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윤
1911.02.10 - ?
인물 개인 독립운동가
안암동 관련 독립운동가이다. 1940년 경성공립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조직된 조선인 해방투쟁동맹(일명 ‘CHT’)에 가입하여 활동하여, 징역 2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거주지는 서울 안암정 200-13호이다.
안암동
  •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_김종윤(1)
  •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_김종윤(2)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金鍾潤
  • 이명칭: 송포윤(宋浦潤)
  • 성별: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인물 개인 독립운동가

시기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 비고: 서울 안암정 200-13

근거자료 원문

  • 본적은 서울 숭인정 63번지 10호이고, 서울 안암정 200번지의 12호에 거주하였다. 1940년 경성공립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조직된 조선인해방투쟁동맹(朝鮮人解放鬪爭同盟, 일명 ‘CHT’)에 가입하여 활동했다. 1942년 징역 2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성북구 항일독립운동가 발굴·조사용역 보고서, 22쪽
  • 본적: 서울 숭인정 63-10 주소: 서울 안암정 200-12 계열과 단체: 朝鮮人解放鬪爭同盟(일명 ‘CHT’) <활동 내용> 서울 출신으로 昌新公立普通學校를 거쳐 1936년 4월 경성공립중학교에 입학하였다. 김윤종은 同校 4학년 재학 당시 일본 수학여행을 가는 대신 그 비용을 돌려받아 그 일부를 일본군의 慰問袋로 송부하였다. 이 때문에 김윤종은 일본군으로부터 감사장을 받고 교장으로부터 표창을 받았으나, 동료들로부터는 냉대를 당하였다. 이를 계기로 김윤종은 당시 일본의 ‘內鮮一體’ 주장에 의문을 품게 되었다. 때마침 1940년 5월부터 朴贊五·金永俊과 교제하게 된 김종윤은 이들의 영향으로 민족주의 사상에 눈을 뜨고 조선의 독립을 희망하게 되었다. 1940년 11월 경성공립중학교 학생이던 任元彬·宋澤永 등은 조선의 독립을 목적으로 朝鮮人解放鬪爭同盟(일명 ‘CHT’)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임원빈 등은 同 동맹 내부에 書記局, 理論部, 實踐部를 설치하고, 1940년 11월부터 ‘CHT대회의 선언’이라는 선언문 작성, 기관지 ‘火線’의 발행, 연구단체 鴙林共進會을 결성과 기관지 ‘供進’의 발행 등에 대해서 협의하고 조직 확대와 동지 규합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김종윤도 同 동맹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퇴학을 당하고, 1942년 12월 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위반으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 <참고문헌> 경성지방법원 판결문:1942. 12. 2, 1944. 3. 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성북구 항일독립운동가 발굴·조사용역 보고서, 90쪽
    국가기록원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에는 거주지가 "서울 안암정 200-13"으로 기록되어 있다. (수정일 2020.6.4) 활동내용에서 1) "경성공립중학교"는 "경기공립중학교", 2) "두번째와 세번째, 네번째 문장의 "김윤종"은 "김종윤", 3) "일본 수학여행을 가는 대신 그 비용을 돌려받아"는 "일본 수학여행에 참가하여 여비추가금을 반환받아" 4) "鴙林共進會"는 "鷄林共進會" 5) "供進"은 "共進"의 오기임을 확인하였다.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19-12-04

관련 마을아카이브