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소
- 밤나무골시장
- 성북구 오패산로65에서 오패산로 75까지 보도 아래 반지하에 형태로 형성된 상설 전통시장이다. 시장의 이름인 '밤나무골'은 하월곡 제3·4동에 밤나무가 많아 밤나무골, 밤골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따온 것이다.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에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는 오패산로와 오패산로10길이 만나는 삼거리부터 시작되는 큰 규모의 시장이었으나 재개발 과정에서 현재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 현재 시장의 길이는 약 131m가량 되며, 50여 개의 점포가 운영 중이다. 시장 입구에 있는 보도에서 시장으로 들어가는 반지하의 입구와 지상 보도 구간으로 나눠지는데 시장 중앙의 천장은 완전히 보도로 덮여 있어 시장 내부는 천장이 낮고 폭이 좁은 형태를 띠고 있다.
-
-
장소
- 안암동 안암로 105 상가 건물
- 성북구 안암로 105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6년 11월 2일이다. 면적은 202㎡, 연면적은 619.17㎡이다. 대로변과 이면 도로 사이 모퉁이에 있는 이 건물은 안암역 3번 출구에서 도보 3분 거리이다. 대로변에 인접해 있고, 바로 앞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건물의 출입문은 약국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해 있다. 외벽은 회색빛 벽돌로 마감되어 있다. 건물은 총 4층으로, 1층에는 한의원, 카페, 약국이 있고, 2, 3층은 고시원이 입점해 있다. 건물의 옥상은 테라스처럼 꾸며져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안암동 삼익아파트 상가
- 성북구 안암로9가길 1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3년 6월 14일이다. 면적은 10,390.1㎡이다. 건물은 지하 1층과 지상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가 건물에 가기 위해서는 짧은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지하 1층에는 오렌지 마트가 있는데, 창고로 쓰이며 현재 운영하지 않는다. 지하 1층에 주변 상가도 있던 것으로 추정되나, 문이 닫혀있고 복도에 불이 꺼져 사람이 다니지 않는다. 오렌지 마트, 봉우리 식당, 맞춤.수선, 삼익장식, 삼익크리닝상사, 국수생각&돈까스, 우편취급국이 입점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성북동 창원빌딩
- 성북구 성북로 108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5년 6월 4일이다. 건축면적은 278.5㎡이고, 연면적은 1333.39㎡이다. 지하에 낙지마당이라는 음식점이 있고, 1층에 옷 가게가 있다. 이외에, 5층까지 다양한 기업과 스튜디오가 입점해 있다. 상가라기보다 사무실 빌딩에 가깝지만, 상업, 영업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외관의 꾸밈은 거의 없다. 간판도 거의 달려 있지 않다. 건물의 외관이 오랫동안 거의 바뀌지 않았다. 내부의 복도와 계단, 층계참은 넓고, 입점 공간도 상당히 넓다. 내부의 층별 소개에 따르면 규모가 있는 창원금속 서울사무소가 한 층을 다 차지하고 나머지 층은 대부분 두 공간으로 나뉘어 두 상가씩 입점해 있다. 외부엔 주차장이 있으며 지하공간도 있다. 옥상의 통신 설비가 눈에 띄는 요소이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성북동 우리밀국시
- 성북구 혜화로 84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8년 4월 25일이다. 연면적은 207.58㎡이다. 우리밀국시라는 음식점 하나가 있는 건물이며, 1층만 식당으로 쓰이고 있다. 2층에 행주를 널어놓거나 실외기가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2층 이상도 영업을 위해 사용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건물 옆 공간이 좁고 계단이 가파르다. 빨간 벽돌조로 되어있어 일반 가정집 같으면서도 가게 앞부분이 거의 유리로 되어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 가게가 주변 건물과 다닥다닥 붙어있다시피 하기에 앞부분이 집중적으로 노출되고 옆과 뒤는 보기 힘들다. 국시는 성북동에서 많이 파는 칼국수의 종류이고, 성북동의 명물로 상징성이 있다. 성북동은 삼선교와 더불어 고위 관료 등 요직에 있는 사람들이 많이 살던 동네였고, 고기 고명의 칼국수를 파는 것이 유행이 되었다. 특히 김영삼 전 대통령이 좋아하던 음식이기에 더 주목받게 되었다는 배경도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성북동 혜화로 88 상가 건물
- 성북구 혜화로 88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9년 9월 8일이다. 건축면적은 123.6㎡이고, 연면적은 618㎡이다. 한양도성 성곽과 맞닿아 있어 자연과 인문환경이 조화롭게 어울리는 지점이다. 성북아파트로 가는 길까이 음식점이 이어져 있고, 근처에 <오박사네 돈까스>가 지역을 대표하는 맛집으로 유명하다. 건물에는 총 7개의 가게가 입점해 있다. 공연장 겸 요리주점 <째즈스토리>, 1층에는 한식집 <서촌누각>, 2층에는 양식집 <문화식당>이 있다. 또 디저트 카페 <몰리다.>, 필라테스 교습소 <자이로토닉 드라이브>, 종합 도소매점 <멜트메소드서울>과 화랑 <성북동 작은 갤러리>가 있다. 2014년에는 붉은 계통의 벽돌색이었다가 2017년에는 현재와 같은 하얀색 외벽으로 바뀌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성북동 성북로 76 상가 건물
- 성북구 성북로 76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성북동 60-33의 사용승인일은 1965년 7월 30일, 성북동 60-48의 사용승인일은 1973년 12월 26일이다. 두 지번의 토지를 합친 건축면적은 321㎡이다. 연면적은 60-33(제1종근린생활시설)이 439.79㎡, 60-48(제2종근린생활시설)은 453.08㎡이다. 1층에는 디저트 카페 밀플렉스, CU 성북본점이 있고, 2층에 성암이발관, 3층에 지요건축사사무소가 있다. 근방에 홍익사대부고, 경신중⦁고, 서울과고, 서울국제고, 성북초가 있고, 주변에 편집샵과 카페가 많다. 성북동의 주요한 길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삼각지에 있다. 이 부근을 기점으로 조용하고 차분한 동네 경관이 이어지기 시작한다. 로드맵 등으로 확인해 봤을 때, 2010년도에는 지하에 성암탕이, 2층 이발관 자리에는 하나美치과가 있었으며 밀플렉스 자리엔 옷 가게가 있었다. 2012년 4월에는 옷 가게 자리가 아성 공인중개사사무소로 바뀌었고, 2층에는 이발관과 구보다스시집이 함께 있게 되었다. 2014년 11월에 목욕탕은 없다. 2017년에는 공인중개사사무소가 내가 만든 나라라는 인형 가게로 바뀌었으며, 2020년엔 이마트24와 한식당, 클래식 카페 등이 들어오게 되었다. 굉장히 다양한 점포가 들어왔다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석관동 석관시장 건물
- 성북구 돌곶이로22가길 27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8년 7월 23일이다. 건축면적은 1,992㎡이고, 연면적은 9,815㎡이다. 석관시장 내 중심에 위치한 석관시장 건물이다. 이 건물을 중심으로 여러 시장 상점들이 위치 해있으며 유동 인구가 상당히 많다. 건물은 지상 4층이고, 탑마트, 대중 목욕탕, 골프 연습장, 인테리어 가게, 안경점 등이 입점해있다. 1층에는 마트와 상점들이 줄지어 있다. 2층과 3층은 대중 목욕탕, 꼭대기는 골프 연습장이다. 1층 마트 옆에 정문이 1개, 2층으로 올라가는 문이 1개, 뒤쪽에 후문과 옆쪽 통로 공간이 있다. 건물 오른쪽에 주차장이 있고, 주차장 쪽에 골프 연습장 출입로가 있다. 2층과 3층에는 긴 창문들이 길게 이어져 있다. 밝은 빨간색 대리석 외장재를 사용하고 긴 테두리가 2~3층에 길게 이어져 있다. 마트 옆 정문으로 들어가면 긴 통로가 있고, 통로 쪽에 옛 상점가가 있지만 대부분 운영하지 않고 있다. 건물 중간에 큰 기둥이 있다. 건물이 크고 통로가 중간에 있어 사람들이 건물을 통해 왕래한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석관동 봉용 빌딩
- 성북구 돌곶이로22가길 18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8월 5일이다. 건축면적은 287㎡이고, 연면적은 1,554㎡이다. 석관 시장 바로 건너편, 주로 시장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자주 다니는 골목길에 위치 해있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5층이다. 치킨집, 도배 장판 가게, 옷 가게와 고시원이 입점 해있다. 빨간 벽돌로 외장 마감되어 있다. 중간 부분에 직사각형 모양의 창문이 있으며, 양쪽에 길쭉하고 작은 창문들이 있다. 건물 뒤쪽에는 작은 창문 몇 개만 있다. 건물 꼭대기에 커다란 마트 글자 간판이 있다. 1층에는 상점들이 줄지어 있다. 건물 오른쪽 끄트머리에 정문이 1개 있다. 문 바로 오른쪽에 표지석이 있다. 내부 계단은 대리석으로 마감하였고, 계단 부분 벽은 흰색 페인트로 칠해져 있다. 계단을 오르다 보면 2~3층 사이에 있는 오각형의 큰 창문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석관동 KTF 상가 건물
- 성북구 돌곶이로 74에 있는 주상복합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7년 7월 16일이다. 건축면적은 알 수 없고, 연면적은 467㎡이다. 돌곶이역 6번 출구에서 1분 거리에 있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로 이루어졌다. 전체적으로 베이지와 갈색으로 도색 돼 있다. 건물 앞쪽은 상가로 이용되고 있지만 뒤쪽은 실제 사람들이 거주하는 거주 공간이다. 직사각형 모양의 균일한 창문이 있다. 건물 정면에 상가로 들어가는 문 정문 1개, 뒤쪽에 주거지로 들어가는 후문 1개가 있다. 정문으로 들어가면 바로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과 올라가는 계단이 있었으며 내부 계단은 상당히 좁다. 정문 오른쪽에 오래된 우편함이 있다. 계단 중간마다 화장실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석관동 동우빌딩
- 성북구 화랑로 242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93년 11월 5일이다. 건축면적은 651㎡, 연면적은 3,631㎡이다. 돌곶이역 8번 출구 근처에 있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로 이루어졌다. 한의원과 현대자동차 대리점이 입점해 있다. 앞에 정문이 1개 있으며 같은 쪽으로 현대자동차 대리점이 크게 있다. 긴 창문이 1층에서 3층까지 똑같이 있으며, 빨간색 벽돌로 외장 마감하였다. 건물의 외형 모습이 정사각형이라기보다는 건물 오른편에 굴곡진 형태의 모양을 하고 있다. 건물 뒤쪽에는 커다란 붉은색으로 칠한 주차타워가 있으며 후문이 1개 있다. 내부 1층에는 현대차 대리점, 2층에는 한의원이 있으며 3층에는 대중목욕탕이 있었으나 현재 운영하고 있지 않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석관동 대성프라자
- 성북구 화랑로 254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8년 10월 14일이다. 건축면적은 1,055㎡, 연면적은 5,500㎡이다. 지하 1층에 볼링장, 지상 1층에 한의원, 정형외과, 정육식당, 지상 2층에 신한은행, 스크린골프장, 지상 3층에 YBM 영어유치원, 스포츠클럽 다목적구장, 지상 4층에 업타운 피트니스 센터, 지상 5층에 풋살장이 있다. 출입문은 총 3곳으로 건물 양쪽에 정문 2개가 있다. 오른쪽 정문으로 들어가면 이어지는 후문 1개가 있다. 외벽은 밝은 베이지 벽돌로 이루어져 있다. 1층에서 3층까지는 작고 긴 창문이 있었고, 4층에는 큰 창문이 있다. 오른쪽 정문 편에 엘리베이터가 있다. 건물 뒤쪽에 큰 주차타워가 2층 높이로 있어 주차 자리가 넉넉해 보인다. 오른쪽 정문 편에는 석재로 조각한 동상이 하나 있다. 건물 내부는 대리석으로 마감하였으며 4층 꼭대기 층은 풋살장으로 운영 중이었다. 계단을 오를 때마다 계단 중간에 커다란 창문이 있어서 개방감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종암동 고려시장상가
- 성북구 종암로 56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0년 6월 15일이다. 면적은 506㎡, 연면적은 1,837.6㎡이다. 8개의 동(가~아) 3층 건물로 이루어진 상가이며 영세 산업용품, 의류용품, 직물·원단, 금속 처리 업체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동 1층의 경우 대부분 공업사, 프린트 전사, 전기, 공예, 레이저 컷팅 등 영세기업이 입주해 있었으며 간혹 슈퍼와 식당도 있다. 8개의 동에 모두 빽빽하게 들어서 있었고 건물 한 개의 동 앞뒤로 다른 업체인 경우도 종종 있다. 건물 앞뒤로 주차가 많이 되어있고, 소방 안전을 위해 1열로 주차하라는 안내판이 있었지만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2층으로 이어지는 입구가 각 동 별로 약 네 군데 있다. 입구 중 대부분은 쓰레기봉투와 마대 자루가 막고 있다. 입구뿐만 아니라 길거리에도 각종 짐이 놓여 있다. 고려시장상가 뒤 편으로는 빌라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종암동 해원빌딩
- 성북구 종암로 83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7년 6월 17일이며, 연면적은 1,034.67㎡이다. 종암로 대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 바로 앞에 노약자&교통약자 버스정류소가 있어서 버스가 정차해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건물 외부에는 붉은 벽돌이 사용됐다. 삼성 오토바이의 경우 오토바이들이 가게 앞으로 여러 대 주차되어 있었으나 나름 줄을 맞춰 세워져 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입점 상가의 간판에서 건물의 오래된 흔적이 가장 크게 느껴졌고 전반적으로 세월이 느껴진다. 내부 역시 페인트칠을 꽤 최근에 한 것 같지만 특유의 철문과 걸려있는 빛바랜 사진 액자가 건물의 연식을 짐작케 한다. 건물 뒤쪽 편에 서면 온갖 전선들을 볼 수 있다. 건물 뒤 전신주로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연결 되어있다. 건물 뒤쪽은 벽돌이 아닌 페인트로 마감한 모습이다. 간혹 상태가 좋지 않은 창문들이 몇 개 보인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종암동 동일빌딩
- 성북구 종암로 10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7월 12일이며, 면적은 506㎡, 연면적은 1,837.6㎡이다. 지상 3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옥상이 개방되어 있다. 건물 정면 앞으로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건물의 연식 대비 내외부가 깨끗하게 관리된 편이다. 머릿돌은 따로 없었으나 정면 입구 오른쪽 기둥에 ‘東一빌딩’이 새겨진 비석이 붙어있고, 계단 옆에 부착된 소방안전관리자 현황표 대상명에도 동일빌딩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에서 봤을 땐 연식이 그리 오래된 건물 같아 보이지 않는다. 전면부 1층은 기업은행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측면부 1층의 경우 주얼리가게(LUMERE), 네일×속눈썹샵(오늘도 맑음 네일, 속눈썹Day)이 입점해 있다. 건물 정면 입구 외에 측면부에 입구가 한 군데 더 있는데, 지하 도미닉 공방으로 이어지는 입구이다. 도미닉 공방의 경우 간판을 확인할 수 없으나 로드뷰로 상호명을 확인할 수 있다. 오토바이 관련 용품을 파는 가게다. 정문 입구로 들어와 계단을 올라오면 바로 PC방 입구가 보인다. 내부 규모는 파악하지 못했으나 꽤 큰 규모로 사용되는 것처럼 보인다. PC방 입구를 바라보고 왼쪽으로 틀면 관계자 외 출입금지 팻말이 붙어있는 잠겨 있는 유리문이 보인다. 3층의 대부분은 예향교회가 쓰고 있다. 교회 왼쪽편으로는 복도를 따라 4개의 별도 호실이 있었고 가장 안쪽에는 예향교회의 별도 공간이 있었다. 4개의 호실 중 한 곳만 기업은행 표지판이 붙어있었고 나머지의 경우 별도의 간판이 붙어있지 않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정릉동 정릉수퍼
- 성북구 솔샘로6길16-16(정릉동684-1)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69년 8월 26일이며, 지상 2층, 연면적 242.58㎡인 건물이다. 2025년 2월 1층은 정릉수퍼, 2층은 반고당구장이 있다. 정릉수퍼는 1층 전체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1년 로드뷰에도 확인될 만큼 상당히 오래된 지역 가게임을 알 수 있다. 반고당구장은 2014년 이후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 정릉수퍼는 간판만 바뀌었고, 건물 도색은 2-3번 이루어졌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정릉동 싱싱회수산 건물
- 성북구 솔샘로4길 52(정릉동373-2)에 위치한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사용승인일 1977년 8월 11일이며, 지하 1층 지상 3층의 연면적 364.58㎡인 건물이다. 2025년 2월 현재 1층에는 소문난뽑기방과 싱싱회수산이 있다. 2층과 3층은 일반 사무공간 혹은 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싱싱회수산 이외에는 간판이 없다. 주변은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들이 밀집한 주거지역이나, 편의점과 식당이 주변에 밀집해 있다. 정릉시장과 밀접한 사거리에 있는 건물이지만 상대적으로 조용한 분위기인 곳이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정릉동 성신프라자 건물
- 성북구 솔샘로4길 46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명은 성신프라자이며 1997년에 준공된 지상 5층 지하 1층 연면적 2801.09㎡의 건물이다. 2025년 2월 현재 지하 1층은 성신사우나 운영 중이며, 1층은 땅스부대찌개, 박씨돈까스 등 많은 상가가 입점해 있다. 2층 쓰리팝피시방, 3층 사무실, 4층 독서실, 5층 헬스장이 있다. 1층 식당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설들이 입점해 있어 유동 인구가 상당히 많다. 아파트가 밀집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종합 상가같은 형태이다. 지하의 목욕탕과 5층의 헬스장은 리모델링을 하지 않아 오래된 느낌이지만 2층 피시방과 독서실은 젊은층을 공략한 현대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정릉동 새터부동산
- 성북구 솔샘로6길 55(정릉동349-10)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1918년 8월 14일에 사용 승인된 것으로 확인되지만, 이후 개보수가 여러 번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2025년 2월 현재 과거 국대포차였던 자리에 연꽃치라는 술집이 새로 생겼고, 바로 옆에는 새터부동산이 자리잡고 있다. 깨끗하게 리모델링한 연꽃치 정면과 달리 옆벽면은 시멘트와 벗겨진 페인트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건물 뒤쪽은 주거 공간으로 확인되는 건물이 붙어 있어 접근이 어렵다. 2024년 4월 로드뷰에는 연꽃치 이전 술집인 국대포차를 확인할 수 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정릉동 빨간오뎅집 건물
- 성북구 보국문로11길 31(정릉동394-1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 1983년 3월 15일이며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된 연면적 331.13㎡, 대지면적 231㎡인 건물이다. 2025년 2월 현재 1층에는 빨간오뎅분식집, 백할매고깃집, 꽈매기스토리가 영업 중이며, 2층은 주거 공간으로 확인된다.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들이 밀집한 주거지역이고 대중교통이 잘 발달되어 접근성이 우수하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장위동 나라부동산 건물
- 성북구 장위로77-1(장위동225-75)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8년 5월 19일이며 연면적 173.03㎡,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5년 2월 현재 운영 중인 상가는 나라부동산이 유일하다. 로드뷰를 확인해 보면 2010년 3월 나라부동산을 포함하여 성우헤어, CCTV존, 아이조아PC클럽이 운영되었다. 2014년에는 PC클럽이 진영설비로, 2017년에는 향커피로, 2023년 4월에는 진주모피로 자주 변화되었다. 2024년 2월 진주모피는 폐업했다. 건물 정면에 2차로 도로, 건물 우측 측면에는 주택단지로 통하는 일방통행 도로가 있다. 폐업한 성우헤어에는 과거 사용한 물품과 의자, 상자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진주모피 점포는 내부가 비워져 있다. 건물에는 폐업한 진주모피와 성우헤어의 간판이 있고, 2층 정면에는 나라부동산 간판이 설치되어 있다. 진주모피 상가 좌측에 2층 상가로 향할 수 있는 입구가 있으나 닫혀 있으며, 나라부동산 우측에는 건물 외부 뒤편으로 이어지는 출입문이 있다. 로드뷰로 확인한 결과 2012년 건물에 흰색 페인트를 다시 칠한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건물 페인트가 벗겨져 얼룩덜룩한 외관이다. 폐업한 상가로 인해 전체적으로 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장위동 삼성건축 건물
- 성북구 장월로5길 70(장위동246-133)에 위치한 상가와 주거 공간이 합쳐진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3년 9월 3일이며, 연면적 116.2㎡이다. 1층은 삼성컴퓨터크리닝과 삼성건축이 입점해 있고 2층은 가정집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9년 로드뷰를 보면, 삼성건축 자리는 15구역 뉴타운추진위원회 관련 사무공간으로 활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상가에 직접 들어가는 문이 있고 건물 우측에 대문이 있는데, 2층 가정집으로 들어가는 대문으로 확인된다. 건물 입지는 전형적인 빌라 밀집 지역이며 세탁소와 건축업을 하기에는 괜찮은 위치이다. 외벽 마감은 과거 주택이나 빌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붉은벽돌로 이루어져 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장위동 동네방네빨래방 건물
- 성북구 장위로 44(장위동231-37)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68년 10월 10일이며 연면적 488㎡ 지상 3층 구조이다. 2025년 2월 현재 1층은 동네방네빨래방과 생고기숯불구이가 영업 중이며, 2층은 피시방 간판이 있지만 운영하고 있지 않다. 3층 입점 상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며, 4층은 옥상과 작은 관리사무소가 있다. 로드뷰로 확인한 바로는 2018년 4월 맵스벅이라는 햄버거 전문점이 있었고 2층은 비원(Bone) 피시방이 있었다. 2015년에는 1층 동방축산 정육점, 2층 해피존피시방, 3층 동방태권도가 운영 중이었다. 건물 외부와 내부 모두 낡은 모습이고, 계단은 경사와 폭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관리사무소가 있고 1층에는 여전히 영업점이 있어서 전체적인 건물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건물 입지는 도로변에 있어서 유동 인구가 많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장위로31길3 건물
- 성북구 장위로31길 3(장위동232-13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7년 12월 31일이며 연면적 347.91㎡로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5년 2월 현재 운영되는 점포는 가브리엘헤어샵, 대원상사(소매점), CU편의점이다. 과거 로드뷰를 확인해 보면, 2010년 3월부로 가브리엘 헤어샵 점포 위치에 커피숍(다인카페)이 운영되었고, 2014년 말에는 식당납품전문점(좋은유통)으로 변화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자리에 가브리엘 헤어샵이 2019년 초에 입점하여 2025년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건물은 큰길과 주택 및 빌라 단지로 통하는 일방통행 골목 모서리에 있으며, 맞은편에 헤어샵, 인테리어, 카페 등 유사한 업종의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상가 내부 계단은 대원상사 소매점이 있는 2층과 3층의 주거 공간으로 이어져 있다. 지하 1층의 내부는 문으로 막혀 있어 어떤 점포가 이용하는지 알 수 없다. 로드뷰를 통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외관은 하얀색 벽지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벽지가 조금 떨어지거나 얼룩이 진 경우 다시 외관 작업을 하므로, 노후화된 모습은 없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장위로 111 건물
- 성북구 장위로111(장위동238-96)에 위치한 상가 및 종교시설 건물이다. 건물준공일은 1967년 3월 9일이며, 면적 284㎡, 연면적 378.95㎡이다. 입점 상가는 1층에 봉마담쌀롱(요리주점), 보디가드, 기리(보세의류), 대경(의류)이 있으며, 2층에는 종교시설인 관음정사가 있는데 출입이 어려워 종교활동을 여부는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동방갈비라는 돼지갈비 가게는 간판만 있고 운영은 하지 않는다. 2018년 4월 로드뷰에는 지금은 사라진 프로스펙스 브랜드가 입점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입지는 장위동 돌곶이역에서 가깝지만 인근 지역이 재개발로 인해 유동 인구는 줄어든 상황이다. 출입문의 경우 1층 상가별로 출입문이 있고, 2층 계단을 올라가면 종교시설로 들어갈 수 있는 출입문이 1개 있다. 창문은 표면상으로는 각 상가마다 통유리 창문 3개, 2층 종교시설에 창문이 여러 개 있다. 외벽 마감의 경우 2층 불교 건물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깔끔하게 되어있다.(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장월로1길 69 건물
- 성북구 장월로1길 69(상월곡동57-5)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4년 10월 7일이며 건축 면적 455.57㎡, 연면적 983.27㎡이다. 건물은 길쭉한 직사각형으로 작은 규모의 상가들이 오밀조밀하게 입점해 있다. 2층으로 되어있고 옥상이 존재한다. 외벽은 시멘트로 마감되어 있는데, 지어진 지 오래된 것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정리되지 않은 전선과 약간은 위험해 보이는 내부 계단이 있다. 입점 상가는 사이야월곡점, 월곡동분식, 월곡떡방앗간, 큰집닭강정, 행운이용원 등이 1층에 있다. 월곡떡방앗간 옆 계단을 통해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며, 옥상에 올라가면 주변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건물외관은 정리되지 않은 전선과 세월이 느껴지는 간판이 어우러져 건물의 오랜 역사를 가늠케 한다. 최근 입점한 가게 간판과 오래된 간판이 서로 대비되는 모습을 보인다. 주변에 동덕여자대학교와 많은 빌라들이 있어 접근성이 좋은 상가이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월곡동 보배반점 건물
- 성북구 종암로184(하월곡동90-1695)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0년 6월 10일이며, 연면적은 347.6㎡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며 1층 정문과 2층 또는 3층으로 올라가는 통로는 별개이다. 건물 1층에는 중식당인 보배반점이 입점해 있다. 보배반점과 나란히 위치한 아이스크림 판매점은 별도의 가건물로 지어져 있어 보배반점 건물과 어울리지 않는 모습이다. 2층은 바둑을 둘 수 있는 성북기원이 있고, 3층은 대한불교 임제종 평인사라는 종교시설이 있다. 성북기원의 내부는 최근 도배를 해서 깨끗한 모습이며, 기원 안에는 바둑을 두고 있는 지역 어르신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건물 가까이에 버스정류장이 있어 접근성이 좋다. 주변에는 숭곡초등학교, 숭곡중학교,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가 인접해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보문로13라길 11 건물
- 성북구 보문로13라길 11(보문동6가 251)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7년 6월 24일이며, 면적은 125.32㎡ 연면적은 313.65㎡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 및 주택이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왼편 건물과는 간격이 여유 있지만 우측 건물과는 붙어있어 2층의 경우 창문이 존재하지 않는다. 건물의 외벽은 벽돌로 마감되어 있으며, 지붕은 슬라브 구조로 되어있다. 출입문은 두 개로, 정면 출입구는 위층으로 이어지며, 단독주택으로 연결되는 출입구는 건물 뒤편에 있다. 현재 건물의 1층에는 대광냉동공조 시스템이라는 에어컨 설치 전문점과 동명사라는 미싱 작업소가 입점해있다. 과거에는 2009년부터 2016년까지 강북건강원이라는 건강기능식품 판매 업체가 1층에 있었었고, 그 이전에는 혜인사라는 의류 제작 작업소가 동명사 자리인 1층에 있었다. 건물 내부는 전형적인 현대식 상가건물과는 차별화된 구조로 되어있다. 계단이 좁고 한 사람이 겨우 통행할 수 있을 정도이며 ㄱ자 형태로 되어있어, 각 집은 독립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는 상가건물보다는 주거용 건물의 특징을 더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건물은 주차공간이 없어 상가건물 앞 도로에만 주차할 수 있다. 주변 경관을 보면, 대부분 상가건물과 그 위에 빌라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삿짐센터, 작은 학원, 옷 가게 등 다양한 소규모 상점들이 있지만, 문을 열지 않은 가게도 많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보문로13다길 27 건물
- 성북구 보문로13다길 27(보문동6가 117)에 위치한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4년 11월 8일이며, 면적은 120㎡, 연면적은 246.69㎡이다. 현재 1층에는 ‘대감네 야채’라는 이름의 가게가 입점해 있다. 과거 같은 위치에 ‘곰돌이 수퍼’라는 구멍가게가 있었고, 이후 세븐일레븐 편의점이 들어왔다가 철수하면서 현재의 가게가 자리 잡게 되었다. 1층 내부에는 각종 자재들이 쌓여 있어 공간을 차지하고 있고 위층은 주택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으로 철문으로 막혀있다. 1층 외부에는 천막 아래에 가게에서 판매하는 채소들이 진열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유사한 형태의 상가 건물들이 있고 골목 사이사이에 주택이 들어서 있다. 이 건물은 골목의 가장 바깥쪽에 자리하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외벽은 흰색 타일로 마감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변색된 부분이 많다. 지붕은 슬라브 형태로, 옥상과 약간 떨어져 건물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건물의 창문은 총 8개로, 각 층마다 4개의 창문이 있으며, 1층에는 창문이 없다. 층수는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이다. 내부 벽은 시멘트와 타일이 혼재되어 있으며, 계단은 꺾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출입구는 1층 상가 출입구 2개와 건물 출입구 1개를 포함하여 총 3개가 존재한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지봉로20길 81 건물
- 성북구 지봉로20길 81(보문동5가 192)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9년 9월 12일이며, 면적은 124㎡ 연면적은 244.32㎡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 및 주택이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물의 주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지붕은 슬라브 형태이다. 외벽은 일반적인 평평한 구조와 달리 매끈한 벽돌이 올록볼록 튀어나온 독특한 무늬를 띄고 있으며, 전체가 하얀색으로 마감되어 있다. 출입문은 주택 출입문과 창고 출입문까지 합하여 총 5개의 출입문이 있다. 현재 1층 중앙에는 열매 공인중개사 사무소가 위치하며, 오른쪽에는 연화벽지(주택자재 전문매장)와 처갓집(프랜차이즈 치킨가게)이 입점해있다. 과거에는 열매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제외한 상가들이 수차례 변경된 바 있다. 건물 내부는 매우 협소하고 내부 계단은 일자 형태의 가파른 구조로 되어있으며, 중간 지점에 주택이 하나 위치한다. 이후 계단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꼭대기로 이어지며, 최상층에는 옥탑방 형태의 주택이 자리하고 있다. 외부에서는 건물 정면 기준 왼쪽에 컨테이너 형태의 창고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눈에 띈다. 해당 창고는 지층 공장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공실 상태이다. 주변에는 빌라촌과 아파트 단지가 혼재되어 있으며, 같은 업종의 공인중개사 사무소, 세탁소, 구멍가게 등 오래된 상점들과 주택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고려대로2길 34 건물
- 성북구 고려대로2길 34(보문동4가 9-1)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4년 12월 28일이며, 면적은 113.56㎡ 연면적은 172.3㎡이다. 건물의 용도는 영업, 근린생활시설이다. 건물은 총 2층으로, 1층은 사무 공간과 소규모 상업 공간, 2층은 주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1층에는 ‘시장철물건재’라는 철물점과 ‘에코엔디자인’이라는 인테리어업체가 입점해있고 가운데 출입문으로 들어가면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는 공간과 주거용 공간이 있다. 과거 입점 상가는 2009년부터 확인할 수 있었는데 시장철물건재는 변하지 않고 있으며, 인테리어업체는 2012년부터 리폼아트라는 작은 홈 인테리어 전문점이 있었다가 2020년부터 지금의 인테리어 업체로 바뀌었다. 건물의 외벽은 벽돌 구조로 단단하면서도 전통적인 외관을 유지하고 있다. 내부는 나무로 된 기둥과 대들보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한옥의 미감을 살리면서도 현대식 재료와 마감 처리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지붕은 스라브 구조와 기와 구조가 혼합되어 있다. 출입문은 건물 정면에 하나, 개별 상가로 연결되는 문 2개로 총 3개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이 위치한 도로 건너편에는 고층 아파트 단지가 있고 건물 주변은 저층 빌라 주택단지와 중층 아파트 주거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인근에는 보문센트럴아이파크(2026년 9월 입주 예정)의 공사가 진행 중이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보문로 127 건물
- 성북구 보문로 127(보문동2가 105-1)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9년 8월 31일이며, 면적은 260㎡, 연면적은 666.51㎡이다. 지상 총 4개층과 지하 1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 그 외에는 시멘트 벽돌조의 구조이다. 지하에는 물탱크실, 1층에는 현대자동차, 2층에는 아띠샵(헤어샵), 3층에는 사무소가 있으며 4층은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코만도 바비큐’라는 음식점이 2014년까지 존재하였고 2015년도 농산물 판매업, 2016년부터 지금까지는 현대자동차가 입점해있다. 건물 내부에는 각층 마다 상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이 1개씩 있으며, 4층은 거주지로 출입이 제한되어 있었다. 건물 뒤편에는 간이 주차장이 있다. 주변은 주로 빌라와 상가가 밀집해 있어 상업, 주거 기능이 공존하는 유동 인구가 많은 환경이다. 보문역에서 도보로 약 2분 거리에 위치하며, 건물 인근에는 다양한 소규모 상점과 편의시설이 있다. 사거리에 위치해 횡단보도가 앞에 있고 보행자 통행량도 많다. 주변 경관은 밀집한 상가 건물들로 인해 도로와 건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모습이 특징이다. 1층의 현대자동차 상가는 정면에서 보면 1층처럼 보이지만, 건물 측면에서는 오르막 경사로 인해 반지하처럼 보인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길음동 장안빌딩
- 성북구 도봉로 3(길음동 864-18)에 위치한 교육연구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6년 8월 16일이며, 면적은 515㎡, 연면적은 1,470㎡이다. 1층에 다양한 상가들이 입점해 있는데 2층이 한의원이 있다 보니 약국도 있다. 1층에 로하스 키즈클럽, 슈앤풋(신발 가게), 이동통신판매점이 있고 2층엔 한의원 3층엔 아이르 필라테스가 있고 4층엔 e상한나라 엘리스 치과와 아린정신건강의학과 라는 정신병원이 있다. 미아사거리역에서 400m 거리, 길음역에서 800m거리에 위치해 있다. 건물 오른편으로 약 150m의 거리에 ‘현대백화점정류장’이 있고 현대백화점 미아점이 있다. 건물 왼편 약 200m 거리에 ‘현대백화점.E마트.빅토리아호텔정류장’과 ‘미아사거리역정류장’이 있다. 주변 주거시설로는 레미안길음센터피스 아파트, 롯데캐슬 클라시아가 있으며 도봉로쪽 맞은편에는 많은 주택이 들어서있다. 주변에 위치한 학교는 영훈국제중학교, 영훈고등학교, 숭곡중학교,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가 있으며 신길음1재정비촉진구역재개발아파트, 강북3재정비촉진구역포스코더샵 등의 재개발구역이 위치한다. 앞뒤로 큰 입구가 있으며, 뒤쪽 출입구로 들어가게 되면 안쪽은 리모델링이 되었는지 깨끗한 엘리베이터와 마감 상태를 볼 수 있다. 외벽은 고급 유리 커튼월과 메탈 패널로 마감돼있고 그레이와 블루 계열이다. 한의원 창문은 전부 한의원에 대한 설명이 쓰여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길음동 삼주빌딩
- 성북구 도봉로 11(길음동 25-7)에 위치한 일반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2년 12월 21일이며, 면적은 963.24㎡, 연면적은 3,322.14㎡이다. 입점 상가로는 지하 1층 ACRO GYM, 1층 우리은행, 2층 매드댄스학원, 샤인 피부과, 3층 이노헬스, MEDICALNET, 4층 김선관 세무사 사무소, 키즈 더 웨이브, 5층 써니 스터디 카페가 있다. 미아사거리역에서 250m 거리이며 두 개의 버스정류장(‘미아사거리역정류장’과 ‘현대백화점.E마트.빅토리아호텔정류장’)이 있다. 왼편에는 이마트 미아점이 위치하며, 건물 오른편 200m 거리에 현대백화점 미아점이 자리 잡고 있다. 주변 주거시설로는 레미안길음센터피스 아파트, 롯데캐슬 클라시아가 있으며 도봉로쪽 맞은편에는 많은 주택이 들어서있다. 주변 학교로는 영훈국제중학교, 영훈고등학교, 숭곡중학교,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가 있으며 신길음1재정비촉진구역재개발아파트, 강북3재정비촉진구역포스코더샵 등의 재개발구역이 있다.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며 석재 패널과 코팅 처리된 금속 패널로 마감되어 있다. 외벽 색상은 주로 따뜻한 그레이와 베이지 톤으로 되어 있다. 창문에는 상가 이름이 대부분 적혀있고, 정면이 아닌 건물의 왼쪽에 출입문이 있고, 안쪽에 바로 엘리베이터가 위치한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길음동 동궁빌딩
- 성북구 동소문로 229(길음동 535-20)에 위치한 교육연구시설,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8년 11월 15일이며, 면적은 836㎡, 연면적은 2,898.78㎡이다. 입점 상가로는 <AIRMOUNTAIN 캠핑&등산 아웃도어 멀티샵>, <신한은행 길음동지점>, <동궁화원>, <뮤즈 발레 학원>, <블랙멀티짐>이 있다. 과거의 동궁빌딩에는 1층에 신한은행과 정형외과가 있었고 2층부터 5층까지 학원이 있었다. 1층의 병원은 신한은행의 확장공사로 없어지게 되었다. 2층부터 5층까지 있던 학원 때문에 건물의 주용도는 판매및영업시설로 고지되어 있지만 지금의 학원 자리에는 2층에 발레학원, 3층과 4층에 헬스장, 5층에 아웃도어 옷가게가 있다. 입지를 살펴 보면 길음역에서 300m 거리에 위치하며, 뒤쪽으로는 마트와 마트 주차장, 길음시장이 있다. 주변 주거시설로는 길음역롯데캐슬트윈골드, 길음삼부컨비니언아파트, 길음뉴타운래미안9단지아파트, 길음래미안 1단지 아파트 등이 자리 잡고 있으며 내부순환도로와 인접하여 있다. 종교시설로는 길음동 성당이 있다. 앞면에는 약간 붉은색의 석재로 마감되어 있고 뒷면은 흰색 페인트칠 된 콘크리트로 마감되어 있다. 1층에는 은행으로 들어갈 수 있는 출입문과 계단 및 엘리베이터가 있는 출입문이 있다. 1층에는 은행, 2층에는 은행과 발레학원, 3층과 4층에는 헬스장이 있으며 5층에는 아웃도어 옷가게가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길음동 서우철강빌딩
- 성북구 동소문로 231(길음동 535-20)에 위치한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2년 12월 21일, 대지면적은 416㎡, 연면적은 1,430.58㎡이다. 입점 상가로는 은행 <KB국민은행 길음뉴타운점>, 안과 <이홍수안과의원>, 치과 <중앙치과의원>, 노래방 <뉴타운 노래연습장>, 고시원<수 리빙텔>이 있다. 2010년 기준 입점 상가와 현재의 입점 상가가 동일하다. 건물의 입지를 살펴보면 길음역에서 300m거리이며, 길음시장 버스정류장과 길음뉴타운 버스정류장이 인근에 위치한다. 정문 바로 앞에 건너편으로 지나갈 수 있는 지하보도가 있고 뒤쪽으로 길음시장과 다수의 음식점들이 위치해 있다. 인근 주거시설로는 길음역롯데캐슬트윈골드, 길음삼부컨비니언아파트, 길음뉴타운래미안9단지아파트, 길음래미안 1단지 아파트 등이 위치해 있으며 내부순환도로와 인접하여 있다. 종교시설로는 길음동성당이 위치해있다. 건물의 외벽은 회석석재로 마감 되어 있으며 각층마다 동일안 디자인의 창문이 있다. 출입문은 국민은행 출입문과 치과, 안과, 고시원으로 올라갈 수 있는 출입문 2개로 나누어져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
장소
- 모닝베이커리
- 성북구 보국문로157(정릉동 771-46)에 위치한 베이커리이다. 정릉에서 39년째 자리를 지키고 있고, 처음에는 '영국빵집'이라는 상호를 사용하였으나, 유럽빵집의 분위기를 내기 위해 '모닝베이커리'라는 이름으로 바꾸게 되었다. 주인 아저씨는 빵공장에 재직하시다가 독립해서 가게를 차리게 되었다. 구청으로부터 표창장을 받았고, KBS1 뉴스에 소개되기도 했다.
-
-
장소
- 대원서점
- 성북구 정릉로241(정릉동 416-14)에 위치한 서점이다. 현재 사장님 부부는 서점을 인수받아 33년째 운영하고 있고, 그 전에도 같은 상호의 서점이 운영되었다고 한다. 대원서점에서는 소규모 공연이나 지역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콘서트를 통해 주민을 위한 문화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정릉의 유일한 지역서점이다. 보국문로72에 있다가 2018년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
-
장소
- 기차순대국
- 성북구 보국문로11길 18-6(정릉동 398-9)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자매 두 명이 운영하고 있는 50년 된 순대국집이다. 원래는 정릉천 다리건너 자리에서 순대국집을 운영하다가 10년 전 무렵 도시 정비가 시작되면서 가게를 넓혀 이곳으로 옮겼다. 언니의 시어머님이 주인이었고, 6년 전부터 며느리가 대를 이어 음식점을 하고 있다. '기차순대국'이라는 상호명은 본래의 가게 위치에 길게 연결되어 있던 음식점의 모양새가 기차같다고 해서 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
-
장소
- 대성이발관
- 성북구 솔샘로6길 24-17(정릉동 685-83)에 위치한 이발관이다. 정릉시장의 끄트머리에 있고, 30여년 동안 운영되고 있다. 대성이발관은 오래된 이발관의 옛 정취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55년의 경력을 가진 주인아저씨는 주인아주머니와 함께 이발관을 운영하고 있다. 2003년 MBC 베스트극장 '이발사의 첫사랑'에서 극중 배경 장소가 되었고, 주인아저씨가 카메오 출연도 하였다.
-
-
장소
- 전주상회
- 성북구 솔샘로6길 28-16(정릉동 685-76)에 위치한 가게이다. 원래는 정릉시장 안의 다른 곳에서 장사를 시작하셨다가 이곳으로 옮겨왔다. 전주상회를 운영한 지는 20년 정도 되었고, 취급 품목은 고춧가루, 엿기름, 국수, 부침가루, 소금, 고사리, 건어물, 기름 등 공급이 가능한 물건들을 조금씩 늘려가며 장사를 했다고 한다. 기름 짜는 기계는 장사를 시작할 무렵부터 계속 가지고 있던 것이라 오래된 시간의 흐름을 찾아볼 수 있다.
-
-
장소
- 충남상회
- 성북구 아리랑로19길 25(정릉동 584)에 위치한 가게이다. 아리랑시장 골목에서 20년 넘게 운영중인 '충남상회'는 과일과 야채를 파는 가게이다. 충남 아산이 고향인 주인 아저씨가 고향이름을 따서 가게 이름을 지었다. 70이 가까운 연세에도 새벽 5시만 되면 어김없이 물건을 떼러 다닌다고 한다.
-
-
장소
- 봉화묵집
- 성북구 아리랑로19길 46-2(정릉동 488-1)에 위치한 식당이다. 1대 주인 서순필씨가 39년째 운영하고 있고, 현재 아들 신인식씨가 대를 이어 2대째 운영하고 있다. 주인 할머니는 음식점을 시작하여 정릉 아리랑고개 인근에서만 5군데를 떠돌다가 19년 전 쯤에 지금의 자리에 정착하게 되었다. 음식장사 경력은 39년이 넘었다. 며느리 한의순씨는 19년 동안 묵묵히 일을 돕고 있다. 가게 이름은 처음에는 '만나식당'이었는데 손님들에 의해 '봉화묵집'으로 고쳐졌다고 한다. 작고하신 주인 할아버지의 고향이 경북 봉화군이었다. 대표 메뉴인 건진국수는 안동지방의 전통음식이라고 한다.
-
-
장소
- 강원정육점
- 성북구 아리랑로19길 8(정릉동 966-46)에 위치한 정육점이다. 정릉 아리랑시장 골목의 초입에 있어 금방 눈에 띈다. 가게는 2대째 가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정육점을 운영한 지는 42년 이상 되었다고 한다. 주인 아저씨의 아버님이 강원도 화천 출신이라 가게 이름을 '강원정육점'으로 지었다고 한다. 소고기는 주로 경남 창녕에서, 돼지고기는 주로 충남 홍성에서 공급받고 있는데 고기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주인 아저씨는 현재 상인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주민들과의 화합을 위해 애쓰고 있고, 상인들과 함께 골목을 청소하고 소독까지 하느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
-
장소
- 소현화장품 선물의집
- 성북구 아리랑로19길 18(정릉동 106-2)에 위치한 가게이다. 고향이 동소문동인 주인 아저씨는 계속해서 성북구에 거주하였고, 이 가게를 운영한지는 30년이 넘었다. 건축 일을 하다가 주인 아저시의 여동생 친구가 하던 화장품 가게를 옛 간판까지 그대로 인수받아 시작하였다. 그래서 가게 이름도 여동생 친구의 딸 이름 그대로 '소현이네 화장품가게'로 시작하였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화장품사업이 잘 되지 않아 품목을 여성의류, 잡화, 그릇으로 확대하였다. 주인 아저씨는 상인회 회자을 5년 정도 맡고 있고, 2013년 전통시장으로 등록하기 위해 애를 많이 썼다고 한다.
-
-
장소
- 길포차
- 성북구 아리랑로 19길 16(정릉동 966-86)에 위치한 가게이다. 정릉 아리랑시장에서 눈에 잘 띠지 않는 낡고 허름한 가게이다. 주인 한길석씨는 손님들의 뜻을 반영해 본인의 이름 '길'자를 붙여 '길마차'라는 상호를 쓰다가 '길포차'로 바꾸었다고 한다. 어머님이 운영하시던 가게를 아들인 한길석씨가 이어받아 운영한 것만 해도 벌써 38년째나 된다. 주인 아저씨는 길포차를 열기 전, 가게 공간이 집으로 쓰일 때 바로 여기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
-
장소
- 삼왕설비
- 성북구 종암로22길 14(종암동 3-1262)에 위치한 가게이다. 간판에서 오랜 세월을 읽을 수 있다. 서울시 시공업 지정업체이다. 가게 내부의 벽면은 각종 표창장들이 가득 채우고 있다. 구청장과 서울시장, 건설교통부장관, 지식경제부장관 등으로부터 받은 것이다.
-
-
장소
- 오거리감자탕홍어
- 성북구 종암로21길 95(종암동 81-104)에 위치한 식당이다. 2020년에 개업 43년이 되었고, 사장님 부부는 어느새 70대가 되었다. 식당 내부는 전부 좌식이었는데, 몇 년 전에 일부는 식탁을 놓는 리모델링을 하여 자리를 선택해서 앉을 수 있다. 감자탕과 홍어가 주메뉴인데 항상 사람들로 가득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요즘은 포장손님이 많다고 한다. 배달서비스는 하지 않고 있다.
-
-
장소
- 원조손칼국수
- 성북구 종암로113(종암동 86-1)에 위치한 식당이다. 1979년에 문을 열었고, 처음엔 언니가 운영을 하다가 현재 사장님이 이어서 하고 있다. 현재(2020년) 사장님 연세는 82세로 고령이지만 여전히 정정하시다. 양지육수를 내서 하는 곳으로는 주변에서 유일하다고 한다. 벽면에 김인식 야구감독의 사진이 걸려있는데, 사장님의 동생이라고 한다.
-
-
장소
- 광영당
- 성북구 종암로104(종암동 83-28)에 위치한 귀금속 가게이다. 가게 유리창에는 3대가 60년째 운영하고 있다는 글이 붙어 있다. 현재는 3대인 30대 젊은 사장 부부가 운영하고 있다. 1대인 할아버지는 전라남도 함평에서 귀금속 가게를 시작했고, 1960년대에 종암동으로 이사와서 정착을 했다고 한다. 옛 종암시장 입구에서 가게를 시작했다가 종암시장이 재건축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광영당은 SNS를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고, 공장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