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천사 시왕도
1885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유물 회화
흥천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시왕도이다. 1885년에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며, 19세기 말 서울·경기지역에서 성행했던 대표적인 시왕도에 속한다. 시왕이 있는 곳이 성 안쪽이고, 지옥형벌을 받는 곳이 성 바깥이라는 표현을 성벽과 구름 또는 산수, 성문 등으로 장면을 분할하였는데, 이는 조선 후기 시왕도에서 성행하던 기법이다. 2018년 2월 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3호로 지정되었다.
돈암동
  • 흥천사 시왕도(제2초강대왕·제4오관대왕)
  • 흥천사 시왕도(제6변성대왕·제8평등대왕·제10오도전륜대왕)
  • 흥천사 시왕도(제1진광대왕·제3송제대왕)
  • 흥천사 시왕도(제5염라대왕·제7태신대왕·제9도시대왕)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興天寺 十王圖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유물 회화

시기

주소

  • 주소: 02825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595 (흥천사길 29)
  • 비고: 흥천사

문화재 지정

근거자료 원문

  • 시왕도는 패널에 오려 붙인 형식으로, 열 명의 왕 중, 2왕 또는 3왕을 한 폭(점)으로 구성한 4폭(점) 형식이다. 지장시왕도를 중심으로 우측(향좌)으로 1왕·3왕도 1폭, 5왕·7왕·9왕도 1폭, 좌측(향우)으로 2왕·4왕도 1폭, 6왕·8왕·10왕도 1폭 등이 배치되는 것이 원칙이나 일부 방제가 누락되거나 그 내용 역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패널에 오려 붙일때 그 내용과 순서에 다소 혼동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즉, 1왕·3왕과 2왕·4왕의 방제가 뒤바뀌고 5왕인 염라대왕에는 제7태산대왕의 방제가 붙어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원래 각 왕의 방제가 각 화면에 쓰여진 것이 아니라 두 화면에 걸쳐있는 것도 있다 보니 판넬에 오려 붙일 때 혼동이 된 것 같다. 5·7·9왕도와 6·8·10왕도의 화기는 배접할 때 일부 잘려졌으나 “삼각산 흥천사 명부전에 봉안되었으며”, “상궁이 시주하였다”는 내용은 읽을 수 있다. 특히 “乙酉”의 “酉”가 남아있어 1885년에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왕도(1885)는 19세기 말 서울·경기지역에서 성행했던 대표적인 시왕도에 속하며, 보광사 시왕도(1872), 화계사 시왕도(1878), 봉국사 시왕도(1898), 봉원사 시왕도(19세기말) 등과 유사한 도상을 보여준다. 화면의 상단에는 시왕을 중심으로 심판하는 장면이 그려지고 하단에는 지옥장면이 펼쳐져있다. 시왕이 있는 곳이 성 안쪽이고, 지옥형벌을 받는 곳이 성 바깥이라는 표현을 성벽과 구름 또는 산수, 성문 등으로 장면을 분할한 바, 이는 조선 후기 시왕도에서 성행하던 기법이다. 상단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시왕이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 큼직하게 묘사 되었으며, 시왕 주위의 난간과 계단 아래쪽에 권속들이 시립하고 있다. 옥졸은 대부분 창과 같은 무기류를 들고 있으며, 판관은 복두를 쓰고 傘이나 扇 등, 동자는 벼루, 두루마리, 책, 천녀는 扇을 들고 있다. 하단은 거의 빈 공간이 없을 정도로 지옥의 형벌장면으로 채워져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항목명: 흥천사 시왕도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19-11-26

관련 마을아카이브

  • 흥천사
    이야깃거리
    흥천사
    분류: 장소, 유물
    시기: 조선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