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깃거리

성북구의 인물, 사건, 장소, 유물, 문헌, 작품 등을 유형별, 시대별, 지역별로 검색하는 곳입니다.

검색정보 입력
14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필터

  • 이야기 분류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 펼쳐보기
    필터 닫기
  • 시대
    필터 닫기
  • 지역
    필터 닫기
  • 문화재 지정
    필터 닫기
보기: 정렬:
  • 변영호
    인물, 유물
    변영호
    종암동에 거주했던 국가무형문화재이다. 함경남도 북청 출신으로 마을에서 하는 사자놀이를 보고 혼자 연습하다가 17세에 퉁소를 불면서 직접 북청사자놀이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한다. 북청사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정월 대보름에 사자탈을 쓰고 놀던 민속놀이로, 사자에게는 사악한 것을 물리칠 힘이 있다고 믿어 잡귀를 쫓고 마을의 평안를 비는 행사로 널리 행해졌다. 놀음에는 사자, 양반, 꺾쇠, 꼽추, 사령, 무동, 사당, 중, 의원, 거사 등이 등장하며, 악기로는 퉁소, 북, 징, 장구 등이 쓰이는데, 퉁소가 많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변영호는 1961년부터 1986년까지 총 21회에 걸쳐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여, 1972년에 공로상, 1974년에 장려상을 수상했다. 1970년 7월 중요무형문화재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받았다.
  • 김용우
    인물, 유물
    김용우
    국가무형문화재 단청장(丹靑匠) 명예보유자이다. 단청장이란 목조건물에 광물성 안료인 진채(眞彩)로 채색을 올리는 장인을 의미한다. 단청문양보존연구회 설립자이자 초대 기능보유자인 흥천사 월주 원덕문스님을 사사하였다. 1988년 8월 1일 단청장 전수교육조교로, 2020년 7월 27일 명예보유자로 지정되었다. 단청문양보존연구회(정릉동 소재) 이사장을 지내며, 불교미술의 맥을 잇고 있다.
  • 이근복
    유물, 인물
    이근복
    국가무형문화재 번와장(翻瓦匠) 기능보유자이다. '번와장'이란 지붕의 기와를 잇는 장인을 말한다. 1950년 전북 임실에서 태어난 그는 부친을 따라 어려서부터 어깨너머로 현장에서 건축 일을 익혔다. 스무 살 무렵 상경하여 돈암동의 건재상에서 근무하며 기선길 등 고건축 대가들로부터 본격적으로 기와 잇는 기술을 배웠다. 숭례문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경복궁 수정전, 창덕궁 돈화문, 법주사 대웅전, 봉정사 극락전 등 국보급 문화재 수백여 건의 기와 보수공사에 참여했다. 2008년 10월 21일 번와장 최초의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어, 2021년 현재도 유일하다.
  • 조영숙
    유물, 인물
    조영숙
    성북구에 거주하는 전통연희 공연가이자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예능보유자이다. 발탈은 인간 배우와 발과 손을 이용하여 조종하는 인형 배우가 함께 등장하여 재담을 중심으로 연행하는 전통예술이다. 조영숙은 함경도 출신으로 판소리 명창인 조몽실의 딸로 태어났다. 1951년부터 임춘앵 여성국극단에서 배우 생활을 했으며, 임춘앵의 대역을 할 정도로 인정받은 여성국극인이었다. 1980년대 중반 이동안[1906-1995] 발탈 보유자를 만나 2000년 10월 18일에 전수교육조교, 2012년 2월 2일에 예능보유자가 되었다. 전수조교 시절 성북구청 옆에 전수학원을 운영하였다. 현재 고령 나이지만 왕성한 활동을 하며 전통을 지키고 있다.
  • 한갑주
    인물, 유물
    한갑주
    국악인이다. 1924년 광주에서 태어난 한갑주는 대표적인 세습예인 집안 출신으로, 판소리 명창이자 가야금 명인 한성태의 아들이다. 1976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적벽가)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판소리는 한 사람의 창자(唱者)가 한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긴 서사적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몸짓)을 곁들이며 구연하는 창악적 구비록사시(口碑錄事詩)이다. 판소리 보유자의 경우 북으로 장단을 맞추는 고법과 판소리 다섯마당, 즉 적벽가, 수궁가, 심청가, 춘향가, 흥보가의 6분야에 각각의 보유자가 복수로 지정되는데, 한갑주는 적벽가의 보유자였다. 성북구 정릉 2동에 거주하면서 공연과 전수 활동을 하였다.
  • 정정완
    인물, 유물
    정정완
    동소문동에 거주했던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기능보유자이다. 침선장이란 바느질로 옷을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1913년 정인보의 맏딸로 태어나 혼인 후 사대부 가문과 왕실 가문의 침선기법을 함께 배웠다. 1985년 이후 일본 오사카, 고베, 교토 등 여러 도시에서 복식 전시를 열어 전통 바느질 기법을 널리 알렸다. 우리 전통 의상의 아름다움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1988년 8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로 선정되었다. 근대 이후 복식의 서구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침선기술의 전통이 단절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뒤늦게나마 다행히 몇 사람의 전승자가 현재는 쓰이지 않는 옛 침선기술을 계승하고 있다. 2007년 사망과 함께 지정이 해제되었으며, 맏며느리인 구혜자가 계승하였다.
  • 이생강
    인물, 유물
    이생강
    성북구에 거주하는 국악인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이다. 대금산조의 명인 한주환을 사사했고, 대금, 태평소, 단소 등 부는 악기의 명인들에게 남도, 서도, 경기지역 음악을 모두 전수받았다. 재즈나 팝송 등 다른 장르와 서양악기와 협연하고, 앨범을 내는 한편 대금과 단소 교본 발간, 제자 양성, 국내외 공연 등 국악을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 1997년 혜화문 건너편 삼선교에 4층 건물을 짓고, 종로구 와룡동에 있던 대금전수소를 집 근처에 마련하였다. 집을 다시 돈암동으로 옮기고, 전수소는 성북동으로 이사하였다. 1996년 12월 10일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 이건자
    인물, 유물
    이건자
    성북구에 거주하는 국악인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조교이다. 국악인 신영희, 윤평하를 사사하고, 1986년부터 선소리산타령 기능보유자 황용주로부터 본격적으로 선소리산타령을 전수받았다. 2003년부터 성북구에 국악전수소를 개설하여 일반인들에게 우리 소리를 가르치고 알려왔으며, 2005년부터 성북문화원 문화강좌 ‘선소리산타령’반을 개설해 지도하고 있다. 선소리산타령은 조선시대 초기부터 전래되어 내려온 우리나라 민간음악이다. 소고로 박자를 치며 남녀 10명 내외가 서서 소고를 들고 간단한 율동을 하면서 부르는 것으로, 각 지방의 명승지 가사가 다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12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조교로 선정되었다.
  • 원덕문
    인물, 유물
    원덕문
    돈암동 흥천사(신흥사)에 거주했던 승려이자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로 단청장 기능보유자이다. 단청장이란 목조건물에 광물성 안료인 진채(眞彩)로 채색을 올리는 장인을 의미한다. 그는 경기‧서울‧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승려 낙현[1869-1933]의 제자로 서울 흥천사에 월주고전미술전수원을 개원해 많은 불교미술 작가를 양성하였으며, 1972년에는 단청문양보존연구회를 설립하여 단청 및 전통미술의 전승과 보급에 힘썼다. 1972년 8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되었다.
  • 박봉술
    인물, 유물
    박봉술
    석관동에 거주했던 국가무형무화재 제5호 판소리 기능보유자이다. 전라남도 구례 출생으로 판소리 명창 만조의 아들이다. 국악인 집안에서 태어나 아버지 박만조와 박봉채에게서 동편제 판소리를 전수받았다. 1940년 명창 임방울이 이끌던 동일창극단에 입단하여 정광수, 박초월 등과 함께 전국 순회공연을 하였다. 판소리 사설에 대한 이해가 뛰어나 순천 국악원에서 판소리를 가르쳤고, 1973년 11월 1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박봉술은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 다섯 바탕소리에 고르게 뛰어난 기량을 보유했으며, 이 가운데 네 바탕을 음반으로 남겨 후대에 전했다.
  • 김철주
    인물, 유물
    김철주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기능보유자이다. 조각장이란 금속기의 표면에 평각(平刻)·투각(透刻)·고각(高刻)·육각(肉刻)·상감(象嵌) 등의 기법으로 문양을 새기는 장인으로 조이장(彫伊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각장 분야의 첫 기능보유자였던 김정섭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1947년 백하금속조각사라는 공방을 열고 기술을 연마하였다. 이후 1970년대 초반부터 아버지의 전통 조각 기능을 배우고 익혀 1989년 12월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성북구 종암동 35번지에 거주하였다.
  • 김명환
    인물, 유물
    김명환
    중요무형문화재 제59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이다. 고법은 가객이 부르는 판소리 소리에 맞추어 북으로 장단을 치는 반주법이다. 17세 때부터 장판개, 주봉현, 신찬문 여러 명고수로부터 판소리와 고법을 배웠다. 1960년대 서울로 진출하여 판소리 공연에서 고수로 활동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판소리 이론에도 조예가 깊어 이론과 실기에서 따르는 제자가 많았다. 판소리, 가야금산조 등 공연과 음반에 참여하였다. 1971년부터 10여 년 동안 석관동에 거주하며 제자들이 모여 만든 ‘일산회’와 공연을 열어 국악을 알렸다.
  • 강선영
    인물, 유물
    강선영
    돈암동과 성북동에서 활동한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기능보유자이다. 태평무는 풍년과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방안춤의 하나로, 다른 민속무용에 비해 장단이 복잡하고 예술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그는 전통음악과 춤을 집대성한 한성준을 사사한 후 ‘강선영무용연구소’를 개설하고, 「초혼」, 「수로부인」 등 창작무용을 발표하였다. 170여국에서 천 오백 회가 넘는 공연을 하며 전통춤을 알렸다. 태평무의 유일한 전승자인 강선영은 1960년대 돈암동에 자리를 잡고, 성북동으로 거처를 옮긴 뒤 전수소를 열어 제자들과 일반인들에게 전통춤을 가르쳤다. 170여개 나라에서 천 오백회가 넘는 공연을 하며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에 이바지한 그는 1988년 12월 1일 주요무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었다.
  • 강대규
    인물, 유물
    강대규
    정릉동에 거주했던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보유자이다. 소목장은 목제로 된 세간이나 건축상의 소목조 즉, 각종 가마, 수레, 농기구 등을 제작하는 목수이다. 강대규는 1974년 동아공예대전에서 과반(果盤), 애기장, 서류함, 귀목팔각병, 문방구, 문갑 등을 출품하여 입선하면서 이름이 알려졌고, 1980년 전승공예대전에서 그가 만든 연(輦)이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소목장으로 명성을 얻었다. 소목은 연장의 종류가 많고 나무 선별과 오랜 건조 기간, 정밀한 짜임, 상감, 옻칠 등 공정이 까다로운데 강대규는 전통 기법을 제대로 계승한 인물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성북구 정릉로 21가길 35-4번에 거주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