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오리모양 연적
?
국보
유물 공예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고려시대 도자 공예품이다. 높이 8㎝, 너비 12.5㎝의 오리 모양 청자 연적(硯滴)으로, 물 위에 뜬 오리가 연꽃줄기를 물고 있으며 연잎과 봉오리는 오리의 등에 자연스럽게 붙어 있다. 오리는 거의 정확한 사실 기법으로 깃털까지 세밀하게 음각으로 표현되었으며, 연한 녹색의 맑은 유약이 전면에 고르게 칠해져 있다. 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기법, 비색(翡色)의 은은한 색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귀족사회에서 향유한 문방구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유색(釉色)·복토(服土)의 질과 세련된 상형기법으로 보아 12세기 전반경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74호로 지정되었다.
성북동
  • 청자 오리모양 연적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靑磁 鴨形 硯滴
  • 이명칭: 청자압형수적(靑磁鴨形水滴)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유물 공예

시기

주소

  • 주소: 02837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97-1 (성북로 102-11)
  • 비고: 간송미술관

문화재 지정

  • 지정 유형: 국보
  • 지정일: 1962.12.20

근거자료 원문

  • ▫ 국보 제74호 청자압형수적 靑磁鴨形水滴 시대 : 고려시대 소유자 : 전성우 소재지 : 간송미술관 / 서울 성북구 성북동 97-1 지정연월일 : 1962. 12. 20. 벼루 물을 담는 오리 모양의 고려시대 청자 연적(硯滴)이다. 이 연적은 물 위에 뜬 오리가 꼬인 연꽃대를 입에 물고 있으며, 이 연 줄기에 달린 연잎과 봉오리를 오리의 등위에 자연스럽게 붙였다. 오리의 등 중앙에 붙어 있는 연잎에는 안으로 뚫린 구멍이 있어서 이곳으로 물을 넣게 되어 있고, 연꽃봉오리 모양의 작은 마개를 꽂아서 덮고 있다. 물을 따르는 구멍은 오리 주둥이의 오른편에 붙어 있으나 그 부분이 파손되어 원형을 확실히 알 수 없다. 오리는 거의 정확한 사실 기법으로 깃털까지 세밀하게 음각으로 표현되었으며, 연한 녹색의 맑은 유약(釉藥)이 전면에 고르게 칠해져 있다. 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기법, 비색(翡色)의 은은한 색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귀족사회에서 향유한 문방구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유색(釉色)・태토(胎土)의 질과 세련된 상형기법으로 보아 12세기 전반기에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참고자료 : 한국정신문화원구원,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22, 1991.
    성북문화원, 1997, 성북의 문화재, 28쪽
  • 오리 모양으로 만든 고려시대의 청자 연적으로 높이 8㎝, 너비 12.5㎝의 크기이다. 물위에 뜬 오리가 연꽃줄기를 물고 있으며 연잎과 봉오리는 오리의 등에 자연스럽게 붙어있다. 오리의 등의 연잎으로 장식된 부분에는 구멍이 있어서 물을 넣도록 되어있고, 연꽃 봉오리 모양의 작은 마개를 꽂아서 덮고 있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오리 주둥이 오른편에 붙어 있는데, 이 부리가 연줄기에 달린 봉오리 끝으로 통했으리라 짐작되지만, 지금은 그 부분이 부서져 있어 원형을 확실히 알 수 없다. 이 연적은 오리의 깃털까지도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정교한 기법을 보여주고 있으며, 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기법, 그리고 비색(翡色)의 은은함을 통해 고려 귀족 사회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훌륭한 작품이다.
    문화재청,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항목명: 청자압형수적
  • 1. 성북동의 문화재 ○ 국보 종목 : 국보 제74호 명칭 : 청자 오리모양 연적 소재지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지정일 : 62.12.20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300쪽
  • ⑧ 靑磁鴨形水滴 높이 8㎝, 너비 12.5㎝의 高麗時代 청자연적. 국보 제74호로 간송미술관 소장. 물 위에 문 오리가 꼬인 연꽃대를 입에 물고 있으며, 이 연줄기에 달린 연잎과 봉오리를 오리의 등 위에 자연스럽게 붙였다. 오리의 등 중앙에 붙어 있는 연잎에는 안으로 뚫린 구멍이 있어서 이곳으로 물을 넣게 되어 있고, 연꽃봉오리 모양의 작은 마개를 꽂아서 덮고 있다. 물을 따르는 구멍은 오리 주둥이의 바른편에 붙어있으나 그 부분이 파손되어 원형을 확실히 알 수 없다. 오리는 거의 정확한 사실기법으로 깃털까지 세밀하게 음각으로 표현되었으며, 연한 녹색의 맑은 유약이 전면에 고르게 칠해져 있다. 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기법, 錫色의 은은한 색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귀족사회에서 향유한 문방구의 일변을 엿볼 수 있다. 釉色·服土의 질과 세련된 상형기법으로 보아 12세기 전반경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654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19-12-03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