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소
- 성북구 평생학습관
- 서울시 성북구 종암로 167 3층에 위치한 평생학습 지원기관이다. 다양한 평생학습 프로그램과 정보제공, 평생학습관과 학습자에 대한 지원체계 구축, 평생학습 우수 프로그램과 우수 학습동아리 지원, 성인 문해교육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2024년에는 학습공동체와 동네배움터의 작품이 전시되었으며, 특강 및 다양한 체험 활동들도 함께 진행됐다.
-
-
장소
- 월곡마루
- 서울시 성북구 화랑로18길 28에 위치한 공유공간이다. 지역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나 영리적, 정치적, 목적이 불분명한 모임은 대관이 제한된다. 이곳에서는 복지 상담, 여름철 무더위쉼터, 원데이클래스, 식사나무, 주민 공청회 등 다양한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
-
장소
- 삼선3구역
- 삼선동1가 280 일대에서 추진됐던 재개발 구역이다. 현재는 재개발 사업이 중단된 상태이다.
-
-
장소
- 정릉6구역
- 정릉동 506-50 일대에서 재개발이 추진된 구역이다. 2020년 조합설립 인가를 신청하지 못하면서 일몰제 적용에 따라 정비구역 해제 대상이 됐다. 현재는 정비구역 해제 상태이다.
-
-
장소
- 돈암6구역
- 돈암동 48-29번지 일대에서 진행 중인 재개발 구역이다. 2011년 11월에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25년 4월 기준으로 조합설립 인가 신청(변경)이 진행 중이다.
-
-
인물, 장소
- 사단법인 대한뇌종양협회
- 뇌종양 환우들의 연대 활동을 지원하고, 불우한 환우들을 도와 재활과 자립을 모색하는 비영리 공익법인이다. ‘뇌종양환우협의회’ 회원들과 그 회원들을 지원하는 후원인들이 결성하였다. 협회는 뇌종양 환우들과 그 가족, 환우를 치료하는 의료진과 이들을 후원하는 후원자들로 구성돼 있다.
뇌종양의 효율적인 치료, 투병, 요양, 일상 복귀 등 환자의 건강과 회복을 위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뇌종양에 대한 바른 인식과 효과적 치유 방안에 대한 정책 건의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
장소
- 보문 복지 사랑채
- 성북구 보문로13길 20 1층에 위치한 복지시설로, 2023년 4월 7일 개소하였다. 삼선새마을금고 4지점 이전으로 생긴 유휴공간을 3년간 무상 임대해 조성한 이곳은, 주민과 함께하는 소통 공간이자 복지 거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용면적 115.92㎡ 규모로 세미나실, 카페, 상담실, 포토존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기부물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나눔샵과 나눔냉장고, 찾아가는 복지상담소를 운영한다. 주민을 위한 스마트폰 교실, 한글 교실, 인문학 강의 등 다양한 생활 밀착형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
-
장소
- 369사랑방
- 성북구 삼선교로2길 36-1 1층에 위치한 공동이용공간이다. 369마을의 초입에 조성된 첫 번째 공동이용공간으로, 마을 자산화를 통해 주민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하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369마을사회적협동조합이 운영하고 있으며, 마을 부녀회가 생산활동과 식당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2017년경 어르신에게 무료 식사를 제공하는 활동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어머니 밥상’을 수요일, 목요일, 토요일에 운영하고 있으며 목요일에는 ‘할머니 밥상’을 통해 마을 어르신에게 무료로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
-
-
장소
- 성북스마트패션산업센터
- 서울시 성북구 보문사길 45에 위치한 패션사업 지원센터이다. 2021년 개관한 이래로, 지속가능한 디지털 패션산업 육성을 위해 성북구 소상공인들에게 고부가가치 상품개발 지원, 온‧오프라인 공동판로 확대 및 청년창업 인큐베이팅 등의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4층까지 활용되며, 각 층에는 스마트장비실(지하1층), 전시판매장(1층), 공동작업공간(2층), 디자인실/패턴 샘플실(3층), 창업 인큐베이팅실/사무실(4층)이 위치해 있다.
-
-
장소
- 경동드림천문대
- 서울시 성북구 보문로29길 49에 위치한 천문대이다. 2023년 6월 26일 월요일에 개관한 드림천문대는 서울특별시 성북강북교육지원청과 경동고등학교 총동창회의 지원으로 설립되었다.
53.76㎡의 면적에 경량철골조 구조로 기존에 있던 장비와 최첨단 천문장비를 추가로 구입하여 만들어진 드림천문대는 총 3억 여원의 예산이 소요됐다. 슬라이드 루프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고 시야를 가리는 건물이 적은 서쪽 하늘 방향으로 개방되게 설치했다. 서울 시내 고등학교 중 과학고등학교를 제외하고 일반고등학교 중에 천문대를 보유한 3번째 학교이다.
'드림천문대'라는 명칭은 경동고등학교의 교훈인 성심껏 배우자(Dream), 책임을 다하자(Happy), 나라를 빛내자(Pride) 중에 성심껏 배워 꿈을 키우라는 의미인 '드림'에서 만들어졌다.
-
-
장소
- 월곡동 새마을금고 건물
- 성북구 오패산로 75(하월곡동76-17)에 위치한 새마을금고 율곡점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85년 4월 8일이며, 건축면적 135.35㎡, 연면적 448.64㎡이다. 건물에는 새마을금고 율곡지점이 1층에 입점해 있고, 2층에는 연세우리치과의원이 있다. 건물의 뒷면과 측면의 모습은 해당 건물 바로 좌우에 다른 건물들이 있어 확인하기가 어렵다. 숭인초등학교와 오동공원이 인접해 있어 생활권에 포함된다. 래미안, 푸르지오, 두산위브 등 여러 아파트에 인접해 있는 건물이라 은행 이용과 치과 치료를 위해서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다. 건물은 2층짜리 건물이며 지어진 지 오래된 건물임에도 외관이 깔끔하다. 2층 진입로와 1층 입구 관리가 잘 되어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유물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역사관
- 성북구 화랑로 14길 5에 소재한 전시관이다. 원래는 대통령이나 귀빈들이 묵는 영접실로 사용하였다. 2006년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창립 40주년을 맞아 역사관으로 문을 열었고, 개장한 지 10년째가 되는 2016년 리모델링을 통해 2017년 초 재개관하였다. 한국 기초과학을 토대로 한 산업의 발전을 상징하는 건물로, 1970년대 만들어진 탁상용전자계산기, CFC(냉매 등에 사용되는 물질), 공업용다이아몬든 분말, PET필름 등 근현대 산업기술 분야를 대표하는 것들을 보유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의 건물로 1층에는 50년 역사관, 70년대 연구실, 2층은 최형섭 박사 기념홀, 연구업적관, 별관은 기획전시관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2021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다.
-
-
장소
- 사단법인 한국고용복지센터
- 보문로 38(보문동7가 112-8)에 위치한 종합복지시설이다. 우리 사회에서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 취약 계층의 사회 서비스를 확충하고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필요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 통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노동부 인가 제458호로 2007년 6월 30일에 설립되었다. 일자리 창출 및 지원 사업, 노사정책에 관한 교육 사업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성북구 지역사회와의 연계 사업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성북구 보문동에 위치한 본사 외에도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 지사를 두고 있다.
-
-
장소
-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본사
- 안암로5길 40(안암동4가 11)에 위치한 전문자격기구이다.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발맞추어 정보통신 관련 분야의 새로운 자격종목 개발 및 제도 연구를 통해 민간자격 검정제도를 활성화하고 국내 정보통신 신기술의 인중연구, 국내 자격중의 국제 공인화, 국제 공인자격 과정 교육 및 시험시행 등을 목적으로 1997년 2월 1일 설립되었다. 민간자격 검정 시행, 국내외 자격제도 연구 및 정책 건의, 신규 민간자격종목 개발, 취업 훈련 및 교육, 연구지 및 관련 서적 발간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자격 종목에는 PC정비사, 네트워크관리사, 인터넷보안관리사, 스마트홈관리사, 모바일로보틱스 등이 있다.
-
-
장소
- 한국여성상담센터
- 보문로22길 28(안암동3가 86)에 위치한 상담센터이다. 1998년 창립된 이곳은 여성들이 직면할 수 있는 전반적 문제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심리상담 프로그램과 상담관련 교육사업을 수행한다. 가정폭력 전문상담원, 부부치료지도자,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 등을 운영하며 가정폭력을 경험 했거나 경험하고 있는 내담자가 참여하며 최소한의 심리적, 신체적 안전을 확보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정폭력 피해자 집단상담, ‘평등한 관계, 성장하는 가정’을 주제로 새로운 대화방식을 훈련하여 긍정적 의사소통 경험을 제공하고 협동 작업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가족캠프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
-
장소
- 승가원
- 개운사길 76-1(안암동5가 10-1)에 위치한 복지 시설이다. 승가원 사회복지재단이 관할하는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로, 대한불교 조계종 중앙승가대학교가 1996년 설립 허가를 받고 1998년 '상락원'으로 개원하였다. 개원 당시에는 정릉동에 위치했으나 같은 해 안암동으로 시설을 이전하였고 2006년에는 지금의 명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무연고 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대상자로서 양육이 불가능한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재활사업, 재활의료사업, 여가지원사업, 자립지원사업, 지역사회네트워크사업, 특성화사업 등의 종합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한다. 승가원 외에도 정릉동에 성북그룹홈 1·2호를 운영하며 장애 아동들의 생활 자립 및 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
장소, 유물
- 고려대학교 4.18 기념탑
- 1961년 4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민주정신을 기리며 세운 기념비이다. 탑이 세워지기 1년 전인 1960년 4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 3천여 명은 자유당 독재에 항거하여 학생대표의 선언문 낭독 후 국회의사당 앞에서 농성하였다. 시위를 마치고 학교로 돌아가던 학생들을 정치깡패가 습격하여 일부 학생들은 중상을 입었다. 이른바 4.18의거는 대규모의 대학생 시위이자 4월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기념비 오른쪽 하단에는 고려대학교 교수였던 조지훈 시인이 쓴 ‘자유! 너 영원한 활화산이여!’라는 제목의 비문이 있고, 왼쪽 상단에는 4.18 의거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모습을 기린 부조가 있다.
-
-
장소
- 태희 전주환 선생 공적비
- 정릉3동 취락지구개발을 위해 노력한 태희 전주환 선생의 공적비이다.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95년 3월 26일, 주민들이 함께 건립하였다. 그는 주민들의 뜻을 모아 1984년도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추진위원회장으로 추대되어 정부로부터 정릉3동 취락지구 지정을 받아 7년 여간 역임하였다. 1985년 지역 주민들의 오랜 숙원인 무허가건물 양성화와 1989년 토지불하 등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전주환 선생은 1928년 7월 16일 경북 달성군 구지면 내리171에서 출생하여 경북대학교를 중퇴하고 경북 달성군 구지면에서 면의원을 역임하였으며 정릉3동에서 청수가구 공장을 운영하였다. [공적비 내용 참조]
-
-
장소
- 삼선동/근린생활시설
- 삼선동의 근린생활시설에 관한 내용이다. 삼선동은 일제강점기부터 본격적으로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부터 교통과 수도 등의 기반시설이 마련되었고, 시장과 학교 등의 각종 시설이 건립되었다. 현재 삼선동에는 공공기관으로 1950년 동소문동에서 건립해 1976년 삼선동으로 이전해온 성북구청이 있으며, 성북경찰서, 성북세무서 등이 있다. 교육시설로는 초등학교 1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2개교, 대학교 1개교가 있으며, 문화시설로는 성북구민들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는 성북정보화센터가 있다. 종교시설로는 대법사, 묘광사 등의 사찰과 사랑의선교수사회 등의 천주교 교회, 겨자씨마을교회 등의 개신교 교회가 있다. 체육시설로는 대표적으로 체험놀이 공간, 유아놀이 공간, 체력단련시설 등이 마련되어 있는 상상어린이공원이 있다.
-
-
장소
- 보문동/근린생활시설
- 보문동의 근린생활시설에 관한 내용이다. 보문동은 지역 대부분이 주택가로 형성되어 있고, 현재까지도 주택재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아파트 및 상업시설이 들어서고 있다. 현재 공공시설로는 보문동 주민센터, 보문치안센터, 동대문세무서 별관 등이 있으며, 사회복지 시설로는 대표적으로 성북구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지원센터 보문점이 있다. 교육 시설로 초등학교는 대광초등학교와 동신초등학교로 2개교가 있으며, 체육시설로 보문동 주민센터 옆에 위치한 꿈나라어린이공원과 1980년에 개방된 도시공원인 숭인근린공원 등이 있다. 상업시설로는 2023년 기준 대형마트는 들어와 있지 않으며, 보문 시장이 비교적 규모가 적은 골목 시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종교 시설로는 미타사, 보문사 등의 불교 사찰과 노동사목회관 등의 천주교 교회, 보문제일교회 등의 개신교 교회가 있다.
-
-
장소
- 길음동/근린생활시설
- 길음동 근린생활시설에 관한 내용이다. 길음동은 1960년대 초에 주택지로 개발되었고, 인구가 밀집하기 시작하면서 동북부 일대 상권의 중심으로서 공설시장인 길음시장 변을 중심으로 간이주택, 간이주점, 노점 등이 자리잡았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아삼거리를 중심으로 상업업무지역이 확장되어 주거기능이 쇠퇴했다가, 2002년 시작된 길음뉴타운 사업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이에 일대의 전통 시장과 상가가 쇠퇴하고 현대식 상가가 생겨났다. 현재 전통 시장은 길음시장과, 길음시장 주변으로 인수시장이 일부분 남아있고,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선 길음1동에 기업형슈퍼마켓들이 입점해 있으며, 길음2동에 현대백화점과 이마트가 입점해 있다. 상업시설 외의 생활시설로서는 교육시설이 초등학교가 3개교, 중학교가 1개교, 고등학교가 1개교 있으며, 사회복지시설로는 대표적으로 2013년에 서울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일환으로 개관한 길음소리마을센터와 1992년 청평사 주지승 장제원의 추진으로 준공된 길음종합사회복지관이 있다.
-
-
장소
- 삼선5구역
- 성북구 삼선동2가 296번지 일대로 지정된 재개발 구역이다. 정비 면적은 63,918.5㎡로 1980-90년대 지어진 건물과 1930~40년대 지어진 도시형 한옥 일부가 남아있던 곳이다. 2009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사업이 지연되다가, 2016년 시공사가 확정되면서 다시 재개발에 속도를 냈다. 2018년 관리처분인가를 받았고, 2024년부터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 단지로의 일반분양을 시작했다.
-
-
장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본관
- 성북구 화랑로14길 5(하월곡동 39-1)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본관이다. 한국과학 기술원은 1966년 2월 10일 국가 미래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원천기술 개발과 기초·응용과학의 연구를 위해 설립되었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본관은 1969년 10월에 준공되었다. 이 건물은 한국 1세대 건축가 김수근의 작품으로 건물의 외관이 노출콘크리트로 되어있으며, 건물의 뼈대인 기둥과 보과 겉으로 드러나 있어 미술작품처럼 조형미가 돋보이는 건축물이다. 건물의 3층 가운데에는 중정(中庭)이 있어 중정을 중심으로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된 사무공간이 거대한 톱니 바퀴를 연상시킨다. 이 건물은 준공당시의 모습을 양호하게 간직하고 있어 건축사적으로 보존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서울시미래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
장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성북구 화랑로14길 5(하월곡동 39-1)에 위치한 연구기관이다. 1966년 2월 10일 국가 미래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원천기술 개발과 기초·응용과학의 연구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소가 설립되었다. 이후 1981년 1월 한국과학원과 통합하여 그 명칭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으로 바뀌었다가 1989년 6월에 다시 분리되면서 오늘날의 명칭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으로 바뀌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첨단기술개발의 경험과 축적된 연구 능력을 바탕으로 신소재, 첨단복합기술, 원천요소기술 그리고 공공복지 기술을 중점적으로 개발해 나가며, 우수인력의 확보와 연구시설의 현대화,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국제연구협력을 강화하여 명실공히 세계적인 연구기관으로 성장·발전하고 있다.
-
-
장소
- 국방기술품질원 국방벤처센터
- 성북구 오패산로3길 12(하월곡동 96-113)에 위치한 다층형 건축물이다. 1990년 12월 30일에 준공하였으며, 규모는 대지 451평, 건평 585평으로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이다. 이 건물은 원래 아파트형 공장으로 이용되었던 곳으로 봉제·완구·전자 및 전기부품 조립업 등 도시형 업종이 입주하였다. 2000년 초 건물 노후화로 사용이 어렵게 되자, 서울시는 국방기술품질원과 협약을 맺어 국방벤처센터로 사용하고 있다. 국방벤처센터는 국방 분야와 관련한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 기업의 육성을 위해 국방 기술 품질원이 설립한 센터이다. 최근에는 성북구의 복지시설을 늘려야 한다는 주민들의 요구로 이곳을 장애인 체육시설 및 주민 문화·체육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
장소
- 성가정입양원
- 성북구 선잠로 2길 242(성북동 1-161)에 위치한 입양기관이다. 1989년 서울대교구 고김수환추기경이 세계성체대회 기념사업의 하나로 ‘우리아기 우리 손으로’라는 신념아래 친권이 포기된 아동들이 새로운 가정에서 행복하고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될 수 있도록 국내입양 전문기관으로 설립한 것이 성가정입양원이다. 처음에는 정롱동에서 개원하였다가 2000년대 초 성북동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국내의 입양기관이 대부분 해외입양을 하는 데 비해 국내입양을 전문으로 한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입양 외에도 생부모나 미혼모에 대한 지원, 위탁가정 연계 및 지원, 자원봉사자 교육 및 관리 등의 사업을 상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