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수경 권3~4
국보
유물 문헌
고려대학교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문헌이다. 997년 요(遼)나라 승려 행균(行均)이 펴낸 한자(漢字) 자전(字典)의 원형으로 세계적으로 유일한 책이다. 이 책은 재래 중국의 자전과 달리 부수별로 먼저 배열하고, 또 같은 각수 안에서는 운(韻)별로 배열하여 여러 가지를 병용하는 방법을 취하였고, 정자 이외의 속자까지도 전부 망라하여 해설을 붙인 것이다. 이 책을 복각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권4의 끝에 나타난 것으로 보아 나주에서 권득령의 주관으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자(本字)가 26,430여 자이며 주(註)가 163,170자에 달하여 자전으로서 매우 귀중할 뿐만 아니라 요대의 음운을 연구하는 데 유일한 자료이다. 1997년 1월 1일 국보 제291호로 지정되었다.
안암동
  • 용감수경 권3~4(1)
  • 용감수경 권3~4(2)
  • 용감수경 권3
  • 용감수경 권3 본문
  • 용감수경 권4의 권수
  • 용감수경 권4의 권말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龍龕手鏡 卷三~四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유물 문헌

시기

주소

  • 주소: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2 (안암로 145)
  • 비고: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문화재 지정

  • 지정 유형: 국보
  • 지정일: 1997.01.01

근거자료 원문

  • ▫ 국보 제 291 호 용감수경 龍龕手鏡 시대 : 고려시대(11세기경) 소유자 : 고려대학교 소재지 : 고려대학교 박물관 / 서울 성북구 안암동 5가 1-2 지정연월일 : 1997. 1. 1. 서기 997년에 요(遼)의 승려 행균(行均)이 편찬한 한자 자전(字典)의 원형으로 세계적으로 유일한 책이다. 목판본인 이 책은 11세기경에 복각한 것으로 원래 보물 제130호로 지정되었던 것을 1997년 1월에 문화재 지정에 대한 재조정을 하면서 국보로 승격한 것이다. 이 책은 중국에서는 벌써 없어지고, 남송 때 와서 ≪용감수감≫이란 책 제목이 바뀌어 나왔으므로, 요나라 때의 원판본은 일찍부터 전해지지 않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산 유점사에서 발견된 ≪용감수경≫ 권1과 최남선의 장서 가운데에서 발견된 권3 및 권4가 있었는데, 이 책의 원본은 고려시대의 복각본(復刻本)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몽산화상법어약록≫에 의하면 조선 성종 3년(1472) 인수대비가 ≪용감수경≫ 50벌을 찍게 하였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그밖에 명종 18년(1563) 개판(改版)된 ≪용감수감≫의 판목이 황해도 귀진사(歸眞寺)에 소장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판본은 8권으로 되어 있었는데 원판에는 훼손된 부분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이 책을 복각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권4의 끝에 나타난 것으로 보아 나주에서 권득령의 주관으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생몰년을 알 수 없으므로 그 연대를 밝힐 수는 없다. 다만 고려시대의 복각이 남송시대까지 내려가지 않는 것과 요가 멸망한 것이 1125년인 점으로 미루어, 11세기경에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참고자료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16, 1990.
    성북문화원, 1997, 성북의 문화재, 39-40쪽
  • 중국 요나라 성종 15년(997)에 행균스님이 편찬한 한자의 자전이다. 이 책은 재래 중국의 자전과 달리 부수 별로 먼저 배열하고, 또 같은 각수 안에서는 운(韻)별로 배열하여 여러 가지를 병용하는 방법을 취하였고, 정자 이외의 속자까지도 전부 망라하여 해설을 붙인 것이다. 이 책을 우리나라에서 언제 중간했는지는 알 수 없으며, 단지 나주에서 권득령의 책임 하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의 원형인 『용감수경』은 중국에서는 벌써 없어지고 남송 때에 와서 『용감수감』으로 이름이 바뀌어 나왔으므로, 요나라 때의 원판본은 일찍부터 전해지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산 유점사에서 발견된 『용감수경』권1과 최남선의 장서 가운데에서 발견된 권3 및 권4가 있었는데, 이 책의 원본은 고려시대에 다시 새긴 본으로 짐작된다. 결국 국보 제291호는 『용감수경』의 원형으로 세상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본이라고 할 수 있어 1996년 11월 28일 보물 제130호에서 등급이 조정되었다. 본자가 26,430여 자이며, 주가 163,170자에 달하여 자전으로서 매우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요나라의 음운 연구에는 유일하므로 자료로서의 가치가 대단히 높게 평가된다.
    문화재청,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항목명: 왕세자입학도첩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19-12-02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