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깃거리

성북구의 인물, 사건, 장소, 유물, 문헌, 작품 등을 유형별, 시대별, 지역별로 검색하는 곳입니다.

검색정보 입력
49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필터

  • 이야기 분류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닫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필터 닫기
  • 시대
    필터 닫기
  • 지역
    필터 닫기
  • 문화재 지정
    필터 닫기
보기: 정렬:
  • 의릉 선의왕후 석상
    유물
    의릉 선의왕후 석상
    봉문 앞에 상모양으로 놓인 육면체 석물을 석상(石床) 혹은 혼유석(魂遊石)이라고 한다. 이를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고석(鼓石) 혹은 족석(足石)으로 부른다. 조선 초기에는 석상에 고석을 5개씩 놓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4개씩 받치고 있다. 선의왕후릉 석상 전체 높이는 91cm이다. 석상은 크기가 260×176cm, 두께는 50cm이다. 4개의 족석이 받치고 있는데, 족석 높이는 41cm로서 경종릉 석상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다. 족석은 네 면에 나어두문(羅魚頭文)을 양각했고, 상하단에는 연주대를 돌렸다. 족석 하부 바닥에는 다듬은 지대석 2매를 깔아 석상을 받치고 있다.
  • 의릉 선의왕후 석양
    유물
    의릉 선의왕후 석양
    선의왕후릉의 석수(石獸)는 각각 상계의 봉분을 둘러싸고 있는 석양과 석호 각 2쌍, 중계와 하계의 문석인과 무석인 뒤쪽 측면으로 배설된 석마 2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양은 높이 66cm, 길이 118cm이다. 전체적으로 풍만하면서도 균형 잡힌 모습이다.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얼굴은 몸통과 조화를 이룬다. 눈·코·입은 선각으로 나타내는 등 경종릉 석양과 유사하다. 귀를 둘러싸고 있는 뿔은 둥글게 말려있으며, 마디도 표현했다. 뿔 사이에 사실적으로 표현된 귀는 선명하게 나타난다.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의 막혀 있는 면에는 초화문(草花紋)을 양각으로 조식했다. 엉덩이에는 짧은 타원형의 꼬리와 함께 꼬리 밑에 있는 성기를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 의릉 선의왕후 석호
    유물
    의릉 선의왕후 석호
    선의왕후릉의 석수(石獸)는 각각 상계의 봉분을 둘러싸고 있는 석양과 석호 각 2쌍, 중계와 하계의 문석인과 무석인 뒤쪽 측면으로 배설된 석마 2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호는 높이 85cm, 길이 116cm이다. 전체적으로 몸통의 길이가 짧아 비례감이 어색하다. 앞다리는 세우고 뒷다리는 구부려 엉덩이를 대고 앉아있는데, 구부정한 자세이다. 얼굴은 입을 벌리고 웃고 있어 해학적인 느낌을 준다. 양 눈은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했고, 코는 오뚝하며, 입은 벌리고 있어 이빨이 드러나 있다. 목에서 가슴으로 연결되는 부위를 볼록하게 사실적으로 나타냈다. 꼬리는 경종릉 석호처럼 몸통의 윗부분까지 끝을 둥글게 말아 올리고 있는 형태이다. 발은 뭉툭하며, 발가락과 마디도 표현했다.
  • 의릉 선의왕후 석마
    유물
    의릉 선의왕후 석마
    선의왕후릉의 석수(石獸)는 각각 상계의 봉분을 둘러싸고 있는 석양과 석호 각 2쌍, 중계와 하계의 문석인과 무석인 뒤쪽 측면으로 배설된 석마 2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마는 높이 78cm, 길이 117cm이며, 경종릉 석마와 비슷한 형식을 하고 있다. 균형 잡힌 자세에 배와 엉덩이 등에 풍만함이 잘 표현되었다. 눈·코·입은 선각했으며, 이마와 목덜미에는 양쪽으로 나뉜 갈기를 표현했다. 다리 사이는 각각 막혀 있고 양 측면에는 초화문(草花紋)을 양각했다. 엉덩이 위쪽부터 바닥까지 길게 꼬리가 내려왔고, 꼬리털은 선각했다.
  • 의릉 선의왕후 문석인
    유물
    의릉 선의왕후 문석인
    문석인은 중계(中階)에 2구를 배치했고, 높이 175cm, 좌우너비 70cm, 앞뒤 길이 60cm이다. 복두를 쓰고 단령(團領)을 입고 앞·뒤쪽에 앞치마와 비슷한 복식을 드리웠다. 복두의 형태는 앞이 낮고 뒤가 높은 형태이며 끈은 귀 앞을 지나 턱 밑에서 양쪽으로 고를 내어 묶었다. 포와 소매가 길고 넓어서 주름이 많이 잡혀있다. 단령 안에는 소매통이 좁은 옷을 받쳐 입어서 단령 소맷자락 바깥에 좁은 소맷자락이 보이고 손으로 홀을 쥐고 있다. 허리에는 야자대(也字帶)를 둘렀고, 남은 띠는 오른쪽 허리에서 왼쪽 아래로 늘어뜨렸다. 과판의 무늬는 꽃잎이 8장인 꽃으로 꾸몄으며 과판 3개가 뒷면에 드러나 있다. 홀(笏)은 윗부분 가장자리를 살짝 둥글리고 아래쪽은 사다리꼴로 조금 넓어진 형태이다.
  • 의릉 선의왕후 무석인
    유물
    의릉 선의왕후 무석인
    무석인은 하계(下階)에 2구를 배치했고, 높이 186cm, 좌우너비 72cm, 앞뒤 길이 68cm이다. 무석인은 둥근 눈, 콧구멍이 잘 보이는 코와 함께 콧등에 가로로 주름이 잡혀있다. 입가에 곱슬 수염만 있고 나머지는 직선으로 된 수염을 세 개의 덩어리로 나누어 아래로 드리우거나 양옆으로 휘날리게 표현하였다. 복식은 구름무늬 옷감으로 만든 포(袍)를 입고 상반신에는 소슬무늬 갑옷을 입었다. 하반신에는 표범가죽을 두른 후, 허리에 비늘무늬의 갑옷과 허리띠를 한 모습이다. 팔에는 비갑을, 다리에는 경갑을 두르고 있으며 검집은 왼쪽 허리에 매달았다. 하반신에는 갑옷 무늬가 보이지 않고, 어깨에 맹수 얼굴 무늬가 왕릉보다 크고 입체적으로 조각되었다.
  • 의릉 선의왕후 망주석
    유물
    의릉 선의왕후 망주석
    망주석은 높이가 245cm로 경종릉 망주석과 비슷한 크기와 형식을 갖추고 있다. 형태는 팔각을 이루며, 원수-주신, 대석-지대석의 석재 2매로 이루어져 있다. 주신이 대석에 끼워진 형식이다. 원수는 연봉형을 이루며, 연주대를 돌렸다. 운두에는 여의두문을 양각했다. 주신 상부의 우측 세호(細虎)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으며, 좌측 세호는 위쪽을 향하고 있다. 세호는 네 다리와 몸통 등이 명확하게 표현되었으며, 등갈기와 꼬리털 등이 사실적이다. 대좌는 3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대의 위쪽과 아래쪽으로는 각각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을 조식했고, 각 면에는 안상을 표현했다. 중대와 하대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다. 지대석은 사각 형태이다.
  • 의릉 선의왕후 장명등
    유물
    의릉 선의왕후 장명등
    경종릉 장명등과 유사한 형식이다. 중계에 배설된 사각 장명등으로 높이는 230cm이다. 정자석은 2단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당의 원수는 연봉형이다. 하단은 원형을 이루며 하엽형의 덮개로 장식했다. 상부와 하부의 중간에는 연주를 둘렀다. 옥개석은 사모지붕 형식을 하고 있으며, 각 면마다 네 변의 지붕 합각부를 삼각형으로 돌출시켰다. 격석은 네 면에 각각 화창을 조성했고 모서리를 모죽임했다. 대석은 3단으로 구성되었는데, 상대가 비율적으로 가장 크며, 중대는 가장 작은 비율로 구성되었다. 상대에는 위 아래쪽에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을 조식했고 각 면마다 사각의 구획 안에 연꽃, 모란 등 화문을 양각했다. 중대에는 각 면에 안상을 조각했다. 하대는 각 모서리마다 장식성이 높은 운족(雲足)을 표현했다.
  • 의릉 경종 무석인
    유물
    의릉 경종 무석인
    무석인은 하계(下階)에 2구를 배치했고, 높이 174cm, 좌우너비 68cm, 앞뒤 길이 65cm이다. 눈이 튀어나왔고, 코는 넓고 들려서 콧구멍이 잘 보인다. 복식은 구름무늬 옷감으로 만든 포(袍)를 입고 상반신에는 소슬무늬의 갑옷을 입었다. 하반신에는 표범가죽을 두른 후, 허리에 비늘무늬의 갑옷과 허리띠를 한 모습이다. 팔에는 비갑을, 다리에는 경갑을 두르고 있으며 검집은 왼쪽 허리에 매달았다. 투구는 옆드림을 젖혀서 하단의 끈으로 뒷덜미에서 고를 내어 묶어주었다. 투구에 이마 가리개와 차양을 별개로 조각한 것 역시 실물 구조를 반영한 부분이다. 목둘레를 따라 길쭉한 오각형 무늬를 방사상으로 새겨 장식했다. 이는 다른 능은 물론 선의왕후릉에서도 볼 수 없는 특징이다.
  • 의릉 경종 문석인
    유물
    의릉 경종 문석인
    문석인은 중계(中階)에 2구를 배치했고, 높이 177cm, 좌우너비 70cm, 앞뒤 길이 60cm이다. 문석인은 복두를 쓰고 단령(團領)을 입고 앞·뒤쪽에 앞치마와 비슷한 복식을 드리웠다. 복두의 형태는 앞이 낮고 뒤가 높은 형태이며 끈은 귀 앞을 지나 턱 밑에서 양쪽으로 고를 내어 묶었다. 포와 소매가 길고 넓어서 주름이 많이 잡혀있다. 단령 안에는 소매통이 좁은 옷을 받쳐 입어서 소맷자락이 보이고 손으로 홀을 쥐고 있다. 허리에는 야자대(也字帶)를 둘렀고, 남은 띠는 오른쪽 허리에서 왼쪽 아래로 늘어뜨렸다. 과판의 무늬는 꽃잎이 8장인 꽃으로 꾸몄으며 과판 4개가 뒷면에 드러나 있다. 홀(笏)은 윗부분 가장자리를 살짝 둥글리고 아래쪽은 사다리꼴로 조금 넓어진 형태이다. 신발은 테두리에 선을 돌렸다.
  • 의릉 경종 석상
    유물
    의릉 경종 석상
    봉문 앞에 상모양으로 놓인 육면체 석물을 석상(石床) 혹은 혼유석(魂遊石)이라고 한다. 이를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고석(鼓石) 혹은 족석(足石)으로 부른다. 조선 초기에는 석상에 고석을 5개씩 놓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4개씩 받치고 있다. 경종릉 봉분 앞 중앙에 자리하고 있는 석상은 전체 높이가 89cm이다. 크기가 261×175cm, 두께는 51cm로서 4개의 고석이 받치고 있다. 고석 높이는 38cm이며, 네 면에 나어두문(羅魚頭文)을 양각했고, 상하단에는 연주대를 돌렸다. 나어두문은 아랫입술부분이 문고리 형태이다. 고석 하부 바닥에는 다듬은 지대석 2매를 깔아 석상을 받치고 있다.
  • 의릉 경종 장명등
    유물
    의릉 경종 장명등
    장명등의 높이는 230cm이며, 중계의 중앙에 위치한다. 정자석-개석, 격석, 대석-지대석의 3매의 석재로 이루어졌다. 정자석은 2단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단의 원수는 연봉형이다. 하단은 원형을 이루며 하엽형의 덮개로 장식했다. 상부와 하부의 중간에는 연주를 둘렀다. 옥개석은 네 변의 지붕 합각부를 삼각형으로 돌출시켜 표현했다. 옥개석 처마 끝은 밖으로 약간 반전했다. 격석은 네 면에 각각 화창을 조성했고, 모서리를 모죽임했다. 대석은 3단으로 구성하고, 상대에는 만개한 연화문과 국화문을 양각했다. 중대에는 각 면마다 안상을, 하대는 높은 운족(雲足)을 표현했는데, 장식성이 돋보인다.
  • 의릉 경종 석마
    유물
    의릉 경종 석마
    경종릉의 석수(石獸)는 각각 상계의 봉분을 둘러싸고 있는 석양과 석호 각 2쌍, 중계와 하계의 문석인과 무석인 뒤쪽 측면으로 배설된 석마 2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마는 높이 96cm, 길이 147cm이며,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모습이다. 석양과 마찬가지로 머리가 몸통에 비해 약간 작다. 얼굴은 정면을 바라보고 네 다리를 곧게 뻗어 서 있다. 뒷다리의 허벅지와 배 등은 볼륨감있게 표현했다. 눈·코·입은 선각했으며, 이마와 목덜미에는 양쪽으로 대칭되도록 갈기를 표현했다. 다리사이는 각각 막혀 있고 양 측면에는 초화문(草花紋)을 양각했다. 엉덩이 위쪽부터 바닥까지 길게 꼬리가 내려왔고, 꼬리털은 선각했다.
  • 의릉 경종 석호
    유물
    의릉 경종 석호
    경종릉의 석수(石獸)는 각각 상계의 봉분을 둘러싸고 있는 석양과 석호 각 2쌍, 중계와 하계의 문석인과 무석인 뒤쪽 측면으로 배설된 석마 2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호는 높이 80cm, 길이 132cm이며, 앞다리는 세우고 뒷다리는 구부려 엉덩이를 바닥에 대고 있다. 자연스러운 몸통의 표현에 비해 짧은 앞다리는 도식적 경향을 엿볼 수 있다. 머리 표현은 신체의 굴곡을 고려하지 않아서 몸통과 머리가 하나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눈, 코, 입 모두 돌출되었고, 이빨 역시 과장되게 드러나 있는데, 민화의 호랑이 표정과 유사하다. 앞발의 발가락은 마디를 선명하게 나타냈고 발톱 표현도 명확하다. 석호 꼬리는 다른 능의 경우 대체로 바닥에 놓여진 것에 비해 이 경우는 끝이 둥글게 말린 꼬리를 위쪽으로 올려서 표현했다.
  • 의릉 경종 석양
    유물
    의릉 경종 석양
    경종릉의 석수(石獸)는 각각 상계의 봉분을 둘러싸고 있는 석양과 석호 각 2쌍, 중계와 하계의 문석인과 무석인 뒤쪽 측면으로 배설된 석마 2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양은 높이 66cm, 길이 114cm이다. 전체적으로 풍만하면서도 균형 잡힌 모습이다. 머리와 몸이 과장되거나 경직되어 있지 않은 자연스러움이 표현되었다. 얼굴은 몸통과 조화를 이루며, 눈·코·입은 선각했다. 뿔은 긴 타원형 형태로 말려있으며, 윗부분을 마디로 표현했다. 다리 사이는 막혀 있으며, 측면에는 음각으로 초화문(草花紋)을 장식했다.
  • 의릉 경종 망주석
    유물
    의릉 경종 망주석
    망주석은 능침 양편에 자리하고 있다. 높이가 239cm이며, 형태는 팔각, 운수-주신, 대석-지대석의 석재 2매로 이루어져 있다. 주신이 대석에 기워진 형식인데, 주신에 비해 대석이 낮은 비율을 하고 있어 안정감이 떨어진다. 주신 상부에는 세호(細虎)를 표현했다. 우측 세호는 위쪽을 향하고 있으며, 좌측 세호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세호는 네다리와 몸통 등이 명확하게 표현되었으며, 등갈기와 꼬리털 등이 사실적이다. 대좌는 형식을 간소화시켰으며, 통상 3단 형태가 아닌 2단으로 이루어졌다. 상대의 위쪽과 아래쪽으로는 각각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을 조식했다. 하대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다.
  • 정릉 석상
    유물
    정릉 석상
    봉문 앞에 상모양으로 놓인 육면체 석물을 석상(石床) 혹은 혼유석(魂遊石)이라고 한다. 이를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고석(鼓石) 혹은 족석(足石)으로 부른다. 조선 초기에는 석상에 고석을 5개씩 놓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4개씩 받치고 있다. 현재 정릉의 고석은 2개뿐이다. 이 고석은 장명등과 함께 초장지에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상의 크기는 205×134cm, 두께는 37cm이며, 고석의 크기는 너비 74cm, 높이 55cm이다. 고석은 사방에 귀면을 닮은 어두문(魚頭文)과 상하로 대칭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연주문을 조각했다.
  • 정릉 망주석
    유물
    정릉 망주석
    정릉의 능 앞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망주석의 원수(圓首)는 연봉형으로 끝이 오므라들면서 뾰족하게 처리되었다. 운두에는 연판문이 아닌 여의두문을 2단으로 배치했다. 양각된 여의두문은 평면적이나, 모서리와 여의두문의 중앙 부분을 맞추어 각을 살려 입체감을 더했다. 귀는 초문(草文)으로 정교하게 조각했다. 대석의 상·중·하단은 모두 팔각을 이루며, 각각의 면(面)에는 방형의 창을 내었다. 상대석의 방형 창에는 별도의 문양을 새기지 않았으며, 중대석의 상하에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을 새겼다. 하대석의 방형 창에도 별도의 문양은 없으나 그 아래에 안상을 고부조(高浮彫)로 새겨서 목가구 다리처럼 보이는 효과를 냈다.
  • 정릉 석마
    유물
    정릉 석마
    봉분을 수호하며 사악한 귀신과 기운을 물리치고 죽은 이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석수(石獸) 봉분 주변에 배치했다. 석마는 넓이136cm, 높이87cm, 꼬리의 길이는85cm이다. 목과 등이 수평을 이루고 안면과 꼬리가 아래로 거의 일직선으로 향하고 있다. 몸통의 길이에 비해 다리는 짧고 굵게 표현했다. 가르마를 탄 앞머리는 두 갈래로 나뉘었고 목 부위를 덮고 있는 갈기 역시 양쪽 아래로 떨어진다. 얼굴, 다리, 몸통 등 각 부위 표현은 이전에 비해 더욱 사실적으로 변모되는 양상을 보인다. 몸통은 풍만함이 느껴지며, 다리는 짧아 비례는 맞지 않지만, 앞·뒷다리의 튀어나온 관절, 가운데에서 갈라진 말발굽을 명확하게 처리했다. 네 다리는 석재로 막혀있고 사방으로 풀꽃을 부조(浮彫)로 새겼다.
  • 정릉 석호
    유물
    정릉 석호
    석호는 현종 대에 가설된 것이며, 대개 두 쌍씩 배치하나 정릉의 석호는 한 쌍씩 배치했다. 높이는 74cm, 좌우 길이 142cm이며, 화강암으로 제작되었다. 측면에서 보면, 얼굴은 약간 숙인 채 정면을 바라보고 있고 두발은 앞으로 내밀고 땅에 앉아있는 자세이다. 긴 꼬리는 둔부에서 틀어 뒷다리를 감싸고 끝은 동그랗게 말려 땅에 밀착되었다. 두 석호의 꼬리는 좌우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얼굴은 가슴선과 거의 구분되지 않으며, 앞다리는 짧고 배는 불룩하다. 다리 사이는 석재로 막혀있으며 사이마다 풀을 조각했다. 안면은 둥글넓적한 형상에 입은 다물고 있고 중요 부위를 과감하게 부각시켜 조각했다. 이마는 눈 주위와 머리 부분을 구분 짓는 듯 얕은 선으로 부조했다.
  • 정릉 석양
    유물
    정릉 석양
    석양의 넓이는 49cm, 좌우 넓이는 100cm, 높이는 72cm로 석호와 유사한 크기이다. 얼굴은 아래로 약간 길게 표현했고 큰 뿔은 양쪽으로 말려있으며, 몸체는 통통하고 엉덩이는 약간 솟아있다. 배는 불룩하며, 꼬리는 짧게 올라가 있고 두 다리는 짧게 배치하여 양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네 다리 사이는 석재로 막아 몸체를 떠받드는 구실을 하고 있으며 사방으로 풀꽃을 조각하여 장식성을 더하였다. 두 뿔은 목주위에서 한번 휘감았는데, 뿔 모양은 초기 왕릉의 석양 조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다. 네다리의 중간 관절은 볼록하게 튀어나왔다. 발굽의 가운데 골이 뚜렷하게 표현된 것은 초기 석물에서는 잘 찾아볼 수 없는 사례로, 후대로 갈수록 동물신체의 세부표현이 사실적으로 조각된 양상이 반영된 것이다.
  • 정릉 장명등
    유물
    정릉 장명등
    장명등은 축성 당시 제작된 몇 안 되는 석조물 중 하나로 옛 정릉의 것을 옮겨다 놓은 것이다. 높이는 250cm이며, 하대석의 지대석은 확인되지 않았다. 지면에 묻힌 기대석 외곽도 당초문을 음·양각면으로 나타내어 입체적으로 장식했다. 간주석은 높이보다 폭이 약간 더 넓은 방형이며 위로 갈수록 좁아드는 형태의 상·하 끝을 모죽임 한 듯 둥글게 치석하여 마감한 사면체이다. 이들 사면의 입면에는 안상을 새기고 그 내부에 화염에 감싸인 삼주문(三珠文)을 두고 있다. 상대석은 간주석의 접합면에 받침을 1단 낮게 두었고 앙련(仰蓮)을 하대석과 같이 8엽을 장식했다. 옥개석은 지붕사모가 중앙에 모여드는 모임 지붕형태로 내림마루가 선명하며 장식이 없다. 옥개석과 화사석 내부는 관통되어 통하도록 되어있다.
  • 정릉 문석인
    유물
    정릉 문석인
    문석인은 공복(公服) 차림에 머리에 복두(幞頭)를 쓰고 손에는 홀(笏)을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높이는 224-239cm, 너비 85-87cm, 두께 64-69cm로서 왼쪽보다 오른쪽이 조금 크고 두껍다. 외곽선은 단순하게 정돈되었고, 신체의 곡선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5등신이고 상하의 비례감이 좋다. 복두는 앞이 낮고 위는 높으며, 이마 위 테두리를 깔끔하게 한줄 돌려 마감처리 했다. 공복은 단령(團領)이고 목 뒤로 속옷의 목판깃이 높게 올라가 있다. 조선 전기와 마찬가지로 소매 폭은 넓고 길어서 바닥까지 닿아있다. 신체와 복식은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도 수평선과 수직선으로 면을 단순하게 정리했다. 홀과 나란히 배치한 허리띠는 내부에 아무런 장식무늬도 새기지 않았다.
  • 의릉 선의왕후 석물
    유물
    의릉 선의왕후 석물
    의릉은 조선 20대 경종(景宗)과 그의 비인 선의왕후(宣懿王后)의 무덤이다. 선의왕후의 본관은 함종(咸從)이며, 영돈녕부사 어유구(魚有龜)의 딸이다. 일반적으로 쌍릉은 좌·우로 조성하지만 이 무덤은 앞·뒤로 무덤을 조성한 상하이봉릉(上下異封陵)이다. 선의왕후릉은 앞쪽에 배치하였고 석물은 경종릉과 동일하다. 왕릉에는 무덤 둘레에 병풍석을 세우지 않고 대신 무덤 주위에 12칸의 난간석을 설치했는데, 난간석의 기둥에는 십이간지가 방위에 따라 문자로 새겨져 있다. 난간석 밖으로 망주석, 장명등, 문무석, 석마, 석양, 석호가 있다. 무덤의 석물 배치와 양식은 명릉과 같이 규모가 작고 간소한 후릉제도를 택하였다. 왕비릉의 석물 배치는 왕릉과 같으나 무덤 뒤에 담을 두르지 않았다.
  • 의릉 경종 석물
    유물
    의릉 경종 석물
    의릉은 조선 20대 경종(景宗)과 그의 비인 선의왕후(宣懿王后)의 무덤이다. 경종의 이름은 윤(昀), 자는 휘서(輝瑞)이다. 숙종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희빈장씨이다. 경종은 1724년 8월 25일 일생을 마쳤다. 일반적으로 쌍릉은 좌·우로 조성하지만 이 무덤은 앞·뒤로 무덤을 조성한 상하이봉릉(上下異封陵)이다. 경종릉은 뒤에 배치하였고 석물은 선의왕후릉과 동일하다. 왕릉에는 무덤 둘레에 병풍석을 세우지 않고 대신 무덤 주위에 12칸의 난간석을 설치했는데, 난간석의 기둥에는 십이간지가 방위에 따라 문자로 새겨져 있다. 난간석 밖으로 망주석, 장명등, 문석인, 무석인, 석양, 석호, 석마가 있다. 무덤의 석물 배치와 양식은 명릉과 같이 규모가 작고 간소한 후릉제도를 택하였다.
  • 정릉 석물
    유물
    정릉 석물
    정릉은 조선 태조의 두 번째 왕비 신덕황후 강씨(?~1396)의 능이다. 태조는 신덕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중구 정동에 조성하였으나, 태종이 왕위에 오른 후 1409년(태종9) 도성 밖 현재의 자리에 옮겼고 남아있던 목재와 석물을 태평관과 청계천 광통교 복구에 사용하였다. 이후 1669년(현종10)에 정릉이 복구되었고 1899년(광무3) 묘호가 신덕고황후로 추존되었다. 능침은 추존된 왕비의 능제에 맞게 조성하였고 장명등과 혼유석을 받치는 고석만 옛 정릉에서 옮겨온 석물이고 나머지 석물들은 현종대에 다시 조성하였다. 다른 왕릉과 비교해보면 무석인, 병풍석, 난간석 등이 설치되지 않았고, 문석인, 혼유석, 망주석, 장명등, 석양, 석호, 석마 등이 있다.
  • 흥천사 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유물
    흥천사 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흥천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석조불상이다. 현재 노전에 봉안된 석조불상은 세 구이며, 석조약사여래좌상(石造藥師如來坐像)을 중심으로 좌우에 석조아미타여래좌상(石造阿彌陀如來坐像)과 석조지장보살좌상(石造地藏菩薩坐像)이 있다. 나머지 좌상은 그 조성연대를 추정하기 어려우나. 본존인 석조약사여래좌상은 내부에서 1829년에 금어 영운의윤, 관허정관, 편수 지성이 조성했다는 조성발원문이 조사되어 그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018년 12월 13일 문화재자료 제74호로 지정되었다.
  • 흥천사 목조여래좌상
    유물
    흥천사 목조여래좌상
    흥천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불상이다.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56.3㎝의 불상의 크기로 보아 조선총독부 관보(1933년)와 『봉은본 말사지』에 실린 「흥천사 귀중품 목록」에 보이는 1척8촌의 아미타불상으로 생각된다. 불상은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데, 허리가 길고 어깨가 넓은 장대한 신체의 비례는 조선시대 불상 가운데서도 임진왜란 이전의 조선전기 불상에서 볼 수 있는 특징으로 주목된다. 2017년 6월 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3호로 지정되었다.
  • 흥천사 목조보살좌상
    유물
    흥천사 목조보살좌상
    흥천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보살좌상이다. 높이 101.5㎝의 중대형 보살상으로, 나무로 된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머리는 어깨에 비하여 큰 편이지만, 상반신이 길고 하반신이 넓어 안정된 신체비율을 보인다. 가늘게 뜬 눈의 눈꼬리가 많이 올라가 있고, 코는 뾰족하고 콧등은 짧아 조선후기에 제작된 불상에서 볼 수 있는 정형화 된 인상과 다르다. 미간 사이에는 얼굴에 비해 큰 백호가 있고, 얼굴은 조선후기 제작된 불상에 비하여 역삼각형에 가까운 갸름한 형태이다. 양식적인 특징을 볼 때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6월 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4호로 지정되었다.
  •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및 복장유물
    유물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및 복장유물
    흥천사에서 소장중인 보살삼존상이다. 중앙의 관음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용왕과 선재동자가 협시하고 있는 삼존 형식이다. 조성발원문을 통해 1701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와 조각가가 확인되는데, 원래 전라북도 임실 사자산 적조암에서 제작한 것을 언젠가 흥천사로 옮긴 것이다. 용왕과 선재동자를 협시로 한 삼존 형식은 조각의 경우에는 그 예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불상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2017년 8월 1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6호로 지정되었다,
  • 흥천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유물
    흥천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흥천사에서 소장중인 불교유물이다. 지장보살삼존상을 비롯하여 시왕상 10구, 귀왕상 2구, 사자상 2구, 판관상 2구, 금강역사상 2구, 동자상 6구로 총 27구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등 대부분 존상은 석재로 조성되고, 사자상과 금강역사상은 흙으로 만들었다. 착의법은 대의 안쪽에 편삼을 입고, 대의자락이 오른쪽 어깨를 반달모양으로 덮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왼쪽 어깨의 대의자락은 수직으로 내려와 복부에서 편삼과 겹쳐져 있다. 이러한 겹쳐진 표현은 17세기 중반에 제작된 목조불상에서 편삼이 대의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는 것을 사실적으로 조각한 것과 차이가 난다. 2017년 6월 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5호로 지정되었다.
  • 팔정사 목 보살좌상
    유물
    팔정사 목 보살좌상
    팔정사(성북구 성북로31가길 82)에서 보유하고 있는 불상이다. 팔정사 극락보전에 아미타불의 오른쪽 협시보살(脇侍菩薩)로 봉안되어 있는데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충청남도 공주 마곡사의 한 암자에서 모셔 왔다고 한다. 머리에는 높고 화려한 불꽃 모양의 보관을 쓰고 있는데 조선 후기 보살상의 보관으로 크게 유행한 것이다. 몸체는 단아한 느낌을 주며 안정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불상의 바닥에는 복장공(腹藏孔)이 있으나 현재 복장물은 남아있지 않다.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유행하던 목불상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정연한 조각수법으로 보아 당대를 대표할 수 있는 대세지보살로서 조선 후기 불상조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2004년 7월 2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4호로 지정되었다.
  • 정각사 목 아미타불좌상
    유물
    정각사 목 아미타불좌상
    정각사가 보유하고 있는 불상이다. 이 불상은 높이 29.2㎝의 작은 불상으로 개금 원문(改金 願文)에 의하여 아미타불상으로 밝혀진 불상이다. 갸름하게 보이는 얼굴, 약간 긴 상체, 짧은 하체의 결가부좌 자세 등 18세기 초의 목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목불상이 근래에 개금된 것은 1916년 4월 19일이며 최근에도 다시 한번 개금되었다. 이 아미타불상은 양식상 18세기 초기의 목불상으로는 보기 드물게 단아하고 우아한 불상이며, 20세기 초의 개금 원문 자료도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불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2007년 5월 1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3호로 지정되었다.
  • 심곡사 목조보살좌상
    유물
    심곡사 목조보살좌상
    심곡사가 소유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복장물이 남아 있지 않아 현재 정확한 제작 연대와 조각승은 알 수 없지만, 17세기 중·후반기에 활동한 조각승 혜희(慧熙, 惠熙) 또는 그 유파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이 불상은 높이가 88.3㎝ 정도로 중형에 속하며 전체적으로 얼굴, 상체, 하체의 형태가 안정적인 불상이다. 이 불상은 비록 제작 시기를 알 수 없고 일부 손가락이 훼손되었지만, 조선 후기 조각승의 양식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데에 그 가치가 있다. 2012년 5월 3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37호로 지정되었다.
  •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유물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간송미술관이 소장중인 불상으로 제작 연대는 고려 중기 이후로 추정된다. 화강암으로 된 높이 1.5m의 좌상으로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선의 표현에서는 형식화된 모습이 보인다. 불상이 앉아있는 4각의 대좌(臺座)에는 겹으로 연꽃무늬를 새겨 넣었다. 이러한 양식은 고려 중기 전후에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1975년 5월 1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호로 지정되었다.
  • 석불입상
    유물
    석불입상
    간송미술관이 소장중인 불상으로 제작 연대는 고려 중기 이후로 추정된다. 화강암으로 된 높이 2.1m의 미륵불로서 머리에는 큰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있고 옷에는 주름이 사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두 손은 가슴에 올려 모으고 있으며, 몸은 긴 돌기둥 모양으로 되어 굴곡이 없는 편이다. 얼굴의 표현이라든지 양손을 가슴 앞에 모으고 유연하게 서 있는 모습은 마음속에 간직한 내적 성정(性情)이 아무 과장 없이 나타나고 있고, 조각 수법이 예스러운 점이 있어 토속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1975년 5월 1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유물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흥천사 금동천수관음상은 현재 국내에 현전하는 매우 희귀한 42수 천수관음상으로, 1894년에 작성된판기록을 통해 적어도 19세기부터는 흥천사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작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양식적인 특징에서 고려에서 조선 초에 걸쳐 제작된 작품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의 천수관음 신앙은 통일신라 초에 관련 경전이 수용된 이후 널리 유행하였고, 이에 따른 천수관음보살상의 조성도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흥천사 천수관음상은 고려~조선 초에 제작된 천수관음보살상의 매우 드문 작례로서 천수관음 도상 및 관음신앙 연구에 조각사적 가치가 크다. 2016년 2월 22일 보물 제1891호로 지정되었다.
  • 봉국사 석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 및 권속
    유물
    봉국사 석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 및 권속
    봉국사가 소유하고 있는 불교유물이다. 중앙의 석조지장보살좌상과 좌우의 무독귀왕상, 도명존자상이 삼존불 형태로 봉안되어 있으며, 벽면을 따라 시왕 및 권속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 상들은 대부분 지장보살좌상과 동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시왕상과 인왕상 등은 지장보살상처럼 돌로 만들어졌으나 일부 상들은 나무로 만들어졌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7~18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측되며, 일부 상들은 근래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물은 드물게 석조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는 점과 권속의 구성이 빠짐없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2013년 12월 2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5호로 지정되었다.
  • 봉국사 석가여래좌상
    유물
    봉국사 석가여래좌상
    봉국사 만월전에 주존불로 봉안되어 있는 석불좌상이다. 두 손을 포개어 놓고 약합으로 생각되는 둥근 보주를 들고 있어 약사여래상으로 신앙되고 있다.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좁고 쳐진 어깨에 이중착의 형식으로 표현된 가사에는 단조롭지만 단정한 3조의 층단 주름이 양 깃과 어깨에 걸쳐진 대의 자락, 옷소매와 발목을 덮은 군의에 일정하게 새겨져 있다. 조선후기 서울 경기 중부지역에서 유행하였던 양식으로 생각된다. 2013년 12월 26일 문화재자료 제57호로 지정되었다.
  • 봉국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유물
    봉국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봉국사 만월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석가여래좌상이다. 무릎부분과 얼굴부분을 접합한 흔적이 역력한 접목식 조성의 불상으로, 전반적인 보존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등과 머리의 나발부분이 훼손된 것을 수리했던 흔적이 보인다. 이 불상에서 다라니 및 시주목록 등 복장품이 발견되었으나 조성기가 보이지 않아 조성시기에 대해서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18세기 중후반 조성의 불상조각으로 비정해 볼 수 있다. 2013년 12월 2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4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유물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개운사(성북구 개운사길 60-46)의 암자(칠성암)인 보타사 대웅전 뒤쪽 화강암 암벽에 조각된 고려시대의 마애불상이다. 거대한 보살상 머리에는 좌우 옆으로 뿔이 있는 관이 있고, 뿔끝에는 다양하게 장식된 타원형 느리개가 있다. 보타사의 전각들이 비교적 규모가 작은 것에 비해 이 미륵불은 그 높이가 5m나 되는데 이는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이다. 큰 바위에 부조로 새겨진 이 마애불상은 몸 전체에 호분(胡粉)이 칠해져 있어서 흔히 백불(白佛)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초기 서울지역 불상 양식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보살상으로,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14년 7월 2일 보물 제1828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유물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보타사가 보유하고 있는 금동으로 만든 보살상이다. 조성과 관련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제작연대, 조각자, 시주자, 봉안 사찰 등을 알 수 없지만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크기로 볼 때 조선 초 왕실이나 지배층이 발원하여 조성하였을 것으로 짐작한다. 대좌 위에 앉아 있는 좌상으로, 왼쪽 다리는 대좌 아래로 내려뜨려 바닥을 딛고 오른쪽 다리는 무릎을 세우고 앉는 유희좌(遊戱座) 자세를 취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좋을 뿐 아니라 조선 초기에 유행한 귀족적 면모의 보살상 양식을 보여주는 예로서, 조선 전기 불교조각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2014년 3월 11일 보물 제1818호로 지정되었다.
  •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
    유물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삼국시대 금동삼존불입상이다. 커다란 하나의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중앙에 본존불과 양 옆에 협시보살을 배치하고 있는 삼존불(三尊佛)이다. 이러한 삼존불의 양식은 고구려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국보 제119호)과 매우 비슷하며, 중국 남북조시대의 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다. 광배 뒤에 새겨진 기년명으로 보아 563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의 양식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새로운 기법을 묘사하고 있고, 기교면에서 세련되어 6세기 중엽경의 조각양식을 대변해주는 기념비적 작품으로 높이 평가된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72호로 지정되었다.
  • 경국사 목관음보살좌상
    유물
    경국사 목관음보살좌상
    경국사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이다. 1703년(숙종 29) 청신이 화주가 된 도갑사 견성암에 봉안되었던 관세음보살좌상이다. 높이가 60cm에 달하는 중형의 보살상으로서,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기에 의하면 색난을 수조각승, 순경을 부조각승으로 하여 행원, 대원, 일기, 추☐, 대유, ☐척 등이 함께 조성하였다고 한다. 신체에 비하여 다소 큰 듯한 얼굴이라든가 안정감있는 좌세, 오똑한 코, 수평으로 가로지른 군의의 표현, 단정한 결가부좌의 자세 등이 조선후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보존상태도 양호하며 17세기 목조보살상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2007년 12월 27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48호로 지정되었다.
  •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유물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경국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목각탱화이다. 조각 수법이나 형식 등으로 보아 19세기 말에 조성된 작품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조각 수법이 둔중하고 양감이 결여되어 있어 형식화된 면이 많이 보이고 있으나, 고부조로 조각되어 원각상과 같은 효과를 내고 있다. 인물의 구성에 있어서 횡적 혹은 종적으로 질서 정연하고 단순하게 인물들을 배열한 다른 목각탱화들과 달리, 본존을 중심으로 권속들이 둥글게 둘러싸는 구도를 취하여 단조로움을 피하고 있다. 현존하는 몇 예에 불과한 조선 후기 목각탱화의 하나로서, 당시의 아미타신앙의 일면을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1983년 5월 7일 보물 제748호로 지정되었다.
  •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유물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개운사가 보유하고 있는 불상과 복장 유물이다. 중수발원문에는 충청남도 아산 축봉사에 봉안되어 있던 사실과 고려 충렬왕이 즉위했던 1274년에 중수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제작된 연대를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이 불상은 단엄한 상호, 세련되고 뛰어난 조각기법, 장중하면서도 균형감 있는 조형 감각, 긴장감 넘치는 선묘 등이 잘 어우러진 매우 완성도 높은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불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불상 내에서 발견된 다수의 발원문은 각기 작성한 연대가 표시되어 있어 구체적인 시기를 알 수 있고, 고려시대 불교문화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복장 유물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다. 2010년 4월 23일 보물 1649호로 지정되어 있다.
  • 12명 순교성상
    유물
    12명 순교성상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의 피정의 집(성북구 성북로 143) 외벽에서 발견된 조각상이다. 1956년 이 건물이 세워질 때부터 들어서 있던 성상들은 3층 외벽과 2층의 베란다 기둥에 좌우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아치 모양의 틀에 흑시멘트로 조각되었다. ‘79위 복자'로 받들어지는 한국 성인·성녀들 중 김대건 신부, 조신철 가롤로 등 총 열두 명을 조각하였다. 조각가는 미상이지만, 조각작품들이 명동성당 안에 있는 장발[1901-2001]의 「십사 사도」 그림의 동작과 유사한 점이 많은 걸 볼 때 서울대 조소과 출신의 장기은 등 두 사람 이상이 만든 작품으로 추정된다. 한국 순교 성인들을 조각한 작품들이 한국의 조각가들에 의해 최초로 만들어진 점, 최초로 건축물에 설치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2006년 건물 리모델링을 하면서 성상은 건물 외벽에서 내려와 수도회에 수장되었다. 현재 건물에 부착되어 있는 성상은 본을 떠 새로 제작한 것이며 옆에 새로운 건물이 세워지면서 유대철 성인과 샤스탕 신부의 조각은 새로 설치되지 않아, 현재 총 10개의 복제본 조각상만을 건물 외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금동여래입상
    유물
    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으로,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다가 2020년 8월 경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구입하였다. 출토지는 알 수 없으나 우리나라 금동불상으로서는 비교적 큰 편이며, 일부 도금이 떨어진 부분도 있으나 육계부터 대좌에 이르기까지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불상은 팔각연화대좌(八角蓮花臺座) 위에 약간 배를 내밀고, 자연스러우면서도 당당한 자세로 서 있다. 대좌는 단판양련(單瓣仰蓮)과 복판복련(複辦覆蓮)이 같이 붙어 있고, 그 밑에 안상(眼象)이 각 면에 투각된 팔각의 받침이 있는데, 그러나 구황동탑 출토의 불상 가운데 706년의 좌상보다는 아직 풍만한 감이 덜한 불상의 모습으로 보아 그보다는 시대적으로 약간 이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84호로 지정되었다. 2020년 5월 간송미술관이 경매에 내놓았고,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매입하여 보관 중에 있다.
  • 금동보살입상
    유물
    금동보살입상
    삼국시대 금동불상으로,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다가 2020년 8월 경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구입하였다. 경상남도 거창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이 불상은 광배는 결실되고 원형의 복판연화대좌 위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하고 있다. 천의가 양쪽으로 뻗쳐있는 모습, 조각의 표현이 간략한 점 등에서 삼국시대 보살상의 초기 양식을 이어주고 있지만, 몸에 구슬양식이 보이는 것이나 보주를 두 손으로 받들고 있는 모습은 그다음 보살양식 발달 단계에서 나타난 요소이다. 따라서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호류사 주존불인 구세관음과 일본의 초기 불상의 대표적인 사십팔체불(四十八體佛)에서 이 불상과 비슷한 양식이 나타나는 것을 통해 일본 초기 불상이 한반도의 영향을 받았음이 입증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85호로 지정되었다. 2020년 5월 간송미술관이 경매에 내놓았고,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매입하여 보관 중에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