려시장상가
    성북구 종암로 56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0년 6월 15일이다. 면적은 506㎡, 연면적은 1,837.6㎡이다. 8개의 동(가~아) 3층 건물로 이루어진 상가이며 영세 산업용품, 의류용품, 직물·원단, 금속 처리 업체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동 1층의 경우 대부분 공업사, 프린트 전사, 전기, 공예, 레이저 컷팅 등 영세기업이 입주해 있었으며 간혹 슈퍼와 식당도 있다. 8개의 동에 모두 빽빽하게 들어서 있었고 건물 한 개의 동 앞뒤로 다른 업체인 경우도 종종 있다. 건물 앞뒤로 주차가 많이 되어있고, 소방 안전을 위해 1열로 주차하라는 안내판이 있었지만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2층으로 이어지는 입구가 각 동 별로 약 네 군데 있다. 입구 중 대부분은 쓰레기봉투와 마대 자루가 막고 있다. 입구뿐만 아니라 길거리에도 각종 짐이 놓여 있다. 고려시장상가 뒤 편으로는 빌라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종암동 해원빌딩
    장소
    종암동 해원빌딩
    성북구 종암로 83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7년 6월 17일이며, 연면적은 1,034.67㎡이다. 종암로 대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 바로 앞에 노약자&교통약자 버스정류소가 있어서 버스가 정차해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건물 외부에는 붉은 벽돌이 사용됐다. 삼성 오토바이의 경우 오토바이들이 가게 앞으로 여러 대 주차되어 있었으나 나름 줄을 맞춰 세워져 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입점 상가의 간판에서 건물의 오래된 흔적이 가장 크게 느껴졌고 전반적으로 세월이 느껴진다. 내부 역시 페인트칠을 꽤 최근에 한 것 같지만 특유의 철문과 걸려있는 빛바랜 사진 액자가 건물의 연식을 짐작케 한다. 건물 뒤쪽 편에 서면 온갖 전선들을 볼 수 있다. 건물 뒤 전신주로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연결 되어있다. 건물 뒤쪽은 벽돌이 아닌 페인트로 마감한 모습이다. 간혹 상태가 좋지 않은 창문들이 몇 개 보인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종암동 동일빌딩
    장소
    종암동 동일빌딩
    성북구 종암로 10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7월 12일이며, 면적은 506㎡, 연면적은 1,837.6㎡이다. 지상 3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옥상이 개방되어 있다. 건물 정면 앞으로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건물의 연식 대비 내외부가 깨끗하게 관리된 편이다. 머릿돌은 따로 없었으나 정면 입구 오른쪽 기둥에 ‘東一빌딩’이 새겨진 비석이 붙어있고, 계단 옆에 부착된 소방안전관리자 현황표 대상명에도 동일빌딩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에서 봤을 땐 연식이 그리 오래된 건물 같아 보이지 않는다. 전면부 1층은 기업은행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측면부 1층의 경우 주얼리가게(LUMERE), 네일×속눈썹샵(오늘도 맑음 네일, 속눈썹Day)이 입점해 있다. 건물 정면 입구 외에 측면부에 입구가 한 군데 더 있는데, 지하 도미닉 공방으로 이어지는 입구이다. 도미닉 공방의 경우 간판을 확인할 수 없으나 로드뷰로 상호명을 확인할 수 있다. 오토바이 관련 용품을 파는 가게다. 정문 입구로 들어와 계단을 올라오면 바로 PC방 입구가 보인다. 내부 규모는 파악하지 못했으나 꽤 큰 규모로 사용되는 것처럼 보인다. PC방 입구를 바라보고 왼쪽으로 틀면 관계자 외 출입금지 팻말이 붙어있는 잠겨 있는 유리문이 보인다. 3층의 대부분은 예향교회가 쓰고 있다. 교회 왼쪽편으로는 복도를 따라 4개의 별도 호실이 있었고 가장 안쪽에는 예향교회의 별도 공간이 있었다. 4개의 호실 중 한 곳만 기업은행 표지판이 붙어있었고 나머지의 경우 별도의 간판이 붙어있지 않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종암동 한일맨션
    장소
    종암동 한일맨션
    성북구 종암로3길 38-17에 위치한 맨션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3년 5월 21일이며, 면적은 247.88㎡, 연면적은 996.72㎡이다. 건물은 지상 3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동과 나동 두 동만 존재한다. 입구로 들어가면 나동이 먼저 보이고 나동의 뒤에 가동이 존재하는 형태이다. 건물 내부에 들어가기 전의 입구가 갈라지고 깨져있었으며, 10월 28일에 재방문하였을 때 모든 동의 입구를 시멘트로 보수 공사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한일맨션 내부에 쓰레기와 재활용을 처리하는 곳이 존재하지 않았다. 연식이 오래된 만큼 건물 내외부에 있는 계단이 많이 닳아 있다. 또한, 동 출입문과 각 세대의 정보를 알 수 있는 우체통에 거미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건물이 노후화되었으며 관리가 잘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부에 주차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동 내의 비어 있는 공간에 주차한다. 인근에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가 위치하여 있어 상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도보 1분 거리에 버스 정류장이 위치 해있다. 그뿐만 아니라 3분 거리의 정류장이 4개 이상 존재한다. 버스 정류장이 많은 데 비해 근처 역은 적은 편이다. 주변에 역이 하나 존재하는데, 도보 7분 거리에 고려대역이 존재한다. 또한, 마트와 편의점, 병원과 공원과 같은 편의시설들이 도보 10분 거리 이내에 존재한다는 지리적 장점이 있는 곳이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종암동 고려아파트
    장소
    종암동 고려아파트
    성북구 종암로19다길 42-12에 위치한 아파트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3년 11월 4일이며, 면적은 1,793.22㎡, 연면적은 8,712.13㎡이다. 건물은 지상 5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문의 경우 양호한 상태였으며 건물 내부에 들어가기 전 입구 역시 양호하다. 고려 아파트는 총 가, 나, 다, 라 4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와 나동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다와 라동이 일렬로 배치 되어있다. 주차 공간이 부족한 편이어서 주차 공간이 아닌 곳에도 차가 주차되어있다. 건물 외부의 경우 오래되어 동 정보가 떼어진 곳이 있었으며 곳곳에는 페인트가 갈라진 흔적이 존재한다. 또한, 건물이 오래된 만큼 건물 외벽이 부서져 있다. 내부 역시 오래된 만큼 페인트가 벗겨져 있었지만, 건물의 외부에 비해서는 상태가 양호하다. 건물 내부의 계단과 복도도 연식이 있어 보였지만 사용하는 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양호하다. 그러나 동과 동을 이동하는 데에 필요한 외부 계단의 경우 곳곳이 부스러져 있었으며 난간의 상태가 좋지 않다. 근처 버스 정류장에 내려 고려 아파트까지 걸어가는 길의 도로 상태가 좋지 못하다. 또한, 경사진 곳에 위치해 접근성이 그리 좋지 못하다. 그러나 개운산 바로 옆에 위치하여 있어 자연경관은 좋은 편이다. 주차 공간이 협소하여 불법 주차를 한 차량이 많은 편이었고 아파트 외부에 짐들이 많이 놓여 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정릉동 정릉수퍼
    장소
    정릉동 정릉수퍼
    성북구 솔샘로6길16-16(정릉동684-1)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69년 8월 26일이며, 지상 2층, 연면적 242.58㎡인 건물이다. 2025년 2월 1층은 정릉수퍼, 2층은 반고당구장이 있다. 정릉수퍼는 1층 전체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1년 로드뷰에도 확인될 만큼 상당히 오래된 지역 가게임을 알 수 있다. 반고당구장은 2014년 이후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 정릉수퍼는 간판만 바뀌었고, 건물 도색은 2-3번 이루어졌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정릉동 싱싱회수산 건물
    장소
    정릉동 싱싱회수산 건물
    성북구 솔샘로4길 52(정릉동373-2)에 위치한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사용승인일 1977년 8월 11일이며, 지하 1층 지상 3층의 연면적 364.58㎡인 건물이다. 2025년 2월 현재 1층에는 소문난뽑기방과 싱싱회수산이 있다. 2층과 3층은 일반 사무공간 혹은 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싱싱회수산 이외에는 간판이 없다. 주변은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들이 밀집한 주거지역이나, 편의점과 식당이 주변에 밀집해 있다. 정릉시장과 밀접한 사거리에 있는 건물이지만 상대적으로 조용한 분위기인 곳이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정릉동 성신프라자 건물
    장소
    정릉동 성신프라자 건물
    성북구 솔샘로4길 46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명은 성신프라자이며 1997년에 준공된 지상 5층 지하 1층 연면적 2801.09㎡의 건물이다. 2025년 2월 현재 지하 1층은 성신사우나 운영 중이며, 1층은 땅스부대찌개, 박씨돈까스 등 많은 상가가 입점해 있다. 2층 쓰리팝피시방, 3층 사무실, 4층 독서실, 5층 헬스장이 있다. 1층 식당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설들이 입점해 있어 유동 인구가 상당히 많다. 아파트가 밀집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종합 상가같은 형태이다. 지하의 목욕탕과 5층의 헬스장은 리모델링을 하지 않아 오래된 느낌이지만 2층 피시방과 독서실은 젊은층을 공략한 현대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정릉동 새터부동산
    장소
    정릉동 새터부동산
    성북구 솔샘로6길 55(정릉동349-10)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1918년 8월 14일에 사용 승인된 것으로 확인되지만, 이후 개보수가 여러 번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2025년 2월 현재 과거 국대포차였던 자리에 연꽃치라는 술집이 새로 생겼고, 바로 옆에는 새터부동산이 자리잡고 있다. 깨끗하게 리모델링한 연꽃치 정면과 달리 옆벽면은 시멘트와 벗겨진 페인트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건물 뒤쪽은 주거 공간으로 확인되는 건물이 붙어 있어 접근이 어렵다. 2024년 4월 로드뷰에는 연꽃치 이전 술집인 국대포차를 확인할 수 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정릉동 빨간오뎅집 건물
    장소
    정릉동 빨간오뎅집 건물
    성북구 보국문로11길 31(정릉동394-1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 1983년 3월 15일이며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된 연면적 331.13㎡, 대지면적 231㎡인 건물이다. 2025년 2월 현재 1층에는 빨간오뎅분식집, 백할매고깃집, 꽈매기스토리가 영업 중이며, 2층은 주거 공간으로 확인된다.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들이 밀집한 주거지역이고 대중교통이 잘 발달되어 접근성이 우수하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장위동 나라부동산 건물
    장소
    장위동 나라부동산 건물
    성북구 장위로77-1(장위동225-75)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8년 5월 19일이며 연면적 173.03㎡,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5년 2월 현재 운영 중인 상가는 나라부동산이 유일하다. 로드뷰를 확인해 보면 2010년 3월 나라부동산을 포함하여 성우헤어, CCTV존, 아이조아PC클럽이 운영되었다. 2014년에는 PC클럽이 진영설비로, 2017년에는 향커피로, 2023년 4월에는 진주모피로 자주 변화되었다. 2024년 2월 진주모피는 폐업했다. 건물 정면에 2차로 도로, 건물 우측 측면에는 주택단지로 통하는 일방통행 도로가 있다. 폐업한 성우헤어에는 과거 사용한 물품과 의자, 상자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진주모피 점포는 내부가 비워져 있다. 건물에는 폐업한 진주모피와 성우헤어의 간판이 있고, 2층 정면에는 나라부동산 간판이 설치되어 있다. 진주모피 상가 좌측에 2층 상가로 향할 수 있는 입구가 있으나 닫혀 있으며, 나라부동산 우측에는 건물 외부 뒤편으로 이어지는 출입문이 있다. 로드뷰로 확인한 결과 2012년 건물에 흰색 페인트를 다시 칠한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건물 페인트가 벗겨져 얼룩덜룩한 외관이다. 폐업한 상가로 인해 전체적으로 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장위동 삼성건축 건물
    장소
    장위동 삼성건축 건물
    성북구 장월로5길 70(장위동246-133)에 위치한 상가와 주거 공간이 합쳐진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3년 9월 3일이며, 연면적 116.2㎡이다. 1층은 삼성컴퓨터크리닝과 삼성건축이 입점해 있고 2층은 가정집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9년 로드뷰를 보면, 삼성건축 자리는 15구역 뉴타운추진위원회 관련 사무공간으로 활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상가에 직접 들어가는 문이 있고 건물 우측에 대문이 있는데, 2층 가정집으로 들어가는 대문으로 확인된다. 건물 입지는 전형적인 빌라 밀집 지역이며 세탁소와 건축업을 하기에는 괜찮은 위치이다. 외벽 마감은 과거 주택이나 빌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붉은벽돌로 이루어져 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장위동 동네방네빨래방 건물
    장소
    장위동 동네방네빨래방 건물
    성북구 장위로 44(장위동231-37)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68년 10월 10일이며 연면적 488㎡ 지상 3층 구조이다. 2025년 2월 현재 1층은 동네방네빨래방과 생고기숯불구이가 영업 중이며, 2층은 피시방 간판이 있지만 운영하고 있지 않다. 3층 입점 상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며, 4층은 옥상과 작은 관리사무소가 있다. 로드뷰로 확인한 바로는 2018년 4월 맵스벅이라는 햄버거 전문점이 있었고 2층은 비원(Bone) 피시방이 있었다. 2015년에는 1층 동방축산 정육점, 2층 해피존피시방, 3층 동방태권도가 운영 중이었다. 건물 외부와 내부 모두 낡은 모습이고, 계단은 경사와 폭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관리사무소가 있고 1층에는 여전히 영업점이 있어서 전체적인 건물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건물 입지는 도로변에 있어서 유동 인구가 많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장위로31길3 건물
    장소
    장위로31길3 건물
    성북구 장위로31길 3(장위동232-13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7년 12월 31일이며 연면적 347.91㎡로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5년 2월 현재 운영되는 점포는 가브리엘헤어샵, 대원상사(소매점), CU편의점이다. 과거 로드뷰를 확인해 보면, 2010년 3월부로 가브리엘 헤어샵 점포 위치에 커피숍(다인카페)이 운영되었고, 2014년 말에는 식당납품전문점(좋은유통)으로 변화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자리에 가브리엘 헤어샵이 2019년 초에 입점하여 2025년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건물은 큰길과 주택 및 빌라 단지로 통하는 일방통행 골목 모서리에 있으며, 맞은편에 헤어샵, 인테리어, 카페 등 유사한 업종의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상가 내부 계단은 대원상사 소매점이 있는 2층과 3층의 주거 공간으로 이어져 있다. 지하 1층의 내부는 문으로 막혀 있어 어떤 점포가 이용하는지 알 수 없다. 로드뷰를 통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외관은 하얀색 벽지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벽지가 조금 떨어지거나 얼룩이 진 경우 다시 외관 작업을 하므로, 노후화된 모습은 없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장위로 111 건물
    장소
    장위로 111 건물
    성북구 장위로111(장위동238-96)에 위치한 상가 및 종교시설 건물이다. 건물준공일은 1967년 3월 9일이며, 면적 284㎡, 연면적 378.95㎡이다. 입점 상가는 1층에 봉마담쌀롱(요리주점), 보디가드, 기리(보세의류), 대경(의류)이 있으며, 2층에는 종교시설인 관음정사가 있는데 출입이 어려워 종교활동을 여부는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동방갈비라는 돼지갈비 가게는 간판만 있고 운영은 하지 않는다. 2018년 4월 로드뷰에는 지금은 사라진 프로스펙스 브랜드가 입점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입지는 장위동 돌곶이역에서 가깝지만 인근 지역이 재개발로 인해 유동 인구는 줄어든 상황이다. 출입문의 경우 1층 상가별로 출입문이 있고, 2층 계단을 올라가면 종교시설로 들어갈 수 있는 출입문이 1개 있다. 창문은 표면상으로는 각 상가마다 통유리 창문 3개, 2층 종교시설에 창문이 여러 개 있다. 외벽 마감의 경우 2층 불교 건물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깔끔하게 되어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장월로1길 69 건물
    장소
    장월로1길 69 건물
    성북구 장월로1길 69(상월곡동57-5)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4년 10월 7일이며 건축 면적 455.57㎡, 연면적 983.27㎡이다. 건물은 길쭉한 직사각형으로 작은 규모의 상가들이 오밀조밀하게 입점해 있다. 2층으로 되어있고 옥상이 존재한다. 외벽은 시멘트로 마감되어 있는데, 지어진 지 오래된 것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정리되지 않은 전선과 약간은 위험해 보이는 내부 계단이 있다. 입점 상가는 사이야월곡점, 월곡동분식, 월곡떡방앗간, 큰집닭강정, 행운이용원 등이 1층에 있다. 월곡떡방앗간 옆 계단을 통해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며, 옥상에 올라가면 주변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건물외관은 정리되지 않은 전선과 세월이 느껴지는 간판이 어우러져 건물의 오랜 역사를 가늠케 한다. 최근 입점한 가게 간판과 오래된 간판이 서로 대비되는 모습을 보인다. 주변에 동덕여자대학교와 많은 빌라들이 있어 접근성이 좋은 상가이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월곡동 엄한의원 건물
    장소
    월곡동 엄한의원 건물
    성북구 장월로1길 112(하월곡동20-2)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명은 우천(又泉)이며, 사용승인일은 1971년 12월 20일, 연면적 892.56㎡이다. 건물명은 건물의 정중앙 입구 철제 간판에 한문으로 적혀있다. 1층에는 월곡뜨락, 몽키포레스트라는 술집이 있으며, 2층에 엄한의원과 리코스타 코인노래방이 있다. 3층은 공간은 주거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건물은 정삼각형의 모양으로 지어졌으며 세 갈래의 길이 만나는 지점에 있다. 외관은 관리를 잘해서 오래된 느낌은 별로 없지만, 간판의 경우 빛바랜 모습이 있다. 건물 내부 역시 관리는 잘되고 있지만 상가건물과 주거용이 합쳐진 건물이다 보니 생활감이 조금 있다. 근처에 오거리로터리가 있어서 상권이 몰려있고, 동덕여자대학교와 주거지가 밀집해 있어 유동 인구가 많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월곡동 보배반점 건물
    장소
    월곡동 보배반점 건물
    성북구 종암로184(하월곡동90-1695)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0년 6월 10일이며, 연면적은 347.6㎡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며 1층 정문과 2층 또는 3층으로 올라가는 통로는 별개이다. 건물 1층에는 중식당인 보배반점이 입점해 있다. 보배반점과 나란히 위치한 아이스크림 판매점은 별도의 가건물로 지어져 있어 보배반점 건물과 어울리지 않는 모습이다. 2층은 바둑을 둘 수 있는 성북기원이 있고, 3층은 대한불교 임제종 평인사라는 종교시설이 있다. 성북기원의 내부는 최근 도배를 해서 깨끗한 모습이며, 기원 안에는 바둑을 두고 있는 지역 어르신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건물 가까이에 버스정류장이 있어 접근성이 좋다. 주변에는 숭곡초등학교, 숭곡중학교,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가 인접해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월곡동 월곡1동 경로당
    장소
    월곡동 월곡1동 경로당
    성북구 오패산로3길 99(하월곡동96-178)에 위치한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건물은 월곡1동 경로당 외에는 다른 용도의 입점 상가는 없으며 건축면적은 116.36㎡, 대지면적 211㎡, 연면적 205.98㎡이다. 건물은 옆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2층 건물이며, 1층과 2층 모두 경로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벽은 붉은벽돌로 지어졌고, 건물 외부와 내부에서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있다. 건물 내부는 조금 오래된 상태지만 관리가 잘되어있다. 건물 내부를 통해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내벽이 손상된 부분도 있다. 건물 뒤쪽에는 숭곡초등학교, 숭곡중학교,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가 위치하여 입지는 조용하고 한적한 편이다. 경로당 바로 앞은 월곡역과 미아사거리역을 이어주는 도로가 있지만 교통량이 많지 않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월곡동 새마을금고 건물
    장소
    월곡동 새마을금고 건물
    성북구 오패산로 75(하월곡동76-17)에 위치한 새마을금고 율곡점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85년 4월 8일이며, 건축면적 135.35㎡, 연면적 448.64㎡이다. 건물에는 새마을금고 율곡지점이 1층에 입점해 있고, 2층에는 연세우리치과의원이 있다. 건물의 뒷면과 측면의 모습은 해당 건물 바로 좌우에 다른 건물들이 있어 확인하기가 어렵다. 숭인초등학교와 오동공원이 인접해 있어 생활권에 포함된다. 래미안, 푸르지오, 두산위브 등 여러 아파트에 인접해 있는 건물이라 은행 이용과 치과 치료를 위해서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다. 건물은 2층짜리 건물이며 지어진 지 오래된 건물임에도 외관이 깔끔하다. 2층 진입로와 1층 입구 관리가 잘 되어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보문로13라길 11 건물
    장소
    보문로13라길 11 건물
    성북구 보문로13라길 11(보문동6가 251)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7년 6월 24일이며, 면적은 125.32㎡ 연면적은 313.65㎡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 및 주택이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왼편 건물과는 간격이 여유 있지만 우측 건물과는 붙어있어 2층의 경우 창문이 존재하지 않는다. 건물의 외벽은 벽돌로 마감되어 있으며, 지붕은 슬라브 구조로 되어있다. 출입문은 두 개로, 정면 출입구는 위층으로 이어지며, 단독주택으로 연결되는 출입구는 건물 뒤편에 있다. 현재 건물의 1층에는 대광냉동공조 시스템이라는 에어컨 설치 전문점과 동명사라는 미싱 작업소가 입점해있다. 과거에는 2009년부터 2016년까지 강북건강원이라는 건강기능식품 판매 업체가 1층에 있었었고, 그 이전에는 혜인사라는 의류 제작 작업소가 동명사 자리인 1층에 있었다. 건물 내부는 전형적인 현대식 상가건물과는 차별화된 구조로 되어있다. 계단이 좁고 한 사람이 겨우 통행할 수 있을 정도이며 ㄱ자 형태로 되어있어, 각 집은 독립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는 상가건물보다는 주거용 건물의 특징을 더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건물은 주차공간이 없어 상가건물 앞 도로에만 주차할 수 있다. 주변 경관을 보면, 대부분 상가건물과 그 위에 빌라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삿짐센터, 작은 학원, 옷 가게 등 다양한 소규모 상점들이 있지만, 문을 열지 않은 가게도 많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보문로13다길 27 건물
    장소
    보문로13다길 27 건물
    성북구 보문로13다길 27(보문동6가 117)에 위치한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4년 11월 8일이며, 면적은 120㎡, 연면적은 246.69㎡이다. 현재 1층에는 ‘대감네 야채’라는 이름의 가게가 입점해 있다. 과거 같은 위치에 ‘곰돌이 수퍼’라는 구멍가게가 있었고, 이후 세븐일레븐 편의점이 들어왔다가 철수하면서 현재의 가게가 자리 잡게 되었다. 1층 내부에는 각종 자재들이 쌓여 있어 공간을 차지하고 있고 위층은 주택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으로 철문으로 막혀있다. 1층 외부에는 천막 아래에 가게에서 판매하는 채소들이 진열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유사한 형태의 상가 건물들이 있고 골목 사이사이에 주택이 들어서 있다. 이 건물은 골목의 가장 바깥쪽에 자리하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외벽은 흰색 타일로 마감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변색된 부분이 많다. 지붕은 슬라브 형태로, 옥상과 약간 떨어져 건물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건물의 창문은 총 8개로, 각 층마다 4개의 창문이 있으며, 1층에는 창문이 없다. 층수는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이다. 내부 벽은 시멘트와 타일이 혼재되어 있으며, 계단은 꺾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출입구는 1층 상가 출입구 2개와 건물 출입구 1개를 포함하여 총 3개가 존재한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지봉로20길 81 건물
    장소
    지봉로20길 81 건물
    성북구 지봉로20길 81(보문동5가 192)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9년 9월 12일이며, 면적은 124㎡ 연면적은 244.32㎡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 및 주택이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물의 주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지붕은 슬라브 형태이다. 외벽은 일반적인 평평한 구조와 달리 매끈한 벽돌이 올록볼록 튀어나온 독특한 무늬를 띄고 있으며, 전체가 하얀색으로 마감되어 있다. 출입문은 주택 출입문과 창고 출입문까지 합하여 총 5개의 출입문이 있다. 현재 1층 중앙에는 열매 공인중개사 사무소가 위치하며, 오른쪽에는 연화벽지(주택자재 전문매장)와 처갓집(프랜차이즈 치킨가게)이 입점해있다. 과거에는 열매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제외한 상가들이 수차례 변경된 바 있다. 건물 내부는 매우 협소하고 내부 계단은 일자 형태의 가파른 구조로 되어있으며, 중간 지점에 주택이 하나 위치한다. 이후 계단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꼭대기로 이어지며, 최상층에는 옥탑방 형태의 주택이 자리하고 있다. 외부에서는 건물 정면 기준 왼쪽에 컨테이너 형태의 창고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눈에 띈다. 해당 창고는 지층 공장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공실 상태이다. 주변에는 빌라촌과 아파트 단지가 혼재되어 있으며, 같은 업종의 공인중개사 사무소, 세탁소, 구멍가게 등 오래된 상점들과 주택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고려대로2길 34 건물
    장소
    고려대로2길 34 건물
    성북구 고려대로2길 34(보문동4가 9-1)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4년 12월 28일이며, 면적은 113.56㎡ 연면적은 172.3㎡이다. 건물의 용도는 영업, 근린생활시설이다. 건물은 총 2층으로, 1층은 사무 공간과 소규모 상업 공간, 2층은 주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1층에는 ‘시장철물건재’라는 철물점과 ‘에코엔디자인’이라는 인테리어업체가 입점해있고 가운데 출입문으로 들어가면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는 공간과 주거용 공간이 있다. 과거 입점 상가는 2009년부터 확인할 수 있었는데 시장철물건재는 변하지 않고 있으며, 인테리어업체는 2012년부터 리폼아트라는 작은 홈 인테리어 전문점이 있었다가 2020년부터 지금의 인테리어 업체로 바뀌었다. 건물의 외벽은 벽돌 구조로 단단하면서도 전통적인 외관을 유지하고 있다. 내부는 나무로 된 기둥과 대들보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한옥의 미감을 살리면서도 현대식 재료와 마감 처리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지붕은 스라브 구조와 기와 구조가 혼합되어 있다. 출입문은 건물 정면에 하나, 개별 상가로 연결되는 문 2개로 총 3개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이 위치한 도로 건너편에는 고층 아파트 단지가 있고 건물 주변은 저층 빌라 주택단지와 중층 아파트 주거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인근에는 보문센트럴아이파크(2026년 9월 입주 예정)의 공사가 진행 중이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보문로 127 건물
    장소
    보문로 127 건물
    성북구 보문로 127(보문동2가 105-1)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9년 8월 31일이며, 면적은 260㎡, 연면적은 666.51㎡이다. 지상 총 4개층과 지하 1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 그 외에는 시멘트 벽돌조의 구조이다. 지하에는 물탱크실, 1층에는 현대자동차, 2층에는 아띠샵(헤어샵), 3층에는 사무소가 있으며 4층은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코만도 바비큐’라는 음식점이 2014년까지 존재하였고 2015년도 농산물 판매업, 2016년부터 지금까지는 현대자동차가 입점해있다. 건물 내부에는 각층 마다 상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이 1개씩 있으며, 4층은 거주지로 출입이 제한되어 있었다. 건물 뒤편에는 간이 주차장이 있다. 주변은 주로 빌라와 상가가 밀집해 있어 상업, 주거 기능이 공존하는 유동 인구가 많은 환경이다. 보문역에서 도보로 약 2분 거리에 위치하며, 건물 인근에는 다양한 소규모 상점과 편의시설이 있다. 사거리에 위치해 횡단보도가 앞에 있고 보행자 통행량도 많다. 주변 경관은 밀집한 상가 건물들로 인해 도로와 건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모습이 특징이다. 1층의 현대자동차 상가는 정면에서 보면 1층처럼 보이지만, 건물 측면에서는 오르막 경사로 인해 반지하처럼 보인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보문로34나길 3 건물
    장소
    보문로34나길 3 건물
    성북구 보문로34나길 3(동선동3가 234)에 위치한 상가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6년 10월 30일이며, 대지면적은 318.1㎡, 연면적은 870.01㎡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이다.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은 철근콘크리트 구조, 지상 5층은 일반철골구조의 건물이다. 입점상가를 살펴보면, 지하 1층에는 다양한 문구‧사무용품을 판매하는 ‘드림디포’가 있으며, 1층에는 ‘미스터피자’와 ‘투고샐러드’가 위치한다. 2층부터는 사무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내부에 층별 안내 표지판이 있지만 최근의 변화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다. 건물 옆으로는 주차 공간이 있으며, 외부 차량 주차금지 표지와 함께 흡연 금지, 담배꽁초 투기 금지, 쓰레기 무단투기 금지 등 표지가 붙어있다.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성신여자대학교 정문으로 가는 길에 있기 때문에 다수의 유동인구가 있는 구역이다. 30m 앞에는 교차로가 있어 차량이 활발하게 지나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북쪽으로는 주택이 늘어서 있고 서쪽으로는 로데오거리로 인해 발전해 있으며 동쪽에는 성신여자대학교 정문이 위치한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동소문로23길 20 건물
    장소
    동소문로23길 20 건물
    성북구 동소문로23길 20(동선동4가 178)에 위치한 상가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5년 7월 8일이며, 대지면적은 259.8㎡, 연면적은 622.2㎡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이다.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이다. 입점상가를 살펴보면, 지하 1층에는 공연예술 창작집단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프로덕션 IDA공간’이 있으며, 1층에는 ‘이모네 빈대떡’, ‘우리마트’, ‘구포국수’, ‘옛날통닭&호프’. 2층에는 ‘여명당구클럽’. 3층에는 ‘박전희색소폰연습실’이 있다. 4층은 주택으로 이용되고 있다. 외부에는 색이 바래진 간판들이 설치되어 있다. 주변은 차량 통행이 많으며, 도로의 폭이 좁은 편이다. 건물 인근에는 1층에 상가를 두고 2층에는 주거시설이 있는 근린생활시설 건물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동소문로20가길 46  건물
    장소
    동소문로20가길 46 건물
    성북구 동소문로20가길 46(동선동1가 121-3)에 위치한 상가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5년 12월 5일이며, 대지면적은 379.3㎡, 연면적은 894㎡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이다. 지하1층부터 지상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이다. 입점 상가를 살펴보면, 1층에는 고깃집인 ‘한우누렁소’, 2층에는 30년째 영업을 이어오고 있는 해산물 요리점 ‘바다목장’이 있으며 ‘조이당구클럽’과 ‘MARC 주짓수 킥복싱’ 체육관이 각각 3층과 4층에 위치한다. 건물 정문을 열면 오른쪽은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는데 이는 철창으로 된 문이 막고 있다. 계단을 올라가면 계단참의 벽에 화장실과 바다목장 간판이 크게 걸려있다. 또한 3층 당구클럽 홍보지도 붙어있다. 각 층의 상가에는 철제 출입문이 있고 4층의 체육관으로 통하는 계단에서부터는 장판이 깔려있었고 신발을 벗어야 한다. 옥상으로 통하는 계단 중간은 철제문으로 막혀 외부인은 진입할 수 없다. 건물 바로 앞에는 차량 4대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건물 정면의 2층 외부에 철제 난간이 돌출되어 있고, 외부 측면에는 넝쿨이 담장과 건물을 타고 자라고 있다. 건물 정면에는 유료 주차장이 있으며, 건물 인근에는 아파트와 공동주택들이 늘어서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동소문로26다길 23 건물
    장소
    동소문로26다길 23 건물
    성북구 동소문로26다길 23(동선동3가 8)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7년 5월 30일이며, 연면적은 380.13㎡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 및 주택이다. 입점 상가를 살펴보면, 1층은 아아수혈(카페), 우리집한식(반찬가게), 일성기업(설비업체), 2층은 faith(스터디카페)가 자리하고 있으며 3층은 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아수혈’은 초록색 외관의 카페로 이전에는 정육점과 분식집, 부동산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나 카페가 입점하며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집한식’은 1층에서 가장 작은 상가로, 반찬가게 이전에 미용실이 있었다. ‘일성기업’ 입점 상가 중 제일 오래된 곳이다. 2층에 위치한 ‘faith’는 예약제 스터디카페로 2018년 입점한 것으로 확인된다. 주변에는 카페가 모여있고 상권과 거주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근처에 빌라와 주택이 많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동선동 동선하우스
    장소
    동선동 동선하우스
    성북구 동소문로26가길 44(동선동3가 251)에 위치한 주상복합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8년 12월 2일이며, 토지면적은 312㎡, 면적은 179.19㎡, 연면적은 687.02㎡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 주택이며 건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다. 총 4층으로 이루어진 이 건물의 1층에는 8년째 운영 중인 ‘롤리포니’라는 소품샵이 입점해있다. 키링, 캡슐 장난감, 머그잔, 동물모양 전등, 신발 장식품 등을 판매한다. 건물 후면에 주차를 위한 공간이 있다. 그 옆에는 인공 꽃들로 이뤄진 화단이 건물 벽에 붙어있다. 외벽은 검붉은색의 벽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갈라지거나 부서진 벽돌이 일부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검붉게 도색된 배관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연결되어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돈암동 고명아파트
    장소
    돈암동 고명아파트
    성북구 북악산로 865(돈암동 42-32)에 위치한 아파트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2년 12월 17일이며, 건축면적은 373.79㎡, 연면적은 2,531.98㎡이다. 총 1동으로 지하로는 1층 지상은 6층까지 있으며 건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다. 아파트 뒤편에 야외 주차장이 있고 아파트 주민만 사용할 수 있도록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1층 상가에는 부동산을 비롯한 가게들이 입점해있으며 2층부터 6층까지 아파트로 사용되고 있다. 1층에는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고 그 앞에는 철문이 설치되어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북악산로 867 건물
    장소
    북악산로 867 건물
    성북구 북악산로 867(돈암동 48-53)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7월 28일이며, 건축면적은 93.85㎡, 연면적은 195.9㎡이다. 33평의 공동주택, 원룸, 빌라 건물이며 지하로는 1층, 지상은 2층까지 있다. 1층에는 상가 2곳이 자리하고 2층은 거주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 앞으로는 매원초등학교와 고명중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가 있으며 주변에는 각종 가게가 들어서 있다. 주변 골목은 폭이 매우 협소하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동소문로 179-50 건물
    장소
    동소문로 179-50 건물
    성북구 동소문로 179-50(돈암동 48-14)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5년 8월 1일이며, 연면적은 234.52㎡이다. 입지를 보면 미아리고개 부근에 위치하며, 지하 1층은 ‘하심당’이라는 핸드 드립 전문 카페가 입점해 있고 지상 1층은 의류매장, 분식 가게, 의료기기 판매점 총 3개의 가게가 있다. 2층은 거주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1층 분식집 사장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2층의 거주시설은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상가는 계약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게들의 주요 고객층은 지역 거주민이었고 바로 앞 학교가 있어 꾸준한 수요가 있는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바로 뒤편은 주택, 측면은 좁은 도로로 형성되어 있어 접근에 어려움이 있다. 주변에 큰 건물은 없어 일조 상태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돈암동 한성연립
    장소
    돈암동 한성연립
    성북구 아리랑로6나길 13-17(돈암동 413-141)에 위치한 다세대 주택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8년 6월 10일이며, 연면적은 167.86㎡, 건물 구조는 벽돌 구조이다. 성신여대입구역과 정릉역 등 지하철과 가깝긴 하지만 도보로 많은 오르막과 내리막이 존재하여 편의성을 위해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생활 편의 시설도 밀집해 있으며 주거지 주변에는 다양한 학원 및 상업시설들이 위치한다. 건물 옆 공터는 주차장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계단과 건물의 노후화 상태를 통해 건물의 연식을 확인할 수 있다. 건물의 측면 및 정면은 접근이 용이하나, 주거지역이라는 특성상 주거 건물이 인접해 있기에 건물의 후면에는 접근이 어려운 구조이다. 이곳의 가장 큰 특징은 고지대에 위치한 주거지라는 것이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길음동 장안빌딩
    장소
    길음동 장안빌딩
    성북구 도봉로 3(길음동 864-18)에 위치한 교육연구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6년 8월 16일이며, 면적은 515㎡, 연면적은 1,470㎡이다. 1층에 다양한 상가들이 입점해 있는데 2층이 한의원이 있다 보니 약국도 있다. 1층에 로하스 키즈클럽, 슈앤풋(신발 가게), 이동통신판매점이 있고 2층엔 한의원 3층엔 아이르 필라테스가 있고 4층엔 e상한나라 엘리스 치과와 아린정신건강의학과 라는 정신병원이 있다. 미아사거리역에서 400m 거리, 길음역에서 800m거리에 위치해 있다. 건물 오른편으로 약 150m의 거리에 ‘현대백화점정류장’이 있고 현대백화점 미아점이 있다. 건물 왼편 약 200m 거리에 ‘현대백화점.E마트.빅토리아호텔정류장’과 ‘미아사거리역정류장’이 있다. 주변 주거시설로는 레미안길음센터피스 아파트, 롯데캐슬 클라시아가 있으며 도봉로쪽 맞은편에는 많은 주택이 들어서있다. 주변에 위치한 학교는 영훈국제중학교, 영훈고등학교, 숭곡중학교,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가 있으며 신길음1재정비촉진구역재개발아파트, 강북3재정비촉진구역포스코더샵 등의 재개발구역이 위치한다. 앞뒤로 큰 입구가 있으며, 뒤쪽 출입구로 들어가게 되면 안쪽은 리모델링이 되었는지 깨끗한 엘리베이터와 마감 상태를 볼 수 있다. 외벽은 고급 유리 커튼월과 메탈 패널로 마감돼있고 그레이와 블루 계열이다. 한의원 창문은 전부 한의원에 대한 설명이 쓰여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