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흥천사 대방
?
국가등록문화재
유물 건축물
돈암동 흥천사에 있는 건축물로 염불과 수행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흥천사 대방은 1865년(고종 2) 흥선대원군의 지원으로 절을 중창할 당시 중수된 것으로, 대원군이 직접 쓴 편액이 걸려있다. 조선 후기에는 정토 염불 사상이 크게 성행하여 접대를 위한 공간이 필요해지면서 누각 형태의 건축물이 큰 절과 왕실 원찰을 중심으로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흥천사의 대방은 수행, 공양, 법회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건물로, 이러한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어 건축사적·불교사적 의의를 가진다. 2013년 12월 20일 등록문화재 제583호로 지정되었다.
돈암동
  • 흥천사 본채(1)
  • 흥천사 본채(2)
  • 흥천사 본채 후면
  • 흥천사(1)
  • 흥천사(2)
  • 흥천사 설경(본채)
  • 흥천사 대방 외관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유물 건축물

시기

주소

  • 주소: 02825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595 (흥천사길 29)
  • 비고: 흥천사

문화재 지정

근거자료 원문

  • 흥천사 대방은 정토 염불 사상이 크게 성행하던 근대기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염불 수행 공간과 누ㆍ승방ㆍ부엌 등의 부속 공간을 함께 갖추고 대웅전을 실제적ㆍ상징적 불단으로 삼아 염불 수행을 하도록 구성된 독특한 형식의 복합 법당이다. 기존의 전통적 방식을 벗어나 복합적이고 기능적인 근대적 건축의 성립을 보여주고 있는 등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독특한 건축 형식과 공간 구성 및 시대정신을 담고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항목명: 서울 흥천사 대방
  • 흥천사는 조선 초 태조 6년에 이성계의 둘째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를 모신 정릉의 원찰(願刹 : 망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한 사찰)로서 현재 중구 정동에 창건하였던 절이다. 창건 당시 42수 관세음보살상을 봉안하고 국가와 국민의 안녕을 기원하였으며, 조계종의 본사로 삼았던 170여간의 큰 절이었다. 하지만 이후 몇 번의 화재를 거친 뒤, 중종 5년 (1510)에는 완전히 폐사가 되었고, 이런 과정 속에서 신흥사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폐사로 남을 뻔한 신흥사는, 정조 18년(1794)에는 승려 성민(聖敏), 경신(敬信) 등이 새롭게 중창하면서 지금의 자리로 옮겨지게 되었다. 고종 2년(1865)에는 흥선대원군의 지원으로 절을 중창한 뒤 그 때까지 흥천사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그러나 여전히 신흥사로 부르는 주민들도 많다. 나무그늘이 늘어져 있는 계단을 올라가서 처음 나타나는 건물은 대방이다. 대방은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 양식으로 공양, 수행, 법회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복합건물이다. 흥천사 대방은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수되었으며, 대원군이 직접 쓴 편액이 걸려있다.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0-03-02

이 자료의 상위 자료 보기

관련 마을아카이브

  • 흥천사
    이야깃거리
    흥천사
    분류: 장소, 유물
    시기: 조선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